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런 이야기 ㅣ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알레산드로 바리코 지음, 이세욱 옮김 / 비채 / 2014년 4월
평점 :
요즘엔 그 흔하던 흙을 볼 수가 없을정도의 시멘트 길 투성이다.
그것이 인간의 문명의 이기를 대표하는 것일 수도 있겠지만 때론 비가 내리면 거리에 흙탕물을 튀겨가며 비를 맞고 동네를 뛰어다닌 장면을 볼 수있었던 영화가 그립기도 하다.
'길'이란 소재는 많은 작품 속에 중요한 소재로도 쓰이고 그 한 단어 안에 포함된 여려가지 의미를 내포하는 방식으로 생각한다면 비단 문학 뿐만이 아니라 인생의 한 '길'이란 의미에서도 많은 뜻을 가진다.

1903년의 이탈리아, 파리에서부터 자동차 경주가 시작되었다
많은 사람들은 224대의 경주용 차가 프랑스를 거쳐 에스파니아로 질주하는 경주를 보기 위해 일찍부터 거리에 나서게되고 뜻하지 않은 사고로 인해 많은 운전자와 거리의 시민들이 사고를 당하는 불행을 겪게된다.
이런 서막 속에 울티모는 이탈리아어로 마지막, 막내란 의미로 주로 아이를 낳고 더 이상 낳길 원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이름이란다.
어린 울티모는 첫 째이자 막내로서 이 이름을 얻게되었고 허약한 체질은 유달리 섬세한 체격을 가지고 자라게된다.
소 26마리를 키우던 아버지 리베로는 선견지명이 있어 미래의 자동차의 세계가 올 것임을 자각, 소를 팔고서 정비소를 차린다. 하지만 한적한 시골에서 발달하지 않은 도로에 차를 갖고 오는 사람들은 드물고 아들과 같이 자동차에 대한 정비공부를 해 나가던 중 울티모는 한 가지 자신의 꿈을 갖게된다.
바로 자신이 꿈꾸는 길은 아무도 상상해본 적 없는 길, 시작하는 곳에서 끝나는 길, 세상 어디로도 통하지 않고 자기 자신에게로 통하는 길, 지상의 모든 길을 하나로 아우르는 길, 길 떠난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다르고 싶은 자동차 서킷이다.
딤브로시오 백작의 우연한 방문은 곧 이들 부자와 엄마인 플로랑스와도 긴밀한 관계가 되고 아버지와 같이 나간 경주에서 백작은 사망, 아버지는 불구라는 신세를 맞이하게 된다.
백작이 준 오토바이로 아버지가 입원해 있는 병원에 가는 길에서 울티모는 또하나의 인생길을 터득한다.

제 1차 세계대전이 진행되던 곳 카포레토의 전투에서 전우의 배신과 이별, 미국에서 엘리자베타란 러시아 여인과의 서로간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헤어지게 된 사랑에 대한 이별, 그 후에 울티모는 이복 동생과 함께 온전히 자신이 그리던 길을 설계할 꿈에 부풀게된다.
울티모란 주인공을 통해서 그가 걸어온 여러가지의 사연이 담긴 인생의 '길'을 묘사한 이 책의 내용은 한 명의 주인공이 계속 나오는 것이 아닌 여러 화자가 울티모와 관계를 맺으면서 그와 관련된 주위 인물들의 이야기와 함께 울티모의 인생이야기 겸 모든 사람들의 그렇고 그런 인생을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의 여러 굴곡진 삶의 모습을 비추어준다.
아무도 그런 길을 얻을 수없고 누구도 그런 길을 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울티모는 그 자신의 인생길을 부자일수도 있었던 여건을 뿌리치고 혼자의 힘으로 오로지 , 전쟁포로 신세로 변해 생활하면서도 자신이 꿈꾸어 오던 길을 개척할 수 있는 땅을 발견하는 장면은 그 자신의 신세계를 경험하는 듯한 영상을 기억하게 한다.

울티모의 행적을 쫓는 엘리자베타의 경우도 자신이 사랑과 세상에 대한 복수 때문에 울티모와의 이루어질 수없었던 사랑을 찾아가는 행동도 기억할 만한 장면이다.
쉽게 수소문해서 만날 수도 있었던 울티모의 존재를 그녀는 울티모가 그려준 , 그가 꿈꿔오던 서킷의 장소를 찾아냄으로서 그가 이루고자했던 빛나는 최대 하일라이트인 경주를 함으로써 이루지 못했던 울티모와의 사랑의 확인을 하는 장면은 뭉클한 감동을 주기까지 한다.
***** 사람들이 오래 사는 것 같아도 사실은 안 그래. 사람들이 진정으로 사는 시간은 그 긴 세월의 작은 부분일 뿐이야. 다시 말해서 자기가 무엇을 위해 태어났는지를 알고 그것을 성공적으로 해내는 시기에만 진정으로 살았다 할 수 있어. 그런 시기에 사람들은 행복해. 나머지 세월은 기다리거나 추억하는 시간이야. 기다리거나 추억하는 때에는 슬프지도 행복하지도 않아. 슬퍼 보이기는 하지. 하지만 그건 그저 기다리고 있거나 추억하고 있기 때문이야. 기다리는 사람들은 슬프지 않아. 추억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야. 그들은 그냥 멀리 있는 것뿐이야. 나는 기다리고 있어. - p 264
저자의 이력이 신선하다.
음악과 문학의 접목을 통해서 새롭게 시도하는 방법을 통해 이탈리아는 물론 여러나라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하는데, 읽는 동안 교향악단의 모습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든다.
음악회를 가다보면 우선 본격적인 음악을 연주하기 전에 각자의 파트에 맞는 선율조율과 함께 할 파트끼리 잠깐씩 맞춰보는 경우를 볼 때가 있다.
그 과정에서 때론 조화롭지 못한 불협화음의 소리가 결국은 지휘자의 손 동작 끝에 실린 작고 가느다란 지휘봉에 온전히 자신의 실력들을 쏟아부을 때 최상의 소리가 들려오듯이 이 소설 속의 각 파트별로 만나는 사람들도 울티모라는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서 때로는 유연한 흐름이 있다가도 공포와 실망의 같이하는 어두운 터널같고 굽이진 고개를 따라 사랑이란 풋풋함을 느낄 수있는 사랑스런 흐름이 이어지는 부분, 다시내리막길로 치닫는 여정들이 결국 울티모 그 자신이 걸어 온 인생길을 그대로 표현한 서킷의 장소를 다시 서막에 비치는 1903년의 자동차 경주와 엘리자베타, 그녀 자신이 울티모의 인생길을 밟아 기억해가는 여정이 '길' 그 자체로 결국 처음 왔던 길이자 세상의 끝인 자신의 길로 통하는 것임을 서로 맞물리게 설정한 글 구성의 흐름이 인생이란 이런 이야기 속에 한 단면이요, 전 생애에 걸쳐 모두가 쏟아내게되는 일임을 깨닫게 해주는 잔잔한 소설이다.
'이야기는 양탄자 같은 것이고, 그것을 직조해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는 이는 작가다. 결국 글쓰기란 서사의 한 올 한 올이 생명력을 가질 수 있도록 완벽히 제어하는 작업이다.'
작가의 이 말대로 하나의 이야기들이 이렇듯 한 작품으로 탄생하게 되는 서사구조가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울티모처럼 자신의 꿈을 위해 오늘도 우리들은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한 물음을 갖게되는 이 소설은 만남과 헤어짐, 용서와 후회를 느낄 수있는 다양한 길 위의 인생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