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잠든 부를 깨워라 - 적자 인생을 흑자 인생으로 바꾸는 기적의 돈 심리학
새라 뉴컴 지음, 김정아 옮김 / 유노북스 / 201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 자체는 돈 버는 방법을 알려줄 것 같지만, 책 표지를 보면 그런 단편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 같지는 않다.
돈을 모으고 쓰는데 있어서 나의 마음을 읽으라는 책표지의 글은 내가 기존에 알아왔던 돈에 대한 기존 생각과는 다르다.
무언가 애써서 해야할 것 같고, 조금더 부지런히 하라고 채찍질을 요구하는 다른 재정관련 계발서와는 다른 느낌을 준다.
심리학에는 많은 종류가 있다. 각 분야와 접목하여 심리학은 너무나도 다양한 곳에서 적용되어 삶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학습심리학, 체육심리학, 음악치료심리, 미술치료 심리, 소비심리학,,,,, 그냥 생각나는 것만 하나씩 나열하면 이렇지만 너무 많아서 일일히 쓸수는 없다. 그런 점에서 새롭게 돈심리학에 포커스를 둔 점은 너무나 신선하다. 또한, 돈에 있어서 우리의 문제를 색다른 방식으로 해결할 방안을 알려줄 것이라는 기대를 부른다.
새라 뉴컴!
행동경제학자이며 소비자 심리학, 인지심리학, 사회심리학, 의사결정, 개인 자산 관리 분야의 전문가다.글로벌 투자 자문사 모닝스타와 헬로월렛에서 연구와 자문을 맡고 있고, 행동과학 연구 성과를 앱이나 개인용 관리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일을 한다. '괴짜 경제학'에서 시작되어 '젓지'까지 이어진 대중과 정책 입안자들의 관심을 바탕으로 행동경제학이라는 통찰력 넘치는 분야를 사람들의 경제 활동에 적용하는 작업을 이끌고 있다.
라고 그녀를 소개하는 글을 인용하자면 이렇다.
자산관리 분야의 전문가이지만, 그녀는 심리학을 접목시켰다는 점에서 다른 자산관리 전문가와는 구별된다. 우리가 돈에 대하여 행동이 아닌 심리가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는 포인트로의 시작인데, 그녀 또한 그렇게 자신의 자산을 다루는 방식을 변화시켰고 그로 근본적인 해결을 찾았다.
금융지식을 배우지 않은 채 10년을 내 힘으로 먹고 사는 과정에서, 나는 중요한 점을 하나 배웠다. 돈에 신경쓰지 않으면, 돈이 삶을 지배한다. 돈을 알려 하지 않았고 직업 선택에서 돈을 고려하지 않았기에, 나는 일상에서 기회와 자율을 거의 누리지 못했다. 돈을 회피했기에, 나는 궁핌과 돈 걱정이 끝없이 되풀이 될 선택을 했다. 나는 내 재무 살림을 챙기기로 마음먹었다. 그러나 나를 바꾼 것은 책에 나오는 지식이나 자산 계획 기법이 아니었다. 나를 바꾼 것은 심리학이었다. p 8
목차는 아래와 같다.돈에 대하여 흔히 우리가 갖고 있는 심리와 개념들을 살펴본다. 또한 2번째 파트에선 심리적으로 우리가 관점을 바꿔서 새로운 부를 창조할 수 있는 길로 안내한다. 3번째 파트에서는 최종적으로 나 자신에 맞추어 재무계획을 짜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여태까지 우리가 돈을 관리하고 소비하고 다루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의 심리가 적용됨은 여러 책이나 매체의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인간의 소비행태를 통해 심리를 분석해 사용한 기업들은 소비자들에게 소비를 이끌어내왔다. 이렇게 소비심리가 많은 부분 기업의 생산과 판매에 사용되어짐을 부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와 비슷하게 우리가 돈을 다루는 부분에 있어서도 심리가 적용된다는 사실과 더불어 그 심리는 우리의 경험, 신념을 토대로 하며 이 사회와 환경에서 영향을 받았음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우리는 자신이 객관적으로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것 같지만 우리도 모르는 가치와 신념이 영향을 받을 때가 더 많다. 특히나 생각을 할 여유가 없는 긴급하고 갑작스러운 상황에 있어서는 더욱 그럴 것이다. 그런 점에 있어서 저자는 우리의 핵심 신념을 잘 살펴봐야할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가용성발견법과 확증편향같이 두뇌가 쓰는 지름길은 개인의 체험담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체험담을 색심신념으로 바꾸는데 한몫을 한다. 우리가 내리는 결정은 우리가 무엇을 믿느냐에 강하게 영향 받으므로, 당신이 돈과관련해 보이는 행동을 바꾸고 싶다면 당신의 핵심 신념을 살펴봐야한다. p.52
