-
-
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 - 어른과 아이가 함께 배우는 교양 미술
프랑수아즈 바르브 갈 지음, 박소현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0년 7월
평점 :
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
프랑수아즈 바르브 갈 지음
|
아이와 미술관을 가지만 그림만 보다 나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뭘
설명할 것이 없다. 아는 게 없으니 먼저 작품을 본 다음 작가에 대한 설명을 보고 다시 작품을 감상한다. 딱 거기 까지다.
대부분 사전준비없이 아이와 관람하는데 미술관에 가서 아이와 어떤 대화들을 나눠야 할까?
아이와 내가 미술적 안목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런
궁금증으로 읽게 된 책이다.
교양은 케이크 위에 얹은 체리 같은 장식물이 아닙니다. 오히려 케이크를 만들어 내는 주재료인 밀가루이죠. 본문21쪽
예술을 인간의 부차적인 무엇으로 여기지 않고 인간 본성으로 정의하는 저자의 생각을
알 수 있는 문장이다.
책은 크게 1부와 2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선 미술을 보는 안목을 기르는 법으로 전체적인 미술가이드와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여러 방법들을 설명해준다.
일부는 이전 미술을 설명한 책에서 그림을 보는 방법들과 중첩되기도 하지만 인상적인 부분은 직접적으로 예술작품을
보고 감흥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거기서 멈추지 않고 간접적으로 작품에 대한 감흥이나 영감을 일으킬 만한 방법들을 알려준다. 무엇보다 아이의 관심과 표현에서부터 출발하여 미술을 감상하도록 이끄는 방법이 눈 여겨 볼 만하다.
2부는 명화들을 직접
감상하고 연령별로 미술에 대해 이야기한다.
5~7세와 8~10세들은 아이들이 그림을 눈으로 봤을 때 보이는 것들을 중심으로 짤막하게 표현하면 보이는 그림에 대해서 설명을
풍부하게 곁들인다.
연령에 따라 질문하는 표현들이나 관심을 살펴볼 수 있으며 그림을 구석구석 살펴보게 된다.
감상
저자는 미술사 전공자로 미술을 해석하고 분석하는 전문가이다. 그러나
책은 일반 독자와 어린아이들을 존중하는 따뜻하고 배려가 가득하다. 또한 성인들이 전문가의 권위를 빌려
앵무새처럼 반복하는 설명과 편향된 부분을 지향하도록 가이드해 준다. 정확한 묘사보다 작품의 메시지에
집중하도록 한다. 아이의 취향과 지식을 측정하는 교육을 지양하고 다양한 관점을 발견하여 자유롭게 탐구하도록
한다. 무엇보다 아이들이 그림을 보고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한다. 아이의
이해 수준에 맞춰 단계별로 제시된 방식으로 내 아이의 연령에 맞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저자의 책
<아이와 현대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도 읽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