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스미스 - 도덕을 추구했던 경제학자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다카시마 젠야 지음, 김동환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2월
평점 :
품절


애담스미스

다카시마 젠야 지음

애담스미스의 국부론을 읽어보지 않은 독자라도 애담스미스의 유명한 문구인 보이지 않는 손은 들어봤을 것이다. 국부론에 딱 한 번 등장하는 보이지 않는 손은 주류 경제학자들이나 재벌 기업들이 자기 편한대로 해석할 때 사용한다. 정부가 공정한 경쟁을 하려고 기업을 규제하려고 할 때마다 기업들은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을 인용하며 간섭을 비판한다.

국가는 밤에 순찰하는 정도로 최소한의 역할만을 수행하고 나머지는 자본의 자유경쟁에 맡겨야 한다는 자본주의 국가관인 야경국가론을 주장하고 개인의 이익과 탐욕을 부추긴 자유방임주의자로 잘못 이해하고 있었는데 이 책의 저자는 애담 스미스의 저작 [도덕감정론][국부론]을 단순히 이론만 살피지 않고 스미스가 살던 시대적 맥락속에서 스미스의 사상과 이론들을 살핀다.

산업혁명이 태동하던 시기를 살았던 애담 스미스는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 대학에서 도덕철학을 공부하고 영국 옥스퍼드에서 고전인문학을 접했으며 프랑스 체류기간동안 계몽주의사상과 경제표를 도식화한 중농학파 케네와 일파들과의 학문적 교류의 영향으로 국부론을 10여년에 걸쳐 완성한다.

국가의 부를 금은의 축적으로 바라보고 절대군주와 상공인들의 야합과 각종 보호무역장치를 통한상공인들의 특혜로 국가의 부를 늘렸지만 대부분의 국민들은 가난을 벗어나지 못했던 중상주의 정책을 강력하게 비판하며 특정기업에게 특혜를 주고 보호하는 정부의 개입이란 전근대적인 체제를 극복하고자 쓴 책이 [국부론]이다.

저자는 애담스미스의 시민사회의 에토스와 로고스를 도덕감정론에서 밝히며 근대화된 시민관을 구축하며 [국부론]에서 중상주의를 비판하며 한 나라의 부를 증진하는 방법은 생산력을 증가로 보고 생산력은 노동과 분업으로 증진할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기술혁신뿐 아니라 인간관계와 제도의 합리성을 주장했다.

생산력이 증가되는 사회는 분업과 교환을 축으로 전개되는 경제적인 사회이며 분업과 교환이 순롭게 이루어지기 위해선 개개인의 자유로운 활동이 보장되어야 한다. 교환은 상대방의 자애심과 이기심이 아닌 공정한 자유경쟁으로 조화로운 자연가격(이윤,지대, 임금)을 형성하게 된다고 생각했다. 스미스의 분업은 협의의 개인간 노동의 분업뿐 아니라 국가간의 분업으로 이어지기에 보호무역이 아닌 자유무역을 주장하고 이 국가간 분업이론은 리카르도의 국가간 비교우위론으로 이어지고 스미스의 낙관적인 계급조화관은 이윤의 본질을 노동력 착취로 바라본 마르크스의 계급간 모순으로 국부론을 비판적으로 해석한다.

아담스미스는 그 당시 선진국이었던 스페인보다 무역이 발달하지 못하고 프랑스보다 비옥한 토지가 없는 영국의 부를 증가시켜 영국이 세계 중심국가가 될 수 있는 비전을 국부론에 담았기에 다카시마 젠야는 애담스미스를 18세기 시대적 배경을 토대로 근대사회의 투사이자 내셔널리즘으로 아담 스미스 전체상을 평가하고 있다.

 

감상

이 책은 50년전의 일본 아담스미스 연구한 경제학자가 국민을 대상으로 한 애담스미스 해설 강연을 책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일반 국민이 대상이라 아담스미스의 광범위한 사상과 사회원리를 최대한 쉽게 풀이한 해설서이다.

문명의 진보와 발전은 생산력의 진보와 발전으로 가능하다고 바라본 문명론의 기초엔 인류의 역사는 야만에서 문명으로 권위 원칙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공리원칙이 지배하는 사회로 토지의 사유나 자본의 축적이 이뤄지지 않는 사회에서 사유자산의 축적이 이뤄지는 사회로 발전한다는 역사 발전 단계론이 반영된다. 계몽주의자들의 영향으로 단계적인 진보한다는 역사관이 나온 듯하다. 경제 생산력인 하부토대가 법,정치,문화란 상부토대에 영향을 미친다는 마르스크의 유물사관과 오늘날의 자본주의와 시민사회는 스미스로부터 거슬러 올라가고 있음을 발견한다.

이 책은 현대인들이 고전을 읽을 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주는 매우 흥미로운 책이다.

 

역할이 시대를 초월하여 보편성을 인정받을 수 잇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역사적인 성격을 띠는 것으로서 인식될 수 밖에 없다. 본문 1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