그렇다면 우리의 핵심 신념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저자는 돈 때문에 겪은 스토리를 적어보라고 한다. 이야기의 밑바탕에 핵심신념이 있으며 그 이야기의 체험담이 우리의 행동을 결정한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나는 나 자신이 검소하고 긍정적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많은 것을 소유하지 않았지만, 지금 있는 것에 만족하고 없는 것에 대해 감사할 줄 안다. 집이 작아도 오히려 그것이 미니멀라이프를 할 계기가 되어 쓸데없는 물건을 취하지 않고 집이 깔끔해질 수 있는 효율적으로 살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감사해 한다. 하지만 내 스토리엔 종교적인 신념이 담겨있었고, 착한아이 컴플렉스가 있었다. 성경에는 "네 보물이 있는 곳에 네 마음이 있다(마6:21)"라고 예수님의 말씀이 나와있다. 신앙을 우선으로 추구하는 내게 있어서는 돈을 모으거나 벌려고 안달이 난 사람은 세속적인 사람으로 보였다. 그래서 나는 돈을 벌거나 모으려고 아둥바둥 애쓰는 것을 그다지 좋게 보지 않았다. 또한 돈을 가치있게 써야한다는 가치가 형성이 되어서 기부와 헌금에 할당되어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우선순위를 세운 것은 맞지만, 돈이라는 것에 무작정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내게 주어진 환경에 따라 한정지어서 그냥 현실을 만족하는데에 스스로 타협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도 그것이 긍정적으로 살아가지만 더이상 무언가를 추구하거나 도전하지 않는 삶으로 핵심신념이 영향을 미쳤구나 싶었다.
당신이 돈을 부정적으로 보는 핵심 신념을 지닌 채 자랐다면, 돈을 거부하는 것이 바람직한 삶이라고 쉽게 결론지을 것이다. 나도 끝없이 부를 추구하는 탐욕이 건강하지 못한 태도라고 굳게 믿지만, 충고하건대 가난을 미화하지는 말라. 핵심 신념 탓에 돈이 곧 탐욕이라고 생각할 사람도 있겠지만, 탐욕은 우리가 품는 마음가짐일 뿐이다. 돈이 이미 존재하는 탐욕을 훤히 드러내기는 해도, 있지도 않던 탐욕을 난데없이 만들어 내지는 않는다.p69
우리가 내리는 평가는 우리가 속한 공동체의 문화에 어린 가치, 우리가 자란 환경과 경험으로 빚어낸 핵심 신념, 그리고 이 핵심 신념이 다른 공동체의 가치관과 일치하거나 충돌하는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p108
이 책은 우리의 욕구에 대한 조명을 한다. 우리의 욕구는 우리가 쉽게 파악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 우리도 우리의 정확한 욕구를 알지 못하고 행동할 때가 많지만 저자는 우리의 욕구는 우리의 일부가 되어 정체성을 이루기도 한다고 한다. 이런 것으로 우리는 때로는 객관적이지 못하고 충동적인 소비를 할 때가 있다. 정체성이 위협을 받거나 훼손을 받는다는 위기를 느낄 때, 평가받을까봐 두려워서 구매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그러한 감정과 욕구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감정과 욕구를 중요시 하되 소비로 바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
불안하거나 거부당할 때 내가 정말로 바라는 것은 스스로 멋지다고 인식하는 것, 내 강점을 기억하고 미래가 희망차다고 느끼는 것이다. 이 사실을 이해한 뒤, 나는 돈을 쓰지 않고도 정상 궤도로 돌아오는 효과적인 길을 찾을 수 있었다. 달리기, 뜨거운 거품목욕, 매니큐어 칠하기, 기타치기, 춤추기.... 가 모두 내가 상실이나 실망뒤에 자기 인식을 매끄럽게 되돌리는 방법으로 찾아낸 것이다. p.122-123
그런 점에 있어서 이 책은 똑똑하게 쇼핑하는 법(가치관 확인, 안전한 쇼핑을 위한 규칙), 충동구매에서 벗어나 계획 소비로 갈아타는 법 등을 제시한다. 또한 심리를 사용하여 우리가 심상을 사용하고 미래의 나와 가까워 질것을 제안한다. 그런 점에서 그냥 책을 읽고 지나치지 않고 차근히 하나하나 해보면 너무 도움이 될 것 같다. 우리는 객관적이지 않고 충분히 충동적이고 감정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심리적으로 소비심리를 부추기는 것을 이 책에서 제시한대로 역으로 이용한다면 무분별한 소비를 다스리는 것이 가능하다고 본다.
