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30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2월
평점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아리스토텔레스 박문재 옮김
설득의 기술로서의 수사학지식인이나 정치인이 정책을 비판할 때 ‘레토릭’이란 표현을 쓰는데 수사학적인 이란 의미다.
여기서 수사학적인은 부정적인 뉘앙스로 그럴싸하지만 실체없이 껍데기만 현란한 말을 사용할 때 사용되기도 하지만 정치인이나 토론장이 아니어도 타인을 설득할 때 혹은 우리 자신을 설득할 때 설득의 수단을 찾아 주장의 합당성을 체계화하는데 유용한 기술이 수사학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을 “설득의 기술”로 정의한다.
수사학에서 다루는 논제는 참인 명제가 아닌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 있는 개연적으로 참인 것을 전제로 사용한다.
말로 신뢰를 주는 방법으로는 세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은 화자의 성품과 관련되어 있고, 어떤 것은 청중의 심리 상태와 어떤 것은 뭔가를 증명하거나 증명하는 것처럼 보이는 말 자체에 관한 것이다. 17쪽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은 모두 세권으로 구성되어있고 제 1권엔 수사학의 본질과 연설의 유형으로 구분한다. 조언을 위한 연설, 법정에서의 변론, 선전을 위한 연설이다.조언을 위한 연설은 국가의 중요한 정책들과 관련하여 권유하거나 만류하기 위해 대중 집회에서 행하는 정치 연설을 말하고 선전을 위한 연설은 제전이나 행사에서 신들이나 인물들을 칭송하거나 비난하는 연설이다.
조언을 위한 연설에선 이로운 것이냐 해로운 것이냐를 지향하고 법정에서 변론할 때는 합법적인것인가 불법적인것인가를 고려하며 선전을 위한 연설은 아름다우냐 추하냐를 지향한다. 각 연설의 유형에 따라 지향하는 바가 다르기에 유형에 따라 사용하는 유용한 견해와 전제들을 살펴서 감정에 호소하는 것이 아닌 논증을 통해 증명하는데 증명에 사용하는 설득수단은 예증과 생략삼단논법등의 기술이다.
2권에선 수사학은 입증을 넘어 청중의 판단을 위한 것이기에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도 보여주어 연설을 듣는 자들의 판단에 영향을 주어야 한다. 청중의 감정이라는 설득수단에 관해 분노나 연민, 시기와 질투, 두려움과 자신감 같은 감정들이 어떻게 생겨나는지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3권에선 문체와 배열과 전달의 문제를 다룬다.
청중이 연설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를 결정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것이 문체이기 때문이며 시적 산문체로 명성을 떨친 소피스트 고르기아스의 문체를 비판하기도 한다.
문체는 명료하고 은유를 잘 사용해서 눈앞에 펼쳐지듯 표현해야 생생하고 세련된 연설이 되게 한다. 전달엔 목소리의 크기와 어조와 운율을 사용하여 목소리에 감정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하는데 문체와 전달은 오늘날의 웅변술과 비슷하다.
역자의 해제로 수사학을 풍부하게 읽을 수 있다
해제엔 아이스토텔레스가 살던 시대에 수사학이 번성했던 이유를 그 당시의 정치적 배경으로 이해를 돕고 소피스트들의 수사학과 아이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비교 정리해 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그의 저작과 사상들, 스승인 플라톤의 인식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식론의 차이를 간략하고 핵심적으로 서술하고 수사학에 나오는 주요개념과 주요한 내용의 요점을 간추려주고 있어 수사학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감상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읽는다고 해서 남을 설득하는 기술을 터득하지는 못했지만 변증학의 귀납법에 해당하는 예증의 사례 중 비유와 우화의 설명에 아이소포스의 우화가 나와서 신기했다.
아이들의 옛이야기로 재미있게 읽히는 이솝우화가 고대 아테나이에선 연설의 적절한 수단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추론에선 삼단논법이나 생략삼단논법의 명제를 사용하는데 명제와 유사명제, 삼단논법과 사이비삼단논법으로 그럴싸하게 보이는 거짓된 추론들을 구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