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명으로 빚은 집 - 1969 퓰리처상 수상작
N. 스콧 모머데이 지음, 이윤정 옮김 / 혜움이음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디언 문학에 대해서 떠올려 보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모히칸 족의 최후', 인디언들의 조상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지혜를 담은 시나 경구들, 조연으로 등장하는 작품 내지는 영화 속에서의 떠오르는 이미지들이 대부분이다.

 

 

1969년도 픽션 부분에서 퓰리처상을 수상한 작품을 접한다는 것,  카이오와족 시인이자 소설가인 모머데이만의 방식으로 풀어낸 그들만의 문학을 접해본다.

 

역사적으로 백인들의 침략은 아메리카 대륙의 판도를 바꾸어버렸다.

 

원래 땅 주인으로서 살아가던 그들의 보금자리를 빼앗고 자신들이 믿은 종교로 강제 개종시키고 보호라는 이름 아래 자신들의 눈앞에 감시란 목적으로 차려진 보호구역이란 행정조치...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조상들의 구전과 그들만의 신에 대한 경외감과 행사들은 이제 그들만의 고유 양식이 아닌 하나의 민속촌 구경처럼 보이고 이런 이들은 저자의 독특한 소설 구조에 힘입어 새롭게 다가서는 경험을 하게 한다.

 

 

주인공 아벨 또한 이러한 시대의 흐름 한가운데에 놓였던 인물로서 제2차 세계대전 참전 후 신체적, 정신적으로 피폐해진 상태로 할아버지가 살고 있는 고향 땅 왈라토와 협곡으로 돌아온 나바호족 청년이다.

 

 

할아버지 프란치스코와 함께 살면서 과거의 기억 속에 남아있던 원주민들의 삶을 통해 그려보는 장면들은 사막 한가운데 별빛이 쏟아지는 체험을 연상하듯 너무도 청정하고 아름다우며, 그들 사이에 이뤄지는 소통의 모습들이 땅, 하늘과 함께 보이는 장면들로 하여금 다른 세상을 떠올려보게 한다.

 

 

하지만 이렇듯 그들이 살아가는 세상이 야만인으로 몰리면서 그들 삶에 대한 인정을 하지 않는 백인들의 정치는 각 부족들이 모여 춤추고 조상들의 유지를 이어받은 것 자체에 상관없는 분리 배치를 함으로써 더 이상 백인 주류 사회의 일원도 아니고, 그렇다고 전통적인 인디언 방식을 고수하며 살아갈 수 있는 여건조차 허용되지 않음을 보인다.

 

 

전쟁의 상흔으로 이어진 아벨의 정신적인 상처는 술에 의지하며 환각상태에 빠지고 그런 환각상태에서 백인을 살해한 죄목으로 7년을 복역한다.

 

특히 가장 안타까웠던 점은 법정에서 자신에 대한 변호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왜 이토록 자신의 인생을 포기하려 했을까?에 대한 물음들은 그가 살아온 인디언이란 한계, 그 한계를 백인들에겐 더 이상 통용되지 않음을, 선입견을 갗춘 그들에게 아무리 항변해도 소용없다는 것을 깨달음이 아니었을까란 생각에 아픈 마음이 앞서게 한다.

 

 

복역후 인디언 재배치 기관으로부터 LA에서 일자리를 얻어 생활하지만 이또한 변화된 도시 생활마저 적응하지 못한 아벨의 심경이 할아버지의 죽음 이후 그뒷일을 신부에게 부탁하며 '여명으로 빚은 집'으로 발길을 돌리는 아벨의 모습을 통해 그들의 삶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한다.

 

 

할아버지와 아벨의 추억은 더 이상 현재에 지속되지 않음을, 변화에 맞춰 자신의 삶도 이에 맞추지 않으면 도태될 수도 있다는 감정들을 잘 보인 작품이다.

 

 

특히 이번 작품을 읽기 전에 일부러 타 출판의 작품을 먼저 접해 읽었다.

 

현대의 인디언들이 도시에 진출하면서 겪는  도시 인디언들의 삶을 보인 작품(데어 데어)이라면 이 작품은 시대상으로는 먼저이지만 읽다 보면 여전히 그들이 겪은 정체성과 고립, 문화적으로 전통에 대한 고민들이  이어지고 있음을 느끼게 해 준다.

 

 

 

 

 

저자의 출신을 통해 인디언들의 삶을 아벨이란 인물을 통해 과거와 현재 사이에 놓인 아픔을 치유하는 여정을 그린 작품, 아벨을 떠올리게 되면 아련함이 전해진다.

 

 

 

 

 

****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