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키메라의 땅 1~2 세트 - 전2권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김희진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의 미래에 대한 고민들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신작. -



 이번에 그린 저자의 디스토피아가 낯설고 거부감이 들면서도 인류의 생존에 필요한 것이라면 과연 선택은 어떻게 내릴 것인가? 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지구의 태동 이래 다섯 번의 멸종 기를 거치고 유일한 강자로 지배하게 된 인류, 그 인류가 생존위기에 닥쳤을 때를 대비해 다가올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신인류를 만들려는 사람들이 있다.



알리스가 그중 하나로 그녀는 공기, 물, 흙에 강한 적응을 보일 수 있는 혼종 인류를 만들어내는데, 그녀에 대한 비난은 물론이고 죽음의 위협마저 느끼게 된다.



이후 지구를 떠나 우주에서 목적한 바를 만들어냈으니 바로 인간정자와 동물의 유전이 결합된 인간박쥐 에어리얼(헤르메스), 두더지와 결합인 디거(하데스), 돌고래와 결합인 노틱(포세이돈)이 탄생한다.



우주에서 바라본 지구가 세계 3차 대전의 양상으로 예전의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지만 그중에서도 안전한 프랑스 지하세계로 스며들어 생활해 가는 알리스 및 혼종 인류들, 그들은 과연 어떤 삶을 개척하고 투영하면서 새로운 지구에서의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을까?



기존의 고양이, 벌,  마이크로 인간 탄생... 다양한 소재들을 주인공으로 삼아 지구의 머지않은 암울한 미래를 들여다본 듯한 글들을 쓴 저자가  이번 작품에서도  기존의 방식 그대로 백과사전의 지식과 더불어 인류가 무분별하게 남획하고 이용해 온 지구의 생태계는 물론이고 이러한 영향으로 인류세라고 말하는 시대적 흐름현상에 대한 경고를 드러낸다.



소재 자체가 인간의 정자와 동물의 유전 결합이란 설정이 상상을 덧댄 내용이라고 하지만 거부감이 더 크게 다가온 것도 사실이다.



저자가 이식에 필요한 장기를 만들기 위한 연구를 생각하며 돼지와 인간, 유인원과의 관계도를 상상하며 참고했다는 뒤편 작가의 말에서 어느 정도 연구차원에서 가능한 이야기란 점에선 이해를 할 수 있었지만 만약 실제 이런 혼종인류의 탄생과 번식, 그리고 작품에서 보인 서로 다른 경쟁과 깊은 갈등, 전쟁이 벌어지고 이익을 다투는 모습에선 인간들의 실제 삶 그대로를 본듯한 느낌이라 포스트 디스토피아의 세계가 희망마저 빼앗긴 채 흘러가는 것은 아닐까 하는 염려스러운 부분들이 많았다.









특히 인류의 삶 측면에서 이러한 연구가 윤리적인 차원과 이를 허용하는 지점은 어디까지 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생각들은 진행의 흐름을 보면서 많은 고민들이 생길 수밖에 없지 않을까 싶다.



그럼에도 언젠가는 이러한 수용도  점차 넓어질 수밖에 없지 않을까, 그런 시기가 도래한다면 작품에서 등장하는 신인류를 보게 될 날도 멀지 않을 것이란 복잡한 마음이 들었다.






                                           (네이버 발췌)




신화 속에서 등장하는 키메라는 여러 혼합된 모습을 지닌 존재다.

그 존재가 지닌 각 장점들을 이용해 필요한 적재적소에 활약을 한다면 인류의 삶에도 도움이 될 수 있겠단 생각, 그럼에도 여전히 불안한 감정을 느끼며 읽은 작품 속 내용들은 시간이 흐른 후 어떤 모습으로 남을지에 대한 상상을 그리게 한다.




인류의 유전과 동물 각 특성의 유전을 보유한 채 새로운 신인류의 등장이란 컨셉이 구인류라 불리는 우리들 현재의 모습과 지구상에서 어떻게 갈등을 해소하며 서로의 생각들을 존중하며 적응할 지에 대한 많은 부분들을 보인 작품이라  마지막 혼종 인류에 기대를 하는  장면까지 생존위기를 다시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된다.




저자의 트레이드마크처럼 백과사전에 담긴 내용과 함께 기존 작품 속의 이야기들이  섞이면서 보인 디스토피아 소설이다.







***** 출판사 가제본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