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추억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바람의 화원의 작가이니까 당연히 한국을 배경으로 한 것이려니 하고 이번엔 뭔 이야기로 끌어나갈까 하는 생각에 집어들었다. 하지만 나의 허를 찌른 과감한 추리극이다. 그것도 한국이 아닌 가상의 도시를 내세워서 말이다. 안개가 쉬 없이 왔다가 사라지는 도시를 배경으로 연이어 세 건의 살인 사건이 일어나고  죽은 사람들은 모두 웃는 듯한 표정으로 죽었단 사실부터가 왠지 궁금중을 유발시켰다. 정직을 당한 매코이란 형사가 그것을 추적하고 라일라란 여성이 심리 분석이란 일은 가지고 그를 대상으로 정신적 치료를 함과 동시에 사건의 현장에 같이 투입이 되어서 해결의 실마리를 풀어나간다. 두 사람 모두 자신들이 당한 충격에서 벗어나고자 몸부림치는 과정을 겪었고  그것을 감추며 살아간 두 사람이 겪는 살인사건은 그  사건에 연류된 다른 사람들이 타살이 되거나 자살로 삶을 마감하게 되는 도미노 현상같은 일이 벌어진다. 이것을 읽으면서 그 날 극장에서 본 "나는비와 함께 간다"란 영화의 한 장면이 떠오른 것은 우연의 일치 치곤 매우 기이한 일로 생각이 든다. 영화속 조쉬 하트넷이 맡은 인물인 전직 경찰인 그는  연쇄살인범을 쫓는 과정에서 매번 놓치게 되자  그 광기의 살인자를 잡는 방법은 그 살인자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따라 가려는 결정을 내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도 모르게 그 살인자가 갖는 맘을 이해하게 되더란 대사가 떠오르는 것은 이 책에서도 매코이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이 죽였지만 아직도 살아서 이런 살인을 행한다고 믿는 의식적과거에 머물러  살아나왔고, 자신이 아닌 또 하나의 살인범이 되어서 충격적 일을 당하고 힘들게 살아가는 피해자를 편히 놔 주려는 의식에서 살인을 저지르게 된다는 반전이 허를 찔렀다. "스톡홀름 증후군" 비슷한 이 현상 속에서 수 십년을 동거 동락했던 동료를 죽이고서야, 자신속에 또 하나의 이중적인 살인범이 살아있단 걸 깨닫게 된 매코이의 자살은 그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정신적 괴로움에서 탈출 할 수 있는 방법이 이것 밖엔 없단 걸 알고 행한  행동이 아닌가한다. 흡사 미국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장면이  글 속에 하나하나 떠오른 것은 소설이 마치 영화의 한 기법처럼 쓰여저서가 아닐까?  판권이 확정이 되서 영화화가 된다면 이 또한 다른 묘미를 볼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내 핀트를 벗어난 소설이지만 참신한 소재와 구성이 이채롭단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