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대가 이익을 얻게 하라 : 관자처럼 (양장) - 나와 조직을 부강하게 만드는 주인경영법 ㅣ 인문고전에서 새롭게 배운다 1
신동준 지음 / 미다스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상대가 이익을 얻게하라
미래를 알고 싶다면 과거를 공부하면 어느정도 미래를 예측할수 있다는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그래서 역사를 배우는 것이고 과거를 알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고전을 배우는 것은 선인들의 지혜를 통해서 현재 응용 및 적용함으로써 미래에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갈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는 것이라 할수 있다. 이 책이 그렇다. 고전을 통해서 지혜를 공부하는 것이라 할수가 있다.
이 책에서 지혜를 얻을수 있는 인물이 관자이다. 일단 이 책은 전체적으로 중국의 인물 이야기인 만큼 한자의 단어가 참으로 많이 나온다. 물론 이해가 안되는 단어들이 많이 나오기는 하지만 단어의 구체적인 이해를 하려면 중국 전체적인 역사를 다시 배워야 하기에 단어에 신경 쓰기보다는 각 챕터별로 독자에게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야기가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하려고 하였다. 내가 물론 이 책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도 상대가 이익을 얻게하라는 지혜를 알기 위함이기 때문에 이 말이 어떤식으로 적용이 되는지부터가 중요했기 때문이다.
관자는 관중이라고도 불리며 춘추시대 제나라의 재상이다. 관중은 제나라를 춘추시대의 5대 나라 중 제일 가는 강국으로 성장시켜 중국 역사상 가장 처음으로 패업을 이루어낸 인물이기도 하다. 그의 나라를 다스리는 경영법을 다섯가지로 나누어서 이야기 하고 있다.
1. 무위로 다스리는 경영법
이 장에서는 2장과 내게는 느낌이 비슷하기도 하였다. 즉, 통치자로써의 갖추어야 할 자세라고 해야하나 덕망이라 해야하나 이런 마음가짐적 자세를 갖추는 것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통치자가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으냐에 따라 통치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세로써는 실현가능한 이상을 현실에서 추구하는 것부터가 시작인가 싶다. 사실 상대방의 처지를 잘 알려면 그 상대방의 입장이 똑같이 되어 보는것이 가장 좋다. 그렇지만 모든 상황에서 상대방의 입장을 모두 해볼수가 없기도 하다. 정치가들이 그렇다. 정치를 위해 백성들을 다스리는 것이지만 정치가들은 백성들의 입장을 정확하게 헤아리려면 백성의 입장이 되어 보기도 하여야 하는데 백성의 입장이 되는건 사실 어렵기도 한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치가가 현실적인 방법을 추구하려고 노력이라도 해야 하는것이다. 이상은 현실에서 적용하기 힘든 면이 있기도 하기 때문이라고 책에서도 설명하고 있다. 이렇듯 도달할수 없는 이상은 처한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고 개선하기에는 너무나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리더가 갖추어야 할 최고의 미덕은 인내라 하였다. 사실 인내는 리더 뿐아니라 리더가 되고 싶은 모든 이들에게 적용이 되는것이 아닌가 싶다. 모든 사람들이 일이 잘 풀릴때는 모든것들이 편하고 기분이 좋고 자신감도 넘친다. 그렇지만 문제는 난관에 부딪쳤을때이다. 위기의 순간에도 침착하고 평정심을 잃지 않으며 인내할수 있는 마음을 가진자가 비로소 리더가 될수 있는 길이라 강조하고 있다.
2. 덕으로 다스리는 경영법
이번 장 또한 리더의 자질에 대한 이야기이다. 덕을 갖춘다는 것이 무엇일까 궁금했다. 사실 덕이라는 것은 사람을 볼줄 아는 것과도 많이 연관이 되는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아첨꾼을 알아보고 멀리해야 하는것, 두 마음을 품은 자를 경계해야 하는것, 이기적인 친구를 멀리해야 하는 것을 안다는 것은 사람을 볼 줄 아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덕은 아무래도 어려웠던 시점의 초심을 잊지 않아야 하는것이 가장 큰 의미가 있지 않나 싶었다. 이 책에는 포숙아가 등장한다. 포숙아는 관자(관중)이 어려운 상황에 처할때 도와주는 인물로 나온다. 그가 관자에게 결코 자만해서는 안되며 옛날 어려웠던 때를 염두에 두고 부단히 노력할것을 권유한것이 그냥 한말이 아니라는 것을 알수가 있었다.
3. 법치로 다스리는 경영법
이번 장에서는 법 및 제도에 관련된 이야기이다. 법이나 제도는 누구나 인정하는 일정한 잣대라는 기준을 세워두고 그것에 합당하게 즉, 공평하게 대하는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이곳에서도 제도를 세워서 경영을 할것을 강조하고 있다. 여러가지 형벌을 가하는 것과 포상을 주는 것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형벌을 무겁게 하고 포상을 신중하게 하는 것은 중벌소상이라 하여 군주가 백성을 아끼는 길이라 하였다. 그러면서 군주가 작은 과오를 멋대로 사면하면, 백성이 중죄를 많이 범하게 된다고 하였다. 작은 과오들이 누적되는 탓이라 여겼다. 이렇게 법은 어느 한 개인을 위한것이 아닌 전체 백성들을 위해 잘 다스려야 함을 알려주고 있다.
4. 무력으로 다스리는 경영법
현재는 무력에 의한 물리적인 전쟁은 거의 없긴 하지만 예전 시대만 해도 무력을 이용한 전쟁으로 나라를 서로 뺏고 빼앗기는 일들이 많았다. 이런 전쟁에서의 승패는 아무래도 경제적인 힘이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오래전에는 전쟁의 군사를 모으기 위해서 먹을것을 준다고 하면 군대에 자원하는 이들이 많았다 하니 그도 그럴만했다. 또한 나라가 부유해지면 우수한 무기를 확보할 수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부국강병이 이웃나라의 침탈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기 때문이다.
5. 이익으로 다스리는 경영법
나는 이 마지막장이 정말 이 책을 읽고 싶은 이유가 된 부분이기도 해서 정말 관심을 가지고 읽게 되었다. 왜 상대가 이익을 얻어야 하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즉, 주는것이 곧 얻는 것임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했다.
'상대를 가까이 끌어 들이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그의 날개를 펴주고,
상대를 약하게 만들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그를 강하게 해주고,
상대를 폐하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그를 흥하게 해주고,
상대방을 빼앗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그에게 내주어야 한다.'
사실 여기서 말하는 상대란 물론 상대방을 말하기도 하지만 백성을 일컫기도 한다. 그래서 백성을 부유하게 만들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것을 말하고 있다. 또한 빈부의 격차가 적어야만 통치가 제대로 이뤄질수가 있다는 판단이라 하였다.
이렇게 나는 상대방에게 먼저 이익을 주어야 한다는 의미가 사실 굉장히 어려운 실천이라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역시 리더의 생각은 눈앞의 이익만 생각하는것이 아니라 널리 그리고 멀리 생각을 하고 난 후에난 나올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다시한번 알게 되었다. 사실 춘추전국시대의 인물인 관자를 통해서 이 시대의 정치가 현재와 그렇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고 정말 사람 사는 것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다시한번 알수가 있었다. 그만큼 역사란 미래의 거울과도 같다는 말이 맞는거 같다는 생각이들었다. 이렇게 역사를 통해서 선인들의 지혜를 하나 하나 알아가는 과정이 정말 경이로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