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500년의 시간은 인류의 역사를 볼 때 짧은 시간이 아니라고 한다.
'태정태세 문단세~~'로 외워졌던 27왕의 면면을 저자 신병주 교수가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이다.
고려말 정도전과 이성계가 세운 조선의 태동부터 격동의 시간들을 지나 일제에 의해 막을 내린 시간까지
사실 평화로왔던 시간보다는 가난, 기아, 전쟁, 당쟁과 같은 아픔이 많은 시간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우리 한민족의 역사상 가장 긴 시간을 차지했던 조선이란 왕국을 거친 왕들의 면면을 보니
도표를 보는 듯 일목요연하다.
태조와 아들 이방원의 대립관계부터 세조의 왕위찬탈, 그리고 인조와 소현세자의 이해할 수 없는 알력과 뒤주에 가둬 사도세자를 죽인 영조의
심리까지 참으로 다사다난한 기록들이 흥미롭다.
방대한 분량의 기록인 '조선왕조실록'은 우리민족이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기록유산이다.
일반인이 보기에는 매우 어려운 이 책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해석한 책들을 여러버전으로 봤고 역사란
해석이 다양하기에 최근에도 인기강사가 법정시비에 휘말리는 일이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은 자신의 해석을 강요하거나 주장한다기 보다는 여러 시각으로 해석을 도와주는 참고서같은 느낌이 강하다.
'광인효현 숙경영정~~'에 등장하는 왕들중 저자의 말처럼 가장 존재감이 약한 왕이 바로 현종이다.
광해군이야 폭군이라는 이미지로 모르는 사람이 없고 인조는 청나라에 무릎을 꿇고 아들의 죽음에 뭔가 비밀이 있는 왕으로 효종의 북벌을
추진했던 왕으로 기억되지만 현종은 무얼했던가 기억해보면 떠오르는 것이 별로 없다.
그 원인이 건강이 좋지 않아서라고 하지만 유약한 몸때문인지 신하들에게도 그다지 권위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던 것 같다. 다만 뒤를 이은
외아들 숙종을 낳은 공이 지대했다고 할까.
연산군에 이어 조선의 폭군으로 유명한 '광해군'의 평가는 저자의 말처럼 재해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버지 선조의 무능을 뛰어넘어 전장에서 카리스마를 발휘했던 그가 왕위를 위해 핏줄을 제거하고 그 과오를 평생 짊어지고 가야했던 아픔이
있지만 그의 외교적인 능력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도 사드로 인해 광분한 중국의 어이없는 휘둘림에 농락당하고 있지만 과거 중국의 온갖 행태에 그저 고개만 숙이고 속국임을 인정한 왕들보다
그래도 나은 편은 아니었을까.
세종에 이어 내가 가장 좋아하는 왕 정조는 후일 발견된 비밀편지에 의해 다혈질이며 화를 참지 못한 왕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그가 이룬 업적은 결국 그가 자신의 건강을 헤칠만큼 열정적이었고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룬 왕임을 부인할 수 없다. 다만 그의 사후
외척세력의 분탕질로 조선이 서서히 침몰하게 된 것은 큰 아쉬움이 아닐 수 없다.
조선에 제일 찌질이 왕으로 기억되는 선조와 인조말고 세종이나 정종과 같은 왕들이 좀 더 나왔다면 조선의 역사가 달라지지 않았을까.
조선의 왕들을 불러내어 질문을 할 수 있다면 꼭 묻고 싶어진다.
'왕으로 산다는 것'이 행복했는지. 아마 많은 왕들이 아니었다고 대답하지 않았을까. 누군가는 좀 더 이루지 못한 아쉬움 때문에 혹은
뒤돌아보니 너무나 많은 실책때문에 자책하지 않았을까.
힘없는 백성들은 그저 그 시대 왕들이나 잘 만나야 그나마 심간이 편했을텐데 조선의 많은 백성들은 가난과 전쟁과 기아로 힘든 삶을 연명했다.
역사는 반복되고 거울 같은 것.
지금 우리는 제대로 된 리더를 만나 행복한지 묻게 된다. 이 땅에 제대로 된 리더가 와야 백성이 편한해지는 것은 과거와 다르지 않아 역사의
무서움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