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호의 인연 - 최인호 에세이
최인호 지음, 백종하 사진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작가 자신의 인생을 돌아봄으로써 느꼈던 다양한 인연에서 오는 감성 깊은 에세이를 접했다. 소설가로서 다양한 색채의 글 탐구를 했던 작가이기에 또 다른 색채의 언어의 향연을 접할 수 있었던 기회인 셈이다. 

집 안뜰에서 자라고 있던 모과나무, 한 사람의 고객을 위해서 여러 번 국수를 버리면서 까지 대접한 칼국수집 주인과의 만남과 맛, 사춘기 시절 엄마를 싫어해서 어머니 모임이나 어머니를 보면 피했던 작가 자신의 사춘기 시절의 얘기는 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봤던 아련한 기억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젊은 시절의 화장 한 얼굴의 모습을 본 적이 없던 작가의 어머니가 어느날 연세가 들어서 화장을 하는 모습에서 이제는 다시 뵐 수 없는 그리움의 대상으로 남은 쓸쓸함을 토로한 글 구절은 구구절절 가슴에 와 닿는다.  

다양한 사람들과의 인연에 대한 글에선 배우이기전에 인간 안성기에 대한 글을 보면서 왜 그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배우 중의 한 사람으로서 남아있는지 알게 된 계기가 됬고 이해인 수녀님과의 만남은 종교를 가진 자로서 자신의 고뇌와 타인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하고자 하는 종교인의 순수한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흔히 "인화초"라고 표현이 되는 손자 손녀에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글에선 누구나 그 글에 공감을 할 수 있는, 곁에 있을때는 얼른 갔으면 하다가도 막상 가고 나면 여지없이 적막강산이 따로 없다는 , 그런 분위기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구절엔 내리사랑의 본질을 보여준다. 또한 자신의 작가의 길로 들어서게 되면서 자신의 결혼 주례와 딸의 이름을 지어준 황순원 작가와의 인연, 또한 소중한 것이기에 그 당시에 작가가 느꼈던 대 선배로서, 한 인간으로서 존경해 마지 않는 오마주를 드러낸다. 자신의 자라왔던 어린시절의 대물림 옷이며, 책, 가방. 신발의 대한 얘기. 그래서 지금의 자신이 옷에 대한 무감각에 대해서 쓴 글( 옷은 일생동안 우리가 몸을 가지고 나누는 풍경이며 인연인 셈이다. 한 옷과의 인연에 대해 오래 생각하는 사람은 분명 추억이 많은 사람이기 보다는 그 옷과 길들여진 시간에 대해 오래 생각해 본 사람일 확률이 크다.)에 대해선 과연  이렇게 한 물건과의 인연에 대해서도 글을 쓰는 방식이 작가는 역시 다르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아내와의 결혼과정, 어머니. 아내, 자식중에 일순위는 자신에게 있어서 아내란 사실을 나타낸 글, 특히 연애시절 특유의  그 시절에나 있을 법한 연애 편지의 내용은 tv에서나 봤을 법한 그 시대의 한 연애 커플을 보는 것 같아서 입가에 웃음을 짓게 한다.  

결혼이란 기적에 대해서도 타당성 있는 논리와 생각을 적은 글은 정말이지 인연 중에서도 최고의 인연이란 생각이 들게 한다. 신혼기를 서로가 서로를 알아가는 새로운 유년기란 표현이 참으로 가슴에 와 닿는다.  

아버지와 어머니를 주물러 드린 손바닥에 남아 있는 그 분들의 기억이 남아있단 글엔 정말로 부모님의 존재에대한 감사와 고마움을 느끼게 해 준다. 작가 자신이 여러 글을 씀으로서 다양한 종교에 대해서 알아왔고, 그 가운데서 천주교 신자로서 세례를 받게된 과정과 기쁨, 그리고 종교을 가진 자로서의 신앙생활을 솔직하게 그려낸 글엔 인생의 연배가 물씬 묻어난다. 

죽음에대한 생각, 가까이 있던  분들이 하나 둘 세상과 이별하지만 정작 작가 자신은 자신의 주위 어딘가에 늘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고, 먼저 간 사람들이 간  다른 세상을 언젠가 우리 모두 가게 되겠지만 먼저 간 그분들에게 부디 외롭지 않은 여행이 되길 바란단 말엔  다시 한 번 죽음에 대한 생각을 깊게 해 준다. 

"우리 모두는 밤 하늘에 떠 있는 별이다. 이 별들이 서로 만나고 헤어지며 소멸하는 것은 신의 섭리에 의한 것이다. 이 신의 섭리를 우리는 "인연"이라고 부른다. 이 인연이 소중한 것은 반짝이기 때문이다." 란  작가의 서두 글에서 알 수 있듯이 인생을 살아오면서 어느 것 하나 버릴 것이 없는 만남의 소중함에 대해서 , 주변에서 인식을 못하고 버리는 종이 한 조각이라도  인연의 한 형태임을 깨닫고 알게 해준 생활 에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