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는 건축가다 - 자연에서 발견한 가장 지적이고 우아한 건축 이야기
차이진원 지음, 박소정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새는 건축가다

차이진원 글 그림

한국인들이 일해 번 대부분의 비용은 집과 교육비로 들어간다. 내 집 마련의 기간이 길수록 결혼과 자녀 낳기를 유예하는데 보금자리인 집은 안정적으로 자녀를 양육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인간뿐 아니라 집을 짓는 동물이 주변에 많은데 그중 탁월한 건축가로 새를 꼽을 수 있다.

이 책은 새와 자연의 매력에 푹 빠진 한 공학도가 새들을 오랜 시간 진득하게 관찰하고 직접 그림과 글로 기록해온 소중한 기록이다.

돌봄의 다양한 방식

새들은 언제부터 둥지를 만들기 시작했을까? 누구에게 배웠을까?

악어와 조류의 조상인 공룡 둥우리와 알 화석을 통해 종류의 건축 기원을 찾아간다.

악어처럼 두개의 수란관을 가지고 조류처럼 한 번에 한 개의 알만 낳는 공룡도 둥우리를 지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둥우리는 새끼 돌봄과 연관이 크다.

꿩 조류는 둥우리가 아주 단순한데 꿩의 새끼는 발달이 빨라 태어나서 시간이 조금 지나면 스스로 먹이를 구할 수 있다고 한다.

바다새들은 둥우리 대신 안전한 장소에 알을 낳거나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남극의 황제펭귄은 수컷의 발 위와 담요 같은 복부가 둥우리를 대신한다.

둥우리를 직접 짓지 않고 남의 둥우리를 탐하는 탁란의 대명사 뻐꾸기!

 악행의 대명사 뻐꾸기는 둥지를 만들지 않고 남의 둥지에 탁란하는 습성으로 유명하다. 다른 새끼보다 더 몸집이 커서 많은 먹이를 먹거나 먼저 태어나 다른 알들을 밀어내는 뻐꾸기의 탁란습성은 아무리 자연 본성이라고 하지만 우리를 경악케하고 혐오감을 불러일으킨다. 타켓팅할 둥우리를 발견하여 10초안에 남의 둥지에 알을 낳고 떠나는 뻐꾸기과 두견새가 탁란방법은 놀랍기도 하다.

멋진 일러스트로 보는 다양한 스타일의 건축가

잎 가장자리에 부리로 구멍을 내어 거미줄과 식물섬유를 실처럼 통과시켜 주머니 모양으로 꿰매어 둥우리를 만드는 재봉새, 뜨개질로 정교하게 직조하여 튼튼한 둥우리를 만드는 베짜는 새들도 종류에 따라 둥우리를 만드는 곳도 다르고 둥우리의 크기나 모양 입구의 위치가 다 다르다.

금빛제비의 침은 아교처럼 끈끈한데 이 침으로 집을 만들어 둥지를 만드는데 이 제비집은 임금만이 먹어왔다고 한다. 빗물 받는 통 큰 것 두개를 채울 만큼의 양의 침으로 40여일간 힘들게 지은 집을 인간은 귀하고 몸에 좋다는 이유만으로 먹었다.

아파트처럼 여러 대가 함께 살면서 공동체를 유지하는 떼베짜는 새도 있고 벌집위에 집을 지어 원숭이나 다른 포식자들을 피하거나 다른 새가 벌집을 공격하지 못하게 방어하며 공생하는 새들도 있고 힐라딱따구리의 둥우리에 세 들어 사는 요정올빼미는 생포한 장님뱀을 이용해 구멍 둥우리의 벌레와 기생충을 잡아먹게 함으로 둥우리를 깨끗하게 유지시킨다.

 배설물을 수집해 악취를 풍겨 포식자를 피하여 새끼를 기르는 후투티의 구린내 나는 둥우리,인류가 허브를 이용하는 이유와 비슷한 이유로 구충과 면역향상, 암컷의 마음을 얻기 위해 향기식물을 둥우리에 채우는 찌르레기의 둥지도 신비롭다.

저자가 직접 그리고 채색한 다양한 새 둥우리와 새들의 아름답고 사실적인 일러스트는 도감으로도 손색이 없으며 각양각색의 둥우리는 환경에 따라 함께 변하면서 자연에 종을 번식했던 새들의 경이로운 생존 법임을 말해준다.

감상

새 둥우리의 다양성은 새의 종류뿐만 아니라 환경 적응 행동과도 관련이 있다. 21쪽 인용

나는 까마귀나 까치처럼 지능이 높고 유연한 새들 몇 종만이 인간이 사는 근처에 살면서 인간이 사용하는 재료들을 이용하여 집을 짓는다고 생각했다. 인간처럼 후천적으로 학습해서 짓는 것이 아닌 선천적 본능이라고 생각했지만 그 생각은 틀렸다. 인류가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본래의 습성을 바꾸듯 새들 역시 변화한 환경에 따라 같이 변화하고 있고 계속 변화한다는 사실을 말이다.

태초에 집을 짓지 않았던 인류가 다양한 건축에 대한 아이디어를 새들로부터 얻은 것은 아닐까?

과학자들은 새둥우리의 재료로 이산화탄소 함량을 비교해 지구온난화의 변화를 연구하기도 하고 화학무기이자 살충제로 사용한 DDT사용은 새알의 껍질을 얇게 만들었음을 알아낸다.

현대인의 모습이 100년전 그 이전의 인류의 모습과 다르듯 새도 인류문명과 기후에 의해 변화해 왔고 그 변화의 기록을 새둥우리와 새알이 기록하고 있음을 부록을 통해서 밝히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