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환
앨러스테어 레이놀즈 지음, 이동윤 옮김 / 푸른숲 / 2025년 7월
평점 :

국내에 처음 소개된 저자의 첫 장편 SF소설이다.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를 접하면서 방대한 세계관과 그 속에서 인간들의 나름대로 사활을 건 진행들이 흥미롭게 펼쳐지는데 이 작품은 타 작품들보다 흐름을 따라잡기가 생소했다.
이는 시대별 흐름도 그렇지만 과학분야와 수학과 밀접한 세계관들, 구조물이 지닌 의미와 그 구조물로 다가서려는 인간들의 의지와 끈기, 그리고 여기에 주인공 코드의 동선을 따라가면서 예상치 못했던 결과들이 중첩되어 그려지고 있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19세기 범선에서 보조의사로 승선한 코드는 갑판에서 머리를 다친 라모스 대령을 치료해 주고 소설을 쓰는 자로 선박 안에서 벌어지는 균열과 구조물을 향해 나아가는 이야기를 그려나가는 가운데 죽는다.
그런데 깨어보니 다시 살아있고 이런 배경들은 20세기를 거쳐 미래의 우주공간까지 확장된다.
마치 타임슬립처럼 죽었다 깨나기를 반복하는 가운데 선박은 증기선이 되고 비행선, 우주선으로까지 이어지면서 그들이 찾고자 하는 구조물의 생태와 그 안에서 사투를 벌이는 이들의 갈등과 데자뷔 같은 연속행진의 흐름은 반복과 상상력이 동원되는 가운데 차곡차곡 쌓이는 내용들이 그 원인과 해결은 무엇인지를 느린 진행으로 이어간다.
이러한 반복패턴의 진행은 갈수록 원인과 결과물에 대한 갈증을 증폭시키는 가운에 이야기 흐름을 잠시라도 벗어나면 그 줄기의 방향을 잡을 수없는 모호함들이 있어 SF를 즐겨 읽더라도 난해함과 생소함이 곁들여진 반복성의 작품이었다.

미지의 세계를 개척해 가는 인간들의 호기심과 탐구 정신에 곁들여 사일러스의 정체가 밝혀지는 부분에서는 예측하지 못했던 부분이라 놀라웠고 이러한 결과물들을 생각해 보니 미래의 인류가 개척해야 할 우주공간에서 벌어질 수도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특히 저자의 탁월한 이야기 구성이 첨단 과학세계를 통한 확장론으로까지 생각하게 된다.
뒤편 해설을 통해 같은 단어가 품고 있는 설명들이 이 작품을 읽은 후에 해설면에서 쉽게 와닿았다는 점도 그렇지만 보기 힘든 독특한 SF장르를 찾는 독자라면 만족할 수 있는 소설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