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을 사냥하는 자들 그리폰 북스 4
바버라 햄블리 지음, 이지선 옮김 / 시공사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인간의 피를 취하는 존재들을 칭하는 여러 단어들 중 뱀파이어란 단어는  공포와 함께 왠지 모를

마력이 깃들어 있는 것 같다.

그 종족 자체가 인간을 유혹하기 위해 뿜어내는 거부할 수 없는 마력처럼 말이다.

이 책은 뱀파이어를 다루고 있지만 공포나 호러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 같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미스테리 스릴러와 판타지의 결합정도로 봐야할 것 같다. 그렇다고 해서

그리 경박한 느낌의 책도 아니다. 뱀파이어 자체가 현대보다는 중세의 풍취를 자애내는

존재라서인지는 몰라도 왠지 고풍스럽다.

이 책에서는 인간의 피를 빠는 혐오스런 뱀파이어의 특성보다 그들의 고통이나 권태, 허무등을

더 부각시켜서 읽는 이로 하여금 연민과 함께 애정을 느끼게 만든다.

그중에서도 이지드로는 단연 발군이다.

연약하고 섬세하면서도 우아함을 간직한 옛 스페인의 귀족.

런던에서 갑자기 벌어지는 뱀파이어의 살해범을 찾기 위해 이지드로에게 고용된 애셔교수.

수사를 하면서 여러 명의 뱀파이어를 만나지만 그들 중 희열에 가득차서 인간을 사냥하는

이들은 거의 없었다. 그들은 영생을 얻었지만 정신은 시간이 지날수록 쇠퇴해지고 점점

소멸되어 가고 있었다. 안식을 원하는 뱀파이어...

이 책에서는 뱀파이어를 어떤 바이러스에 감염된 질병이라 보고 그 백신을 만들고자 하는가 하면

그들의 피를 연구해 강한 힘을 소유하려 하는 인간도 나온다. 모든 현상을 과학으로 해결하려는

인간들의 오만이 여기에서도 드러나는 것 같아 웬지 씁쓸했다.

미스테리의 마지막의 결말은 조금 엉뚱하다.

다른 사람들이 뱀파이어와의 인터뷰와 유사하다는 의견이 많지만

지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탐욕스런 흡혈귀의 모습보다는 고풍스런 분위기와 매력적인 모습에

더 끌리는 것이 당연지사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월의 밤 기담문학 고딕총서 3
니꼴라이 고골 지음, 조준래 옮김, 이애림 그림 / 생각의나무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우크라이나의 민간 설화를 소재로 한 이 책의 느낌은 공포나 으스스하기보다는

기괴하다는 느낌이 더 강한 것 같다.

익숙하지 않은 존재들에게 오는 낯설움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여기에 등장하는 악마나 마녀는 '마'나 '악'을 대변하는 강력한 존재라기 보다는

인간의 일상에 침투하여 그들을 유혹하고 조롱하는 익살꾸러기에 가까운 것 같다.

물론 '비이'에 등장하는 흡혈귀나 '성요한제 전야'에 등장하는 악마는 제법 섬뜩하다.

그들은 인간의 운명을 조종하고 가혹한 대가를 요구한다.

이 이야기들이 비극으로 끝나는 것은 현실에서 일어나는 악마와의 싸움에서

반드시 선이 승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

역시 대부분의 설화나 민담에서 들려주는 것처럼 교훈적인 요소들이 다수 포함돼 있기도 하다. 

 '옮긴이의 말'에서 들려주는 고골과 관련된 괴담은 그가 지어낸 이야기들만큼이나

섬뜩하고 괴기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