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서양
니샤 맥 스위니 지음, 이재훈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사란 말을 떠올려 보면 그리스, 로마 신화부터 출발해 현재까지 초강대국이라 불리는 미국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서양 그 자체를 아무런 의심 없이 받아들인다.




역사 속에서 부침이 있긴 하지만 동양에서도 강대국들이 존재했고 그 외 지역에서도 당연히 한 시대를 풍미했던 강대국의 존재가 있었건만 왜 유독 서양사 앞에서는 이 모든 것들이 희미한 역사 속의 한 존재로만 머물까?







이와는 다른 해석을 통해 새롭게 서양사를 다시 되새겨  볼 수 있는 책을 들여다본다.



저자는 혼혈 배경을 지닌 학자로 서양이란 개념이 역사 속에서 어떻게 선택이 되고 편집이 됐으며 여기에 권력의 언어로 자리를 잡았는가에 대해 추적한다.




흔히 역사는 승자의 의해 씌인 것이란 사실이 새삼 이 책을 통해서 다시 느껴보게 됐는데 보통 책에서 다루는 연대기 순이 아닌 소위 말하는 변방에 해당하는 인물 14인의 인물을 통해 서양 안에서 바라보는 시야가 아닌 밖에서 서양을 바라보는 구조로 내용을 다룬 점이 신선했다.



익숙한 이름인 헤로도토스부터 리빌라, 알킨디, 툴리아 다라고나, 필리스 휘틀리, 에드워드 사이드, 캐리 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며 서양사의 기원부터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던 역사적 사실들에 대해 반대 의견을 제시한 부분까지 지금까지 갖고 있던 고정관념이 이렇게도 무서운 것임을 새삼 다시 일깨운다.







개인적인 의견이란 전제 하에 담은 내용들은 한발 물러나 주류 역사란 둘레를 벗어나 누락된 부분들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새로운 의문 제시와 이에 따른 좋은 지혜를 구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할 거리를 던진다.





오늘날 서양이라고 하면 백인들 위주의 유럽을 떠올리게 되지만 이 책에서는 누군가에 의해 서양사라고 하는 것이 편집되고 선택되었다고 생각하는 더 보편적임을 말한다.



이렇듯 역사란 한 우물만 파헤치며 그 길로 가는 것도 좋지만  변방의 경계에 선 자들의 시선을 통해 다룬 역사의 현장을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깊다는 생각이 든다.






현재 미국 및 유럽을 통틀어 서양사라는 역사에 의문을 제시하고 새로운 관점을 통해 역사를 재조명해 볼 수 있는 책이라 서양뿐만이 아니라 모든 역사를 관통하는 관점의 새로운 길을 열어준 책이라 추천한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