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스도를 본받아 (리커버 양장 에디션) - 라틴어 원전 완역판
토마스 아 켐피스 지음, 박문재 옮김 / CH북스(크리스천다이제스트) / 2018년 1월
평점 :

“「그리스도를
본받아」를 읽는 순간
우리는
어째서 이 책이 누대에 걸쳐
영적
독서의 베스트셀러 목록 가운데 앞머리를 차지하고 있는지 깨닫게 될 것이다.”
-
유진 피터슨 (Eugene H. Peterson)
이 책은 15세기 네덜란드 공동생활 형제단의 수도사인 토마스 아 캠피스가 신입 수도사들의 영성훈련을 위해 쓴 책이다. 중세 시대에 사회가
혼란하고 기독교가 영적으로 세속화 되었을 때, 수도원은 교회의 꽃이자 영적 샘물이 되었다.
그런 수도원의 수도사들을 영적이고 경건한 삶과 굳건한 신앙을 유지할 수 있게 지침이 될만한 신앙 기본 지침서가 필요했을 것이다.(책 서문
일부 참조) 그러기 위해서 제목과 같이 우리가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는 삶이 되어야 함을 이야기 한다.
이 책은 4권의 챕터로 구성되어있고, 총 114개의 주제로 세부적으로 나누어 이야기 하고 있다. 주제로 들어가면 번호가 부여되어 한결 읽기
편하게끔 정리 되어있다.
수도사들에게 권면하는 이야기라는 걸 생각하면 목회자나 신학관련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에게는 다소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이 그리스도 예수를 따르는 자에게 제목과 같이 그를 본받는 삶에 대해 말하는 것이라면 우리는 부담스러워하기 보다 겸손한 마음으로
따르기를 결심하며 읽어야 할 책이 아닌가 싶다.
부드럽지만 진리를 호소하고 그리스도인으로써 가야할 길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일단 마음을 편하게 두고 읽어볼 수 있다. 그런 부드러움 때문에
우리가 마음을 열고 우리의 죄와 내면에 대해서 차근차근히 접근하기가 쉽다. 하지만 부드럽다고 해서 진리에 대해서까지 물렁물렁하지 않다.
오히려 단호하고 결단력있다.
1년 넘게 지각하지 못했던 것들이 있었다. 그 존재조차 인식하지 못했는데, 이 책을 읽고는 그것들이 서서히 보였다. 그리스도
예수보다 더 사랑했던 것들이 하나하나 떠오르기 시작했다. 이 책은 세세하게 우리의 상황에 대해 다루는 것은 아니지만, 토마스의 말을 힘입어
우리의 마음을 천천히 조명하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발견할 수 있다.
나도 모르게 하나님의 말씀이나 진리가 아닌 다른 것들이 내 마음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사람의 인정, 그리고 성취, 재물 등 그것들을
끊임없이 갈구하고 채워지지 않을 때는 열등감을 갖고, 끝도 없이 불안하고 두려워했다. 하나님이 아닌 것들이 서서히 들어올 땐 내 자신의 상황을
인식할 수 없다. 그분의 빛이 내 마음을 비추셔야 내 상황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이 책을 읽고 그렇게 그분의 빛이 내게 비추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그것들을 직면했을 때 처참했지만, 그 모든 것을 예수그리스도의 온전한 진리로 덮었을 때 마음의 평안으로 안정될 수 있었다.
내가 고민하며 안달복달하던 것이 그분의 진리 앞에서는 아무것도 아닌게 되었다.
그리스도인은 예수그리스도의 진리를 붙잡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리스도를 본받아야 한다. 그분이 가신 길을 따라가야 한다.
이후에도 우리가 고난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지는 삶을 담담히 감당할 수 있도록 능력얻기를 바란다. 이제 그분의 진리로
평안해진 이 마음을 하나님과 교제하며 유지하고 그분의 삶을 조금씩 알아가며 따르기를 원한다.
이 책은 단숨에 읽기는 다소 아쉬운 면이 있다. 너무 많은 것들이 내 속을 훑고 지나가서 감당하기 어렵다고나 할까? 오히려 한 챕터씩
매일매일 묵상하며 하나님과 교제의 시간을 갖으며 읽기 딱 좋을 책이다.
이 책을 읽지 얼마 전에 한 스님의 책을 읽었다. 종교에 관해서는 배타적인 편인데, 그 책을 읽고서는 그동안에 답답하게 막혀있던 갈증이
씻겨내려가는 느낌이었다. 한편으로 아쉬움이 컸다. 기독교에서는 왜 이렇게 현실적으로 감칠맛 나는 책이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서 나의 무지함을 탓했다.
답을 들었고, 알고 있었음에도 끊임없이 세상의 말과 위로를 찾아다니는 나....
하나님의 인정보다는 세상의 인정을 얻지 못해서 여러모로 애쓰는 나...
영적으로 무지하게 되고 눈이 가리워지면 하나님의 영광을 볼 수 없다. 참된 평안과 위로는 믿는 자에게는 오직 그리스도께 답이 있다. 이
책에서는 나는 그것을 발견했다.
혼란스러운 사회와 영적으로 무감각해진 이 시대 속에서 그리스도인으로써 갈 길을 충실히 가기란 쉽지 않다.
지금으로부터 600년 전 수도사라는 특수한 상황에 놓인 사람을 위해 쓰인 책일지라도
우리에게 기본과 진리는 그들에게나 우리에게나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 내 심령을 꿰뚫고 지나간 그 빛을 다른 이들도 발견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며 이 책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