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혼 없는 작가
다와다 요코 지음, 최윤영 옮김 / 엘리 / 2025년 8월
평점 :

절판됐다가 이번에 새롭게 내용을 보충하고 출간된 저자의 작품은 이중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례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태어나면서 사용하고 익히는 모국어와는 달리 같은 언어의 뜻이 소리를 내면서 듣는 것과 머릿속에서 의미를 간직하며 익숙하게 다가오는 과정은 어떤 것이 더 유리하게 작용할까?
저자는 그런 점에서 양 언어에 대한 비교를 통한 내용들을 통해 그만의 받아들임 해석과 더불어 그 뜻풀이라고 해야 하나, 기존에는 보지 못했던 풀이식 해석이 신선했다.
전공이 러시아문학으로 독일로 건너가 살아가면서 일본인으로서 언어가 쓰이는 다양성에 대한 내용은 의미를 품은 내용과 소설과 에세이의 경계선쯤으로 느껴질 수 있는 글들로 인해 저자의 어릴 적 경험과 함께 다가오는 느낌이 다르게 다가온다.
그녀는 모스크바에 대한 어린 시절부터 들어오던 단어를 실제 시베리아에 도착하면서 실감 있는 생경한 느낌을 받아들이는 과정과 독일어에서 각 단어마다 남, 여성, 중성에 이르는 체계에서 오는 특징들을 사물에 대한 남다른 이름을 붙여가며 시각을 제공하는 부분에서 작가만의 독자적인 시선이 존재함을 느껴본다.
- ‘타자기 앞에 앉아있으면 타자기가 나에게 어떤 언어를 제공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 시도 덕분에 독일어나 내 모어(母語)가 아니라는 사실이 바뀐 것은 아니지만 나는 새로운 말엄마(語母)를 얻게 되었다.‘ p.45~46

전 부분들이 저마다 깊은 사색과 관찰들을 통해 보인 글들이 모두 와닿았지만 그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전철에서 책 읽기'다.
요즘 스마트폰만 보는 이들이 대부분인 현상을 생각하면 되려 책을 읽는 이들을 찾기가 쉽지 않은 시대에 저자가 책 읽는 시선에 집중하는 표현들은 그가 전하는 말로 그 공감대가 깊게 울린다.
- "시선은 폭력이다. 책들은 시선을 받아서 글자로 바꾼다.- p 107
다른 에세이와는 분위기가 다른 낯설기도 하지만 그녀만의 시선을 쫓다 보면 독자들은 어느새 그녀가 전하는 글에 빠져 들게 된다는 것, 단조로운 가운데 흥미롭고 그러므로 더욱 그녀의 세상을 엿보는 시선에 다가갈 수 있는 책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