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랍 파워 - 3억 5천만 소비자를 사로잡는 8가지 비즈니스 전략
비제이 마하잔 지음, 이순주 옮김 / 에이지21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아랍 하면 연상되는 것은?
제일 먼저 코란(꾸란), 하루에 다섯 번의 기도하는 사람들, 불평등한 여성의 지위와 석유를 기반으로 한 경제국, 차후 월드컵 개최지가 열리는 곳, 911테러, 그리고 최근엔 아랍의 봄이 연상 된다.
그렇지만 이것은 극히 아랍이 갖고있는 하나의 어떤 이미지 중 하나일 뿐이란 것을 토대로, 그것도 서양인이 바라 본 아랍에 대한 정보를 그간 우리가 접해 온 결과물 중의 하나다.
저자는 3년간 600여 명의 취재를 바탕으로 자신이 직접 보고 느낀 바를 써낸 이 책은 전 지구의 한 경제권을 형성하고 그 경제권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에 대한 현장과 향후의 무역을 기점으로 어떻게 아랍권에서의 우위를 다질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 책이다.
3억 5천만 명의 잠재인구는 중국과 인도에 비교 할 수없는 소비능력을 최대치 발휘할 수있고, (어떤 경우엔 이들을 압도하는 경우도 있다.)이들 중에선 여성들의 소비경향에 비추어서 갖가지 그 나라마다의 특색에 맞춰 전략적인 마케팅을 해 성공한 사례들을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 이슬람을 믿고있는 이들 나라에서 5대기둥을 차지하고 있는 샤다하(이슬람의 신앙고백), 살라(예배), 사움(라다단 중의 단식), 자카트(자선기부/구휼세), 하지(메카순례)를 이용한 각 나라의 기업들, 즉 코카콜라, 유니레버, P&G 등 수많은 다국적 기업과 삼성, LG, 현대 등의 국내 기업 및 아랍 현지 기업이 이것을 이용해서 보이지 않는 선두다툼과 공방을 치열한 현장을 보는 듯한 느낌이 강하게 다가온다.
그렇다고 이 아랍권 안에서의 아랍인들만 상대로 하는 비즈니스 외에 제 3의 소비인구인 남 아시아권의 사람들 또한 소비창출의 보고이기도 하다.
이들이 취급하는 상품의 질과 아랍권의 부유층, 그리고 아라비아2라 불리는 중산층을 겨냥한 비즈니스 공략은 또 다른 아랍인들의 디아스포라를 가지고 생활하는 타 지역의 아랍인들과 더불어서 소비의 유도를 이끄는 황금의 시장으로 부각된다는 점에서 이 책을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었던 시각에서 훨씬 벗어난 활기차고 무한대의 가능성을 이룰 수 있는 보고의 장소란 생각이 들었다.
tv에서 발로 무역현장에서 뛰는 사람들의 모습을 방영한 적이 있다.
지금은 이 프로그램이 없어졌지만 당시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보이지 않는 전쟁의 하나로서 서로의 제품홍보 활동을 위해서 열심히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보고 그 나라의 특성과 문화적인 공유, 그리고 그 안에서 서로의 이익을 위해선 이런 점도 염두에 둬야함을 느꼈었다.
이젠 지구도 날로 발전하는 하나의 작은 소 우주로서 하루하루가 빨리 다르게 변해가는 세상답게 좀 더 나은 개척지로 연상이 되는 아랍이란 곳에 우리도 이 책을 통해서 좀 더 우위확보를 할 수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듯 싶다.
다만 저자가 미국인으로서 그 자신의 현재 위치에 맞추어 조금은 제한된 범 그룹과의 인터뷰만 있어서 이를 십분 활용하는 데엔 이를 감안할 수있는 우리만의 독특하고도 독창적인 아이이디어가 필요할 듯한 인상을 준 점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