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을 잘 다루니 인간관계가 쉬워졌습니다 - 갈등에 서툴고 막막한 사람들을 위한 책
이민식 지음 / 메이트북스 / 2019년 3월
평점 :
품절


갈등을 다루니

인간관계가 쉬워졌습니다

이미식 지음

 

얼마 전 100프로 상대편의 오해나 착각으로 갈등이나 불화로 갈 문제가 아니지만 관계가 틀어졌다. 그러나 바로 잡기는 힘들었다. 어떻게 그렇게 하나를 오해하고 왜곡할 수 있을까? 좀처럼 이해할 수 없었다. 그러나 예민하고 투사이전에도 알고 있었는데 직접적으로 나와 관련이 없어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지만 그런 신호가 없던 것은 아니다. 문제는 나 역시 불화나 갈등이 생기면 문제에 대한 행동을 잘 다루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갈등인간관계란 단어에 꽂혀 읽었다. 내가 생각한 책은 아니었다. 정혜신의 [당신은 옳다]에선 여러 다채로운 감정의 변화를 느꼈다면 이 책은 경제학의 게임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관계를 펼쳐나간다. 심리적 문제치유보다는 인간의 관계를 게임이론을 바탕으로 한 전략적 사고로 인간 상호적인 관계와 갈등에서 효율적이며 최선의 전략을 선택할 수 있는 융통성을 말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적용하기는 참 어렵다고 느낀다. 그리고 게임이론이 인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할 수 있어 매력적이지만 정말 개개인들이 게임이론의 여러 전략을 하나 이상 구사하고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세상의 인간관계는 더 단순할지도 모르겠다.

독립이라는 것은 환상에 불과하다. 우리 모두는 타인으로부터 자유롭거나 독립되어 있을 수 없다 타인이라는 매개를 통해 무엇을 얻으면서 사는 것은 인간의 숙명이다 본문 70

관계가 풍부하거나 좁을 수는 있어도 관계가 제로 일 수는 없다. 교류를 통해 풍부하고 행복감을 얻기도 하고 타인과의 관계로 심리적인 소모전을 치루기도 한다. 무조건 좋은 인간관계란 있을 수 없으며 인간관계엔 항상 갈등이 존재한다.

문제의 크기나 심각성을 결정하는 것은 당사자들이 느끼는 불화의 정도와 관계가 있다. 결국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것이다

문제가 커도 불화를 작게 느끼면 갈등을 해결할 수 있지만 문제가 사소해도 불화가 크면 갈등이 증폭된다. 개인적이고 주관적이란 것은 사람마다 의미, 가치, 성격 등이 다 다르며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받아들이고 느끼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갈등을 조절해서 문제를 해결하려면 대화 방식이 중요하다.  잘잘못을 따지거나 비난, 낙인찍기, 심리 분석 해석 자격을 따는 것, 충고 등은 지양하고 있는 그대로 보고 들은 것, 관찰한 것을 말하기, 상대의 말을 주의 깊게 잘 듣고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기, 매우 어렵지만 비판과 비난을 공감하며 반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어렵다. 결국 상대의 비판이나 비난을 여과 없이 듣지 않고 필터링해서 공감하려면 성숙하지 않으면 안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