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줄리의 그림자 ㅣ 철학하는 아이 14
크리스티앙 브뤼엘 지음, 안 보즐렉 그림, 박재연 옮김 / 이마주 / 2019년 7월
평점 :
줄리의
그림자_나
다울
권리
글 크리스티앙 브뤼엘 그림 안 보즈렉 지음
|
이 책엔 여자처럼 잘 우는 남자아이와
남자아이처럼 개구쟁이며 활달한 줄리가 나온다.
줄리는 일반 부모들이 좀처럼 이해하기
힘들다. 방안에서 롤러스케이트를 신고 책을 읽고 단정하지 않고 늘 어수선하고 지저분하다. 거칠게 말하고 툭하면 넘어지고 선머슴 같다는 아버지의 비난과 엄마의 부정적인 비교로 줄리는 심리적 장애를
겪게 된다. 내적 장애물인 그림자는 자신의 성과 다른 남성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줄리는 그 그림자가
자신을 변화시킬까 두려워한다. 주위에서 기대하는 정체성을 가지 못한 두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지워서
고통받고 회복해 가는 이야기인데 성인이 읽으면 더 많은 감정들을 불러 일으키는 책이다.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줄리
자신의 본성적인 자아가 그림자로 드러나지만
줄리는 자신의 욕구를 스스로 억압하며 그림자를 두려워한다. 늘 사랑받기 위해 본능과 욕구를 억제한
줄리의 내면이 그림자로 나타난다.
주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줄리가 스스로
부정하여 구덩이를 파고 자신을 묻어 버리는 자기 파괴적인 모습으로 드러난다.
컬러링을 하고 싶은 일러스트
윤곽중심의 일러스트에 빨간 색만 포인트로
채색되어 있고 여백이 많아 그림책에 색을 넣고 싶은 충동이 일어난다. 미완성되어 독자에게 완성을
넘기는 삽화와 같다.
인상적인 글
나불대는 줄리. 말 안 듣는 줄리. 줄리는 줄리
어떤 모습이라도 줄리는 줄리고 나 다울 권리가
있다는 문장은 레이디 가가의 I was born this way란 노래가사 떠오른다. 신은 실수하지 않고 난 그렇게 태어났음을 당당하게 선언하고 있고 옳은 길을 가고 있음을.
마음의 길을 잃었던 줄리가 자신을 회복해가는
문장이다.
감상
줄리의 일상은 어느 가정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줄리 같은 둘째가 있어 부모가 된 입장에선
부모의 마음도 이해가 가며 줄리의 마음도 이해가 간다. 아이의 본성을 인정하는 권리(누구와 비교하지 않기, 인격적 비난~
여자아이는 이래야 해, 남자아이는 저래야해와 같은 그릇된 통념을 아이들에게 그대로
적용해서 아이에게 상처주기)와 에티켓과의 충돌(방안에서
스케이트 신발을 신기등)을 조화롭게 극복할 것인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