이 책의 저자가 처음에 말한 것처럼 이 책을 읽고 바뀔수 없다. 이 책을 읽고 자신의 몸에 깊게 배인 사고방식을 하나하나 끄집어 내어 확인해 낸 후 새로운 방식으로 바꾸는 거대한 작업이 남아있다. 그래야 바뀔 수 있다.그런 점에서 3번쨰 파트에서는 실질적으로 도움을 준다. 먼저 소득중심에서 자산 중심으로 관점을 전환하고, 자신의 재원에 주목하여 그것을 활용해 자산을 만드는 법을 제안한다. 또한 그렇게 확보한 자산을 토대로 돈의 출구를 재편성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여기에서 2부에서 이야기한 욕망이 다시 3번째에서 거론된다.
우리가 느끼는 욕구가 모두 가치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왜 그리 중요할까? 욕구는 무시한다고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가 자신의 깊은 욕구를 용인하지 않을 때, 흔히 욕구는 더 커지고 욕망이 점점 목소리를 높인다. 어떤 지출을 줄이려 했다가 결국은 저도 모르게 돈을 펑펑 쓰고 만적이 몇번이나 있는가? p205-206
그동안 우리는 소비를 하는 방식, 자산을 다루는 방식에 대해서는 많이 접해봤지만, 우리의 욕구를 점검해야한다는 것은 우리가 알아왔던 방식과 다르다. 하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우리의 모든 소비행태는 욕구를 뿌리에 두고 행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을 억눌러도 나중에 그것이 분출되어 다른 더 큰 소비를 일으킴으로 방법론적인 제안에 회의감이 들었다.
바로 문제는 범인은!!! 욕구였다!!
정말 충격적인 사실이다. 아무도 욕구에 대해 관심을 주지 않았었다. 그런데 욕구라니?? 라는 생각과 함께 허탈하기도 하다.
하지만 뭔가 기대감과 해소감이 들게하는 단어의 발견이다.
따라서 저자는 욕구를 살펴보고 욕구를 채우도록 전략을 조정하라고 한다. 우리의 욕구는 어떤 것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모든 욕구를 충족할 수 있게 조정해야한다. 이럴 때 욕구지도를 그려보는 것이 좋다. 현금흐름 평가표의 지출칸에서 지출의 원인을 찾아 지출에 도움을 받는 욕구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현재 돈을 써어 어떤 욕구를 채우는지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우리가 어떤 욕구를 채우는데 돈을 자주 쓰는지 잘 파악할 수 있다. 그 욕구를 적은 지출로 더 많은 욕구를 채우도록 전략을 세우는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우리 자신의 알 수 없는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서 소비해왔다. 그냥 소비를 하면 채워지는 그 잠깐의 느낌을 위해서였다. 하지만 그 욕구라는 근본 원인을 파악했고, 욕구를 해소하는 방법이 꼭 무분별한 소비는 아닐 수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 한다. 그것은 개개인이 자신의 욕구를 파악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이끌어내어야할 부분이기도 하다.
앞서 나간다는 것은 이웃보다 좋은 텔레비전이나 차가 있다는 뜻이 아니다. 그런 물건들은 존경이나 존중 욕구, 또는 자신이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고 싶은 욕구를 채우는 전략인 데다, 욕구를 채우기에는 돈이 너무 많이 들어 효과가 낮은 방법이다. 앞서 나간다는 것은 경쟁한다는 뜻이 아니라, 당신이 가진 재원으로 오늘도 내일도 당신의 모든 욕구를 채울 수 있음을 알았을 때 함께 오는 평안하고 만족스러운 느낌이다. 233p
저자의 결론은 이게 아닌가 싶다.
돈은 당신의 욕구를 충족하는데 쓰인다. 당신이 가진 돈의 원천이자 종착점이 바로 당신이다. 당신이 소유한 돈을 창출하고 소비하 사람이 당신이다. 당신이 가진 돈은 당신에게서 나와 당신에게로 간다. 당신이 유일한 통제자다.p261
많은 사람들이 부유한 사람이 되기 위한 방법과 과정을 알고 싶어한다. 그것을 따라서 부유해지려고 한다. 하지만 저자는 그런 관점이 아니라 나 자신이 유일한 통제자이며 자신이 주인이 되어 주체적으로 파악하고 판단하여 해결할 것을 제시한다.
사람은 각자 다 다르다. 그 다르다는 것을 알고 다른 사람을 따라가려고 하거나 혹은 다르다고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이 가진 재원과 재화인 자산을 가지고 현명히 자신의 욕구 판단해 해소하고 소비하는 것!
그것이 진정 나 자신안에 잠든 부를 깨워 부유해지는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아닐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