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든 나의 얼굴을 - 제2회 아르떼문학상 수상작
임수지 지음 / 은행나무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2회 아르떼문학상 수상작으로 선정된 '잠든 나의 얼굴'-



짧은 사흘 간의 여행으로 모시고 있던 할머니를 부탁한 고모를 대신해 광주로 내려간 나진은  유년 시절 이혼한 아버지를 따라 할머니 집에 함께 살기 시작한 10년과 집을 떠난 지 10년 만에 다시 오게 된다.



뇌출혈로 쓰러진 후 회복이 더뎠던  할머니와 사흘간의 생활, 정작 돌아온다는 고모는 어디에 갔는지조차 모른 채 시간은 흐르고 나진은 집을 돌아보면서 유년의 기억과 현재의 기분, 주변을 살핀다.



편부모 가정이란 사실과 왕따 당하던 초등학교 시절, 하루 종일 가족의 먹을 것을 생각하며 일하던 할머니의 시간 속 변화들, 주변에는 신경 쓰지 않는 것 같으면서도 살펴보는 고모...



어린 나진의 기억 속에 어른들의 삶 모습과 자신이 하루하루 버텨가며 살아가는 기억의 회상들은 덤덤하면서도 건조한 느낌마저 들게 하는데 글 속에 묻힌 정경들은 지금의 모습과는 다른 생활도구들이라던가 철마다 준비해야 하는 장 담그기, 그릇명칭에 이르기까지 과거 속의 삶을 함께 회상해보게 한다.



별다른 큰 일 없이 무던히 보내는 삶을 그린 소설의 장치가 되려 하나하나 들쳐보면 그들 나름대로 아픔과 상처가 있었고 고모의 성장기와 김희라  나름대로 치열하게 살아가며 그 속에서 침묵과 마주한 채 살아갔던 연민이 몰려왔다.









소설의 구성원 자체가 이혼한 부모를 둔 아이, 조부모, 친척이란 연관으로 이어진 혈연의 관계는  작은 소주제를 통해 그들의 삶을 엿보면서 나의 삶을 돌아보게 만든다.



긴 잠에 든 듯하면서도 긴 잠을 못 자는 나진, 그녀가 꿈꾸는 그곳엔 나를 제대로 바라볼 수 있는 거울이 있을까?  아니면 거울이 아닌 본인이 바랐던 풀어내기 힘들었던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위한 하나의 장치로서 여길 수 있는 가림막 같은 것이었을까?







잔잔한 움직임 속에 펼쳐지는 가족과 혈연, 친구와의 우정에 이르기까지 나진이 풀어내는 이야기는 그녀만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 인상 깊다.






***** 출판사 도서 지원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