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을 배우다 - 불확실성의 시대, 우리가 알아야할 새로운 돈의 프레임
권오상 지음 / 오아시스 / 2017년 3월
평점 :
원래 돈에 관심이 없다.
그래서 여러 분야의 독서를 했다고 얼핏 생각했지만,
가만히 보니 경제관련책을 읽은 기억이 없다.
억지로 끼워서 읽은 적 있다고 쳐도 완독한 적이 없다.
얼마나 관심이 없었던 것인지,
내 분야가 아니라고 이미 포기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하지만 '돈'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우리와 너무나도 밀접하게 위치해 있다.
그런데 관심도 없고, 무지하다면 더욱 그에 대한 공부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나 자신만을 책임지는 위치가 아닌 가족의 생계를 관리하는 위치에 있는 주부임을 생각해보니
관심밖이라는 핑계로 단지 회피할 수만은 없는 분야(?)라는 것을 직면한다.
그렇게 생각하던 중에 발견한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사람들은 돈에는 엄청난 관심을 갖고 있다.
더이상 계급이나 인종으로 차별되지 않게끔 돈으로 모든 장벽이 허물어졌다.
돈이 있으면, 더 나은 삶과 안정된 삶이 보장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더욱 돈을 벌고자 한다.
하지만 실제에 돈에 대해 알고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은 찾기 어렵다.
전문가들의 정보나 주변의 성공한 사례를 의지하여 돈을 손쉽게 벌고자 하지만
정작 본인이 돈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 것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깨닫지는 못하는 것 같다.
이 책은 현지 금융감독원의 연금금융실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저자가
'돈'을 전문가등 다른 이들의 전유물로 맡겨둘 것이 아니라,
중요한 문제로써 주체적으로 공부할 것을 권유하며 적은 책이다.
남다르게 돈을 잘 버는 방법, 핫한 투자분야 등에
관심을 갖는 많은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하는 책은 아닌 것 같다.
그걸 저자도 각오하고 기대하지 말라고 한다.
사람들의 돈을 향한 욕구를 이용해 단편적이고도 근시안적인 것들을 해법으로 제시하며 꾀는 책들과 달리
돈에 대하여 거시적이고 기본적인 안목에 도움을 주고자 한
이 책의 의도자체가 내게는 더 관심이 가게 된 것같다.
단순히 돈은 벌고 쓰고 모으고 재테크 하는 것으로만 알았다.
인류가 있고 그들에게서 교환이 있으며, 물건의 가치가 생기면서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하기까지의 돈의 역사가 굉장히 깊은데 있어서
그 안에서의 역사와 철학 등이 인류의 삶과 밀접하게 있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즉, 돈이 우리가 생각한 것만큼 단순하지 않다는 것이다.
일상에서의 돈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어떠한 것들이 돈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그 속성이 이루어지는지 다양하게 이 책에서 다뤄진다.
읽고나니 이런 '돈'에 대해서 단순히 벌기 위해,
많이 거두기 위해 접근하는 것은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장님 코끼리 만지기 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런 근시안적인 돈에 대한 접근으로는 돈을 쥐는 것은
말그대로 그때만 쥐는 것처럼 보일 뿐이지 총체적인 안목으로 봤을 때 쥐는게 아닌 것이라는 것이다.

이책은 간단히 목차를 소개하자면,
1장 왜 돈을 배워야 하는가?
2장 돈의 기본프레임(수량, 시간, 불확실성, 마찰)
3장. 돈을 버는 법
4장 돈을 불리는 법
5장 돈을 쓰는 법
6장 돈을 지배하는 자본주의 시스템
이렇게 구성되어있다.
다른 책과 같이 돈을 벌고 불리는 법에 대해서 나와있기는 하지만
이 책은 먼저 말한대로
속성으로 돈을 벌고 불리는 방법론적인 대안을 제시하는게 아니라
돈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과
우리가 많이 오해하고 눈속임당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적절한 예를 통해서 나와 같은 경제지식초보자들이
비교적 쉽게 경제적인 개념에 대해 접근할 수 있게 도와준다.
처음 접하는 개념이 많기도 했고
기본적인 경제 상식에 대해서도 무지한지라
낯설게 보였는데
저자의 친절한 설명과 솔직한 정보제시로
경제에 조금더 편하게 입문한 것 같다.
그와 더불어서
우리가 그간 얼마나 많은 자료들을 자체만으로 오해했는지 알게 되었다.
특히 평균의 오류에 관련된 내용은 내게 너무나도 인상적이었다.
대체로 자료의 평균을 보면서 대체로 그 평균수에 집착하게 되는데
아래의 연봉에 관한 이야기와 같이
우리는 아주 높은 수와 아주 낮은 수가 만들어 주는 평균에 대한 사실에 대해선 간과하는 경향이 있고,
그 평균수가 마치 좌우대칭되는 산모양과 같이 생겨서 평균수가 대부분일 거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또한, 불확실함이 우리가 돈을 대하는데 있어서 얼마나 고려되지 않고 있는지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로또의 성공사례를 보고 우리도 될 것 마냥 그 불확실함을
확실한 듯 꿈꾸고 있지는 않은지...
이 불확실성이라는 개념은
책에서도 많이 언급될만큼
'돈'에서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 있는 것이다.
돈의 이러한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인지해야할 것임을 말해준다.
우리가 돈을 대하면서
혹은 그냥 우리 삶에서 간단히 여기는 것들을 통해서
우리가 얼마나 많은 오해를 하고 있는지
이책을 통해서 다시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단지 '돈'에 대한 이야기라고 보기엔 인문철학적인 통찰 또한 엿보였다.^^)
또 다른 이야기로,
돈을 벌기 위한 가장 최고의 방법이 창업이라는 저자의 결론은
정말 의외였고 무언가 획기적인 것을 기대한 나로써는 실망스럽기도 했다.
내 개인적으로 가장 어려울 것 같은 방법이
역시 돈을 많이 벌수 있는 방법이라는 데에 대한 실망이다.
또한, 그 결론을 지지하기 위한 근거를 통해서
알려준 우리의 사회의 시스템들은
내가 접하지 않았던 것이어서
새로우면서도 유익했다.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된 정보와 근본적인 분석은
그야말로 유익할 뿐 아니라
손쉽게 '돈'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를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또한 돈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단순하게 보이는 것만 보는게 아니라
그 보이는 너머의 것들을 알고자하는
비판적인 접근과 안목에 대한 의식이 생긴 점에 대해
굉장히 유익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