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랙 서머 ㅣ 워싱턴 포
M. W. 크레이븐 지음, 김해온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8월
평점 :

전 작품인 '퍼핏 쇼'로 국내에 처음 이름을 알린 저자의 두 번째 작품이자 '워싱턴 포'시리즈로 다시 만나게 된 작품이다.
첫 수사인 '이멀레이션 맨’을 해결한 이후 포는 6년 전 발생한 사건으로 다시 과거와 현재를 오고 간다.
6년 전 발생한 미슐랭 별 3개를 갖고 있던 고급 레스토랑인 '벌리스 앤드 슬로'의 오너인 재러드 키튼은 딸 엘리자베스의 실종을 신고하게 되고 사건의 사후 진행으로 포는 재러드를 범인으로 지목, 그는 현재 교도소에 수감 중인 상태다.
그런데 6년이 지난 지금 엘리자베스라고 자칭 자신을 소개한 여인이 등장하면서 사건은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게 되면서 재러드는 포를 법적으로 소송하게 되고 포는 엘리자베스의 신원이 정말 그녀인지를 다시 살펴보게 된다.
누구도 피해 갈 수 없는 혈액조사는 당연히 그녀를 엘리자베스라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포는 이 사건의 배후와 사건 당시 사이코패스의 전형을 보였던 재러드에 대한 의심을 거둘 수가 없다.
현실을 놓고 보면 과학의 힘을 빌려 유전자 검사를 통한 혈액은 뒤바꾸지 않는 한 절대 변할 수없는데 그녀의 존재는 죽었다는 것이 확실했지만 살아있는 존재란 '이중사고' 사건을 포는 과연 파헤칠 수 있을까?

'퍼핏 쇼'에서도 그렇지만 정말 순간 몰입을 할 수밖에 없는 연결 상황들이 갈수록 긴장미를 더해간다.
진범임이 확실했던 자가 딸의 출현으로 풀려나면서 포를 법적으로 압박해 들어오는 시간 제약들, 여기에 세밀한 조사가 없었다면 엘리자베스란 인물의 존재가 실존인지 허구인지에 대한 중요한 판가름을 내릴 수 있었던 결정적인 요인으로 여겨지는 블랙서머 트리플을 찾기까지의 과정이 추리의 맛을 쫄깃쫄깃하게 느끼면서 읽을 수 있는 흐름을 보여준다.
인간의 비열한 욕망과 헛된 자부심, 명성을 이어가고자 필요하다면 모든 것을 차근차근 없애버릴 수 있다는 진범의 본성이 이 작품의 말미에 가면서 점차 증거물을 하나둘씩 수집하고 발견하면서 이뤄지는 진행이 전작 퍼핏 쇼에 이어 여전함을 느껴볼 수 있다.
개인적인 포의 불운한 태생의 비밀부터 천재지만 여전히 대인관계가 어색한 틸리와의 조합은 사건 해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해주고 있다는 점은 포와 세대를 뛰어넘는 친구 이상의 조합을 다시 느껴보게 한다.
간혹 과거의 단순했던 시절들이 되려 좋았음을 작품들을 통해 느끼게 하는 것들 중 하나가 SNS 발달인데 이 작품에서도 자취를 감춘 엘리자베스라 칭한 여인을 추적하거나 과거 엘리자베스를 찾기 위해 이러한 것들을 이용해 발자취를 찾아가는 점에서는 유용하겠으나 정작 개인의 사적인 내용을 들여다보고 그들의 삶의 이동이나 주변 친구들이 올린 사진까지 타고 넘어가는 일련의 과정들은 장점 뒤에 단점 또한 있음을 다시 생각해 본 시간이다.
제목이 블랙 서머라 여름의 계절 중 한 시절을 부른 명칭인 줄 알았으나 내용을 들어가 보니 트리플 명칭이었다는 사실에 약간 헛웃음이 나기도 했는데 아마 정식으로 블랙서머 트리플이라고 했다면 중요한 소재임을 느낄 수 있는 기대감이 줄어들까 봐서 그랬나? 하는 생각이 들긴 했다.
그러나 진짜 사건 해결 실마리를 풀 첫 번째 단서였단 사실은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모순되는 두 가지 사실을 놓고 진실을 추적해 가는 포의 추리력도 그렇고 틸리의 여전한 천재적인 두뇌 플레이는 이 조합들의 새로운 사건을 대할 때마다 기대감을 높여줬다는 데에 만족감을 느낀다.
개체수가 줄어들어 법적으로 사냥을 할 수 없게 만든 회색머리멧새(오르톨랑)에 대한 묘사나 요리에 대한 인간들의 극강의 미각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 희생되어야 만 했던 이야기의 초반을 중점으로 요리에 대한 야망에서 비롯된 사이코패스의 전형적인 행동이 저절로 눈을 감게 만드는 묘사 부분은 잊을 수가 없을 것 같다.

(네이버 발췌)
연일 무더운 요즘 추리의 서늘한 맛을 느껴보고 싶다면 만족할 수 있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