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 - 세계-유한성-고독
마르틴 하이데거 지음, 이기상 옮김 / 까치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는 하이데거의 철학에 조금은 다가설 수 있을까요? 다시 한 번 하이데거에 도전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필로스트라토스의 그림들
필로스트라토스 지음, 최미 옮김 / 필로소픽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 로마 고전을 좋아해 기쁜 마음으로 펀딩에 참여했습니다. 독서가 기대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드거 앨런 포 단편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08
에드거 앨런 포 지음, 전승희 옮김 / 민음사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유명한 작가이지만 이래저래 사정이 맞지 않아 아직 읽어보지 못한 작가들이 몇 있는데 에드거 앨런 포도 그 중 하나다. '검은 고양이'정도를 어쩌다 스치듯 봤고 나머지 작품들은 읽어보지 못했는데, 이번에 독서회에서 여름 특집으로 읽게 되었다.

읽어본 느낌은, 과연 명불허전.

에드거 앨런 포가 고딕소설, 공포소설, 환상소설, 추리소설의 아버지인데 이 단편집이 그것을 증명한다. 특히 각 장르별로 거의 완성된 모습으로 글이 쓰여져 있어, 에드거 앨런 포가 받은 찬사가 과히 아깝지 않다. 정말 그가 근대문학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음이 확실히 보인다.

결국, 문학사적으로도 중요한 작가이지만 작품성과 재미도 분명히 보장되는 작가라는 결론. 특히 그 작품들이 아직도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더욱 대단한 작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 문화사 5 - 대중매체 1960~2000 유럽 문화사 5
도널드 서순 지음, 오숙은 외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권은 유럽문화사 시리즈의 마지막으로 1960년~2000년까지를 다룬다.

이 시기는 본격적으로 대중매체를 기반으로 한 대중문화가 발달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본격적으로 텔레비전이 가정에 설치되기 시작하였으며, 워크맨의 등장은 음반시장의 팽창을 이끌었다. 특히 텔레비전은 언론, 영화, 라디오, 극장, 축음기가 주던 것을, 사람들이 집 안에서 힘 안들이고 직접 누릴 수 있게 해주었고, 이는 문화의 민주화를 완성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텔레비전이 만들어낸 시청자공동체는 본질적으로 국민공통체이기에 텔레비전은 초기에 국가의 통제하에 있었으나 점차 민영화되었다.

사실 2025년 현재의 상황에서 이 시리즈는 조금 아쉬운 감이 있다. 이 책에서는 거의 뒷부분에서 인터넷이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서술하긴 하였으나, 2007년 애플의 아이폰의 탄생이라는 사건이 그다지 언급되지 않았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문화 전반에 대한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고, 콘텐츠를 구독료를 내고 스트리밍으로 소비한다는 새로운 문화와 문화 시장의 새로운 수요 창출, 그리고 국제적으로 확대되는 시장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즉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진 소비패턴이 등장하는데, 이 책에서는 이 부분까지는 다루지 못했다.

하지만 이 시리즈를 통해 현대의 대중문화의 시작점이 어디인지, 그리고 어떻게 문화가 상품화되고 소비되었는지 그 역사를 살펴본 것은 더할 수 없이 귀한 독서 경험이었다. 꼼꼼하고도 짜임새있게 잘 쓰여진 역사서이고, 문화라는 것이 인간에게 가지는 가치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