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금 - 성공한 근대화, 실패한 근대화 한국해양전략연구소 총서 99
김석균 지음 / 예미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 바다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의 인근 섬이나 역사적인 관계에 있는 나라들과의 이해관계도를 보면 그들이 관심을 쏟는 해양에 대한 근거를  짐작할 수 있다.



과거의 역사를 돌아보더라도 이미 서양에서 제국주의로 가는 길목엔 해양을 탐험하고 거치면서 부를 이룬 바탕의 근간이 되었던 사실들은 현재 거의 모든 부분의 기준점들이 서양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에서 다룬 해양에 대한 내용을 통해 접근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저자는 동서양이 취했던 취했던 ‘해금(海禁)’과 ‘개해(開海)를 통한 역사의 흐름을 통해 성공과 실패의 역사를 돌아보게 한다.




해금이란 바다로 나아가 오랑캐와 소통하는 것을 금한다’는 뜻으로 중, , 조선, 일본의 반 해양, 반무역 정책을 이른다.



이에 반해 서양에서는 일찍이 지구는 둥글다는 인식에 따라 미지의 세계를 돌아보는 행동으로 바다에 눈을 돌리면서 무역로를 개척하며 친무역과 점령의 시대를 열게 된다.








서양이 이렇듯 활발한 개척의 길을 여는 동안 빗장을 걸어 잠겄던 중화 세계는 이후 서양의 침탈이란 역사를 맞이하면서 오늘날 익히 알고 있는 역사를 거치는 과정들을 보여준다.



하지만 같은 동양권이라도 중국과 한국과는 달리 일본은 개화에 성공했고 이 바탕의 근간에는 근대화를 주도한 젊은 사무라이들의 역할이 컸다는 점을 말한다.



근대화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중국과 한국은 급진적인 세력의 주도와 호응면에서 그다지 환영을 받지 못했다는 점에서 비교되는 부분이다.







책 전체를 통해 해양에 대한 중요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내용들은 서양의 개척의 역사부터 시작해 뒷부분에 이르면 바다와 연결된 근대화에 집중한 부분들을 통해  아시아 3국에 대한 비교를 할애한 부분들이 많다.




그만큼 성공과 실패의 교훈을 반면교사 삼아 지금의 해양에 대한 중요성과 활용도에 대한 연구의 발전이 필요함을 느껴 볼 수 있는 글들이 시사성 있게 와닿는 부분들이 많다.





역사에서 만약이란 없지만 정화가 있던 중국이 당시의 해양의 중요성을 알았더라면, 조선이 쇄국정책 대신 일본처럼 개방정책을 정책적으로 이뤘더라면 오늘날 국제 정세는 어떻게 변했을까에 대한 생각들이 연신 들게 한 책이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