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뢰 글리코
아오사키 유고 지음, 김은모 옮김 / 리드비 / 2025년 6월
평점 :

추리 소설 구성면에서 두뇌를 활용하는 장르의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는 작품이다.
총 5편의 이야기들을 담고 있는 이 작품집이 일본에서 출간 일주일 만에 3개 문학상을 휩쓸었다고 하니 젊은 작가의 독창적인 구성이 놀랍다는 생각이 든다.
게임을 통해 서로의 심리상태 파악, 독자들까지 자연스럽게 두뇌를 활용하면서 읽을 수 있는 내용들인데 언뜻 보면 어린 시절 즐겼던 게임들이 떠오른다.
가위, 바위, 보를 통해 한 계단씩 오르는 게임의 변형처럼 다가온 '지뢰 지글러'는 서로가 감춰둔 지뢰를 밟는 순간 정해진 순서에 따라 계단을 내려가고 최종적으로 우승한 자가 학교 행사에 원하는 옥상에서 자신들이 하고 싶은 장사를 열 수 있다는 설정은 생각지도 못했던 게임방식이라 처음엔 단순한 구도로서 읽어나갔으나 점차 내용에 빠지면서 주인공 아모리야 마토가 선배와 다루는 방식에 나도 모르게 '수'와 '심리전'에 참여하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이렇게 한국정서와 비슷한 일명 오징어 게임을 함께 떠올리게 하는 게임이 있는가 하면 일본에서 즐기는 게임의 형태도 들어있어 뒤에 갈수록 저자가 반전의 힘을 믿게 만드는 순간순간에 들어설 때면 잠시 머릿속이 혼란스럽게 여겨지기도 하고 그림을 통해 이해를 해보면서 왜 이런 구도가 되었는가, 어디서 허점이 보였고 이 허점을 놓치지 않은 아모리야 마토의 솜씨도 놀라움을 자아낸다.

카드게임, 우리나라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와 비슷한 게임... 다섯 편 모두가 저마다 마토의 관찰력과 복기력에 대한 뛰어남을 통해 상대방의 전술에 빠져들지 않고 이미 예견했다는 듯이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는 내용들이 게임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이렇게 복잡하고 미묘한 긴장미를 느낄 수 있구나는 연발하면서 읽게 되는 소설이다.
긴박하게 시간을 다투는 극치의 상황을 노리는 추리소설도 재밌지만 오랜만에 두뇌를 활용하면서 진실의 시간을 맞이해 볼 수 있는 이런 소설들도 추리의 별미처럼 다가왔다.
특히 숫자놀이를 좋아하는 청소년들이나 게임을 즐기는 분들이라면 한층 재밌게 읽을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든 작품으로 청춘소설과 학원물, 여기에 심리전이 더해지면서 예측과 오차의 범위가 벗어날 때 드러나는 반전이 기대 이상으로 좋았던 소설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