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 사랑한 꽃들 - 33편의 한국문학 속 야생화이야기
김민철 지음 / 샘터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득 고은의 시 '그 꽃'이 떠오른다.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

참으로 간결하면서도 인간의 무심에 대한 성찰이 보이는 싯귀이다.

창밖으로 보이는 마른 정원의 나뭇가지에도 어느 새 꽃송이들이 자리를 잡고 봄을 노래하는 계절이 왔다.

한 겨울 앙상한 저 가지에 생명이 깃들 수 있을까 낌새도 없더니 봄은 잔인하지만 위대하다.

내가 읽었던 수많은 문학속에 기억나는 꽃들이 있었을까...기억해보면 전혀 떠오른 것이 없었다.

나는 올라갈 때 보지 못했던 꽃을 내려 오면서도 보지 못했던 모양이다.

 

 

원래 빵집하는 사람은 지나가다 빵집만 보이고 옷집 하는 사람은 옷집만 보이기 마련이다.

그럼 길가에 핀 꽃들이 보이는 사람들은 어떤 마음을 지닌 사람일까.

더불어 읽고 있는 책 속에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꽃들을 지나치지 못하는 사람들은 어떤 심성을 가진 사람일까.

자연을 들여다보고 생명을 느끼고 사연을 느끼고 시간을 떠올리는 사람들은 그 어떤 작가들보다 뛰어난 감성을 지닌 사람들이라고 생각된다.

조선일보 사회정책부 차장으로 근무하고 있다는 이 책의 저자에게서 깊은 문학적인 감성과 작가 못지 않은 재능을 보았다.

잡초하나에서도 우주를 보았다는 말처럼 풀 한포기에도 나름의 세계가 있을 것이다.

그런 꽃과 풀 나무들이 문학에서는 어떻게 그려졌을까.

나처럼 도시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들에게 꽃은 그저 꽃집이나 인공적으로 꾸민 정원에서가 다이다.

어린 시절 자연과 함께 성장한 사람들이라면 이 책에 등장하는 수많은 꽃들과의 만남이 더 정겨울 것만 같다.

 

 

문순태의 '생오지 가는 길'에서 박태기 나무꽃이 결혼 이주여성의 부푼꿈을 보여주고 있다면 박완서의 '친절한 복희씨'에서 박태기나무는 처음으로 이성에 대한 떨림을 느낀 처녀의 환희를 상징하고 있다는 말에 분명 나도 그 작품을 읽었던 기억이 있건만 박태기 나무가 등장했다는 기억은 없었다.

 

 

 

'나는 내 몸이 한 그루의 박태기나무가 된 것 같았다...(중략)나는 내 몸에 그런 황홀한 감각이 숨어 있는 줄은 몰랐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 박완서는 어린 시절 개성에서의 추억속에 수많은 꽃들이 함께 했던 것같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같은 작품에서도 늘그막에 자리잡은 구리의 집에서 정원을 가꾸며 그렸던 글들에서 그녀와 꽃들에 얽힌 추억을 그렸었다. 생명에 대한 찬탄과 표현이 놀랍기만 하다. 역시 작가의 말처럼 박완서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내가 서울과 오가며 살고 있는 섬에도 풍란이 지천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누군가 다 캐어가서 귀해졌다는데 예전에 집에서 키웠던 난에서도 난  그윽한 난향을 맡은 기억이 없다.

너무나 재미있게 보았던 드라마 '해를 품은 달'의 원작에서 액받이 무녀인 월에게서 난향이 베어있었다고 한다.

사실 어린시절 마주쳤던 연우인 월에게서 풍겼던 난향은 여성의 성적인 환상을 드러내는 것이라 했다.

 

 

난이 가장 청초하지만 음흉한 식물이라니...거실에 놓인 난의 모습이 새롭게 다가온다.

더구나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과 '규장각 각신들의 나달'까지 베스트셀러로 올린 정은권작가는 이름도 필명인데다 '이름 없는 작가'로 비밀에 쌓인 인물이라니 더욱 궁금해진다.

 

이 글을 쓰기 위해서는 수 많은 꽃들과 책들의 만남이 있었을 것이다. 더구나 글을 쓴 작가와의 만남도.

김연수며 윤대녕 양귀자같은 작가들을 다시 만날 수 있어 행복했다.

그리고 무심한 내 안목에 대해서 부끄러웠다.

앞으로 읽을 책은 무심해지지 않을 것 같다. 분명 작가들이 불러낸 꽃들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므로. '문학이 사랑한 꽃들'은 봄 날 꽃처럼 내게 온 소중한 책이 될 것같다.

그리고 길가에 핀 민들레 한포기 제비꽃 한송이에도 무심해지 않을 것만 같아 감사한 마음이 든다.

살수록 배워야 할 것이 많다는 것을 또 깨닫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