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아렌트, 세 번의 탈출 - 한나 아렌트의 삶과 사상을 그래픽노블로 만나다
켄 크림슈타인 지음, 최지원 옮김, 김선욱 감수 / 더숲 / 2019년 3월
평점 :
품절


한나 아렌트, 세번의 탈출

켄 크림슈타인 글 그림

[전체주의의 기원],악의 비속성을 보여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은 한나 아렌트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특히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으로 사유하지 않는 모든 평범함 사람들도 잘못이 있을 수 있다고 함으로써 동지와 적에게 많은 비판과 오해를 받았지만 세계에 많은 영향력을 준다.

아이히만은 복수성을 부정하고 유대인이 없는 세상에서 살아가고 싶은 히틀러와 나치의 신념에 철저하게 복무하여 많은 유대인들을 효율적으로 가스실에 보낼 수 있었다.

뿔이 달린 악마도 반사회적 성격을 갖은 소시오패스도 아닌 관료주의적인 공무원임을 찾아낸다.

한나 아렌트는 왜 그렇게 철저하게 사유하기를 선택했을까?

한나의 부모는 진보적이며 사회에 관심이 많았지만 한나 아렌트는 어린 시절 부모의 극진한 보호하에 있지는 않은듯하다. 잦은 여행과 자유분방한 생활을 보낸 아빠는 매독으로 한나가 어릴 때 일찍 죽어 아버지의 부재를 겪는다. 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질병으로 한나는 역시 환자 취급을 받으며 따가운 눈총을 받는다. 어린 나이에 죽음에 대한 슬픔을 현실로 받아들여 살아가야 했던 한나 아렌트는 근원적인 삶에 대한 의문을 찾기 위해 칸트의 책을 전부 섭렵하면서 깊은 사유의 토대를 형성한다. 대학교에 진학하면서 평생 그녀의 사상과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친 스승이자 연인인 실존주의 철학자 하이데거를 만난다.

존재의 의미에 목말라했던 한나가 유부남이자 17살의 연상인 하이데거와의 만남과 그들이 연인으로서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없는 비극적인 현실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하이데거와의 이별, 결혼, 재혼 그리고 전쟁과 나치의 박해를 온 몸으로 겪으며 미국의 난민이자 이방인으로서 살면서 철저한 사유를 통해 하이데거와 사상적으로 결별(하고 탄생성과 복수성으로 전체주의의 힘에 맞선다.

당 시대의 철학자들과 예술가, 문인들과의 왕성한 교류가 매우 인상적이다. 남편도 철학자이며 남편의 사촌은 현대에 유명한 철학자이자 비평가인 발터 벤야민으로 발터 벤야민의 개성과 생각을 엿볼 수 있다.

 한나 아렌트가 왜 그토록 개별성과 복수성에 매달렸는지 한나의 어린 시절과 그녀가 유대인으로서 겪은 나치의 박해로 어렴풋이 이해할 수 있었다. 망명할 때는 탐정소설을 읽고 경찰의 의식을 탐구하여 비밀경찰을 피해 탈출하는 기지, 프랑스의 포로수용소에 갇혔을 때 주변을 객관적으로 응시하며 오랜 시간 사유했던 힘으로 용감하게 빠져 나오는 장면에선 그녀의 치밀함과 대담함에 박수를 쳤다.

세월호 유가족의 오랜 단식투쟁 앞에서 피자와 치킨을 먹으며 폭식 투쟁을 한 일베학생들, 세월호 참사 5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자식의 죽음에 대한 세간의 동병상련을 회 쳐먹고, 찜 쪄먹고, 그것도 모자라 뼈까지 발라먹고 진짜 징하게 해쳐 먹는다며 세월호 유가족 들을 비하하는 발언을 해 파문을 일으킨 차명진 전 의원의 막말들을 보면 사적 공간이라도 도저히 할 수 없을 것 같은 언행들임에도 공적 공간에서 침투하도록 사회가 허용한 것이라 생각하다.

인상적인 글

철저한 사유의 고통보다 순종의 편안함을 바라는 사람은 누구나 그런 결과에 도달할 수 있죠. 평범성은 의미없음을 뜻하는 게 아니라 사유하지 않는 걸 뜻해요 본문 2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