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의 손 ㅣ 밀리언셀러 클럽 104
모치즈키 료코 지음, 김우진 옮김 / 황금가지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흔히 창작의 고통이란 말을 많이 듣는다.
실제 작품으로 나오기까지 그 고된 작업은 일반인으로선 상상하기 힘든 어려움을 수반한다고들 하는데, 그럼에도 여전히 손에서 필치의 손을 오늘도 여전히 놓치않는 작가들의 열성이 다시금 생각나게 하는 책이다 .
어느 날 출판사 편집장으로 근무하는 미무라는 내과의사 히로세의 전화를 받게 된다.
자신의 환자 중 다카오카 마키란 여성이 있는데, 자신이 쓴 작품이라며 보여준 것이 초보작의 자품치고는 완벽할 정도의 프로성 작품이었고, 특이한 것은 바로 미무라를 지목하면서 꼭 이 작품을 보여주란 부탁을 받았다는 것-
그것의 제목은 "녹색 원숭이"란 작품이었고 이를 본 미무라는 놀라게 된다.
바로 3 년젼 행방불명이 된, 천재적인 재능을 지닌 기스기 교코의 작품이었던 것-
그런데 어째서 이 작품이 다카오카란 생면부지의 여성에게 나온 것일까?
바로 그 시기에 별 볼일 없는 여류작가 혼고 모토코는 [꽃의 사람]이란 작품으로 좋은 호평을 받은 데 이어 출판기념까지 하게 되는 경사를 맞게 되지만 누군가로부터 그 작품은 도조된 것이란 경고성 말을 듣게 되면서 불안에 휩싸이게 된다.
한 편 기베 미치코라는 여성은 일반 주간지 취재를 하는 기자로서 3 년전 유괴된 채 행방불명이 묘연한 남아의 사건을 취재하고 있던 차, 한 때 동료였던 다카오카로 부터 위의 사건을 듣게 되고 사건해결을 위한 제의를 받게 되면서 이 두 갈래의 사건은 전혀 상관이 없을 듯 보이는 것 같은 설정이 시시각각 묘한 스릴과 함께 긴장감을 풀어놓지 못하게 한다.
기스기 교코는 천재라고 말 할수 있는 여성이었다.
자신의 작품, 그것도 오로지 쓴다는 행위 외엔 타 작가의 작품도 자신의 작품조차도 한 번 쓰면 되돌아보지 않는 특이성 때문에 자신의 진가를 알아 줄 미무라를 찾아갔던 것이었고 바로 그 자리에서 미무라는 그녀의 재능을 알아봤지만 현실의 세계와 자신 안에 간직되어 온 괴물과의 싸움에서 항상 고독을 안고 살아가던 여자였다.
불륜의 관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을 표현해 내는 말 조차도 싫어했고, 그녀가 남긴 작품들을 찾아서 사건의 해결 실마리를 찾아가는 의사 히로세의 집념, 그녀의 존재 자체가 지닌 이미지가 훼손될까봐 사건에 참여를 할 수밖에 없었던 미무라란 두 남성의 사랑 방식은 결국엔 이도저도 아닌 기스기 교코란 여인이 가진 뿜어낼 수밖에 없었던 광기를 감당해 낼 수없었던 사람들로 비쳐진다.
자신들 만의 방식으로 그녀를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남아주길 바랬던 두 남성의 집요했던 사랑의 결말은 창작에 대한 자신의 괴물과 힘겹게 싸워왔지만 현실에서는 그 마저도 용납을 할 수없었던 어느 한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여인이 가진 창작열을 빗대어 스릴과 함께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녀는 종종 그렇게 말했다.
‘손가락이 멋대로 움직여요.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기분이 들어요. 혼자서 말을 하고, 의식이 생겨나요. 몰랐던 말이 화면에 나타나고, 그게 신기하지도 않죠. 인물들의 움직임, 대화, 이미지가 언어화되어 색이 입혀지고, 분위기를 느낄 수 있어요. 무엇 하나 놓칠 수 없어요. 그저 내 손가락의 움직임을 따라 쫓아가는 거죠.
피로한 줄도 몰라요.
배고픈 것도 몰라요.
머릿속이 가스가 충만한 듯 긴장되고, 손가락 감각 이외의 모든 게 사라지죠. 누군가가 전원 플러그를 뽑고, 나는 나 자신으로부터 분리돼요.’ (p.117)
넘치는 글쓰기에 대한 정열을 감추지 못했던 여자-
신의 손이라 불릴 정도의 인정을 받았음에도 자신이 하고자 했던 것을 실천했고 주위의 사람들마저 끌어들여야 했던 여자-
소설을 쓴다는 것은 의식과 무의식 사이를 떠다니는 말들을 잡는 것이라고. 그리고 소설가란 마음 속에 괴물을 한 마리 키우고 있다고. 그 괴물을 키우면서 작가가 되고, 그 괴물에 잡아먹히게 될 때 자살한다고....라고요.-p 50
그로 말미암아 남겨진 사람들에게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존재로 남게 한 여자 , 기스기 교코란 인물을 통해 출판계의 여러가지 상황들, 창작에 대한 고통과 괴물을 뛰어 넘어서고 자신만의 색채를 느낄 수있는 작품으로 탄생하는 과정까지, (결국 기스기는 그 괴물과 함께였지만....) 그럼에도 읽고 난 후에 기스기 교코가 꼭 그렇게 해야만 했을까 하는 광기의 실체에 대해선 이해가 가지않는 부분도 더러 있었다.
전작인 대회화전을 읽은 독자라면 이 작가의 처녀작을 다시 읽을 수있다는 기회와 함께 내 개인적인 생각으론 소재와 구성면에선 물론 차이가 있지만 이 작품보다 점차 일취월장의 발전을 했다는 느낌을 준 대회화전에 더 점수를 두고 싶단 생각이 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