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문화사 4 - 국가 1920~1960 유럽 문화사 4
도널드 서순 지음, 오숙은 외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권은 1920년부터 1960년까지의 시기를 다룹니다.

이 시기에는 파시즘의 등장과 세계대전이 있었지요. 즉 국가주의의 시대입니다. 모든 곳에서 국가 개입이 늘면서 문화시장에도 국가가 개입하는 시기이지요.

원래 국가는 늘 문화에 관여해왔습니다. 하지만 20세기에는 국가가 결국 중심적인 자리를 차지합니다. 그러면서 과거의 귀족후원자들이 떠난 빈 자리를 정치가 채우기 시작했지요. 하지만 문화는 결국에는 재미와 교육을 제공해야 하기에 국가 주도의 문화정책은 대중들에게 외면받게 되지요.

이 시기에는 드디어 미국이 문화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미국은 유럽에 비해 사회학적으로나 경제학적으로 유럽에 앞섰고, 중간계급의 힘이 막강하였기에 미국 문화는 '대중적'성격을 띄게 됩니다. 엘리트문화와 민중 문화의 구분이 점차 희미해지고, 문화 영역에서 돈이 막강한 역할을 하게 되지요. 또한 라디오, 레코드, 유성영화의 발달은 대중음악 시장을 탄생시켰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리기 인류 - 인류학의 퓰리처상 ‘마거릿 미드상’ 수상작
마이클 크롤리 지음, 정아영 옮김 / 서해문집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다른 동물보다 압도적인 신체적 능력은 달리기에 있다고 하지요. 이러한 달리기에 대해 인류학적인 시선으로 바라본다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 문화사 3 - 혁명 1860~1920 유럽 문화사 3
도널드 서순 지음, 오숙은 외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이번 책은 1880년~1920년사이를 다룬다.

이 시기에는 통신혁명이 일어나 국민국가가 강화되고 미국이 문화영역에서 점차 패권을 장악하게 된다.

또한 민중들의 소득이 늘고 여가시간도 증가하면서 중간계급이 팽창하였고, 그에 따라 문화상품 소비자가 늘어남에 따라 문화 생산자도 늘어났다. 그리고 덕분에 어느 소설들은 이제야 고상한 장르로 여겨지게 된다.

문화시장의 양적 팽창은 이제까지 배제돼온 소수민족들에게도 기회를 주게 되었고, 덕분에 유럽의 유대인들이 문화 시장에서 크게 성공하지만, 이는 반유대주의가 퍼지게 되는 이유가 되었다.

이 시기의 가장 특별한 현상은 수많은 기술혁신으로, 이로 인해 책값이 드라마틱하게 하락하였으며, 덕분에 독서 시장은 엄청나게 팽창하였다. 그리하여 국제적인 베스트셀러가 등장하게 되고, 유럽 전역에서 모방과 상호교배과정이 진행되면서 유럽 문화는 한층 균질화된다. 그리고 에밀 졸라로 대표되는 공적 지식인의 존재도 탄생한다.

또한 글자를 읽을 수 있는 중간계급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언론이 발달하였고, 이 언론은 정치권력과 결탁한다. 이 시기에 문화적 민주화와 정치적 민주화가 같이 진행되었기에 언론과 정치권력의 결탁은 언론을 하나의 권력으로 만들었다.

또한 이 시기에 드디어 녹음이 가능하게 되고 영화와 합쳐져 문화의 중대한 혁명을 일으킨다. 영화는 대중선거, 대중주의 독재, 대량소비의 세기인 20세기에 어울리는 새로운 '민주적'매체로, 결국 유럽 문화사 3권에서 다루는 시기는 대중적인 여가와 오락의 성장과 맞물려 문화적 민주화가 진행된 시기라 특징지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