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의 여자 - 오직 한 사람을 바라보며 평생을 보낸 그녀들의 내밀한 역사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왕이 세상을 통치하던 시절이라면 무소불위의 권력을 지닌 왕이 가장 행복한 사람일 것이다.
하지만 생각만큼 그렇지도 않은 모양이다. 조선의 역사를 보면 극심한 당쟁으로 인해 늘 왕의 권위는
위협을 당해왔고 심지어 반정으로 왕을 갈아치우는 일까지 있었으니 말이다.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국정을 돌보는 왕의 하루 일과표를 보니 여간 고단한 일정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은 '왕'이다.
세상에서 가장 좋은 음식을 먹고 가장 좋은 옷을 입고 자신이 마음에 드는 여인과 즐길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꽤 선택받은 인생인 셈이다.
하지만 그런 '왕'을 보필하는 '왕의 여자'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대장금'이나 '동이'에 등장하는 '왕의 여자'는 그야말로 허구라는 것을 이 책을 보고 알았다.
낮은 신분계급에서 차출된 여자아이가 구중궁궐에 들어와 평생 일만 하다가 죽음을 앞두고 궐을 나와야하는
안타까운 삶을 살았다는 것을 보니 여자로서 사랑하는 사람의 사랑도 받지 못하고 쓸쓸히 사라져간 여인네들의
한숨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왕비이든 후궁이든 궁녀이든 궁궐안의 '왕의 여자'는 오로지 단 한사람 '왕'을 바라보며 살아가는 여인들이다.
왕의 선택에 따라 부귀와 영화가 따르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여인들은 존재조차 알리지 못한 채 쓸쓸하게 사라져간다.
나름대로 엄격한 서열과 규칙이 정해져 있어 조직적이기도 했지만 어쨋든 새장에 갇힌 새처럼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드물게 장희빈이나 최숙빈처럼 신분상승을 하기도 하지만 그야말로 하늘의 별을 따는 이런 행운은 기적과도 같은 일이었다.
더구나 바느질을 하던 침방의 나인에서 왕의 후손을 생산하여 '왕의 여자'와 '왕의 모후'가 된 최숙빈의 삶은 말그대로
드라마이다. 누비옷 짓는 일이 가장 힘들더라는 모후의 말을 듣고 평생 누비옷을 입지 않았다는 영조를 보니 비천한
신분의 어머니이지만 그런만큼 더 안타깝고 깊었던 왕의 효심을 느낄수 있었다.
태어남과 죽음은 절대 궁에서 이루어 질수 없다는 '왕의 여자'들!
김개똥, 즉 김개시같은 궁녀는 왕을 조종하여 정사에도 관여했다니 참으로 대담한 여성이었다.
역사의 한페이지에 좋던 나쁘던 이름이나마 새겨두었으니 나름 성공한 '왕의 여자'인 셈이다.
조선왕조 5백년의 역사속에 등장한 '왕의 여자'는 대체로 악역인 경우가 많다.
역사를 기록하는 남자의 눈으로 보는 나쁜 '왕의 여자'의 기록을 다 믿을 수는 없지만 사극에 수없이
등장하는 '왕의 여자'를 보면 갇힌 새장을 걷어차고 세상을 나오려고 몸부림쳤던 여자들이었다.
지금까지 이런 '왕의 여자'에 대한 기록은 부실한 편이었다.
그런점에서 오랜시간 '왕의 여자'에 대한 기록을 찾고 기술한 이 책이 참으로 대단하다는 생각이다.
더구나 비천한 신분에서 '왕의 여자'로 거듭나고 다시 추락했던 장희빈의 관점으로 재구성했다는 것에도
큰 의미가 있다. 역시 장희빈은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늘 회자되어야 할 대단한 '왕의 여자'이다.
어디에도 기록되지 못하고 쓸쓸하게 사라져간 수많은 '왕의 여자'들이 후세에는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멋진 삶을
살았기를 바랄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