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일드 - 야외생물학자의 동물 생활 탐구
이원영 지음 / 글항아리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야외생물학자이자 동물행동학자가 들려주는 야생의 세계, 그 안에서 저마다 생존과 번식을 통해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동물들의 삶은 경이롭고 신비하다.



 전 작인 '여름엔 북극에 갑니다'에서 출발한 펭귄 이야기는 물론 육. 해. 공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동물들의 이야기는 한 편의 다큐를 보는 듯하면서도 인간이 무분별하게 저지른 결과물에 대한 경고 또한 넘어갈 수 없는 내용을 들려준다.



책 제목인 '와일드'에서 보듯 야생에서 그들만의 먹이사슬체계와 번식의 조건, 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가지 변화를 주는 몸의 표현들 뿐만 아니라 소리, 촉각, 시각에 남다른 진화를 거듭하면서 서로를 알아볼 수 있는 신호들의 체계는 인간들이 미처 깨닫지 못하고 지나칠 수 있는 섬세한 면들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번식은 인간을 비롯해 자연계의 자연스러운 현상이자 유전이란 각인에 새겨진 남다른 진화를 통해 어떻게 짝을 선택하고 짝짓기를 하는지, 여기에 펭귄을 비롯해 새들 중에서도 부부가 함께 자식을 키우는 과정은 하나의 생명이 제대로 세상에 나아가는 데 있어 교육과 삶에 대한 교훈처럼 다가오는 부분들이 눈에 띈다.



이러한 생활터전이나 방식은 홀로 독립된 개체로 살아가는 동물들이 있는가 하면 단체활동을 하면서 서로의 이익에 부합하는 모종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동물집단들의 먹이사냥 같은 사례들은 자연의 조화로움을 생각할 수 있지만  반대로 동물원에 갇혀 사는 동물들의 야생 습성을 잃어버린 모습과 스트레스로 자살이나 자해를 하는 여건 조성은 우리 인간들이 많은 생각을 해볼 문제란 생각이 든다.







학자들이나 연구원들이 이들의 멸종과 보다 좋은 환경 개선을 위해 연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바이오 로깅이나 드론 같은 것을 이용하는 사례들은 앞으로 미지의 동물 영역은 물론 좀 더 활기찬 연구개발로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이 컸다.




저자는 이외에도 현재 기후 변화로 남극의 얼음과 빙붕의 붕괴로 인한 결과로 펭귄이나 북극곰, 고래들의 삶의 테두리가 점차 좁혀지면서 번식의 감소와 점차 감소하는 개체수에 대한 고민들을 들려주는 부분에서는 하나의 사례로써 지나갈 수 있는 것이 아닌 인간의 삶과도 직결된다는 점에서 심히 우려되는 부분들이 많았다.



특히 거북이의 산란 시기  경우 모래의 온도에 따라 수컷과 암컷이 나뉜다는데, 기후 변화로 모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암컷의 수가 많아졌다는  얘기는 자칫하면 멸종이라는 최대 심각한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음을 느껴보게 한다.




일부에서는 남극의 길이 열리면 무역차원이나 바닷길의 새로운  영역확보 차원에서 이익과 경쟁 구도가 될 것이란 기사도 있지만 정작 이곳에서 자연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동물들에 관해서는 연구에 대한 부분들이  아쉬움을 드러낸다.







앞으로 우리는 물론 후세대들이 동식물들과 함께 잘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지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라 가족들이 함께 읽어보면 좋을 교양서란 생각이 든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