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포
제바스티안 피체크 지음, 배명자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이야기는 28년 전, 아니 정신과 전문의 엠마가 태어난 순간부터 시작되었다.

변호사인 아버지와 순종적인 어머니 사이에서 외동딸로 자란 엠마는 어린시절부터 자신의 방

옷장에 괴물이 살고 있다고 믿었다. 그 괴물은 때론 친구가 되기도 하고 아버지가 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어느 누구도 그 괴물의 존재를 믿어주지 않았다. 심지어 엠마조차 시간이 흐르면서 그저

 자신의 상상이 만들어낸 존재라고 믿기 시작했었다.

 

20190528_104846.jpg

 

어쨌든 정신과 의사로 성장한 엠마는 가혹한 정신병원의 치료형태를 고발하는 세미나를 열고

쉬기 위해 주최측이 미리 예약해둔 호텔로 향한다. 하지만 욕실 거울에 써있는 공포의 문자!

'도망쳐!'

그 때 도망쳤어야 했다. 그랬다면 끔찍한 성폭행을 당하지도 않았을 것이고 그토록 기다렸던

아이를 잃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 날 이후 엠마는 지옥에 갇혀 은둔의 여자가 되고 만다.

너무나 생생한 그 가혹한 기억들이 사실은 왜곡된 엠마의 상상이라고 단언하는 경찰들.

그 어디에서도 그녀가 성폭행당했다는 증거가 없었다. 경찰인 남편 필리프마저도 그녀를 의심

하기에 이른다. 그녀의 말을 이해하고 들어주는 사람은 아빠의 친구인 변호사 콘라트 뿐이다.

 

20190528_115040.jpg

 

그녀가 묵었던 호텔은 아예 1904호가 없었다. 분명 그녀는 1904호가 새겨진 열쇠로 문을 열고

들어갔는데 말이다. 이제 주변의 사람들은 엠마가 어려서부터 이상증세를 보였던 망상에 시달리고 있다고 믿는다. 엠마 자신도 자신을 믿을 수 없었다.            

그렇게 모든 것을 잃고 자신의 집안에 쳐박힌 엠마에게 소포하나가 배달된다.

책의 표지에서는 '소포를 받아 든 순간, 악몽이 당신의 문을 두드릴 것이다'라고 되어 있지만

그 소포는 그녀의 악몽을 여는 동시에 악몽을 끝내는 열쇠가 된다.

 

20190528_115152.jpg

 

우체부가 맡긴 이웃의 소포!

'팔란트'란 사람이 정말 이웃의 그 주소로 된 집에 살고 있을까. 엠마는 소포의 주인을 찾아 그 집을 찾아간다.  그리고 맞닥뜨린 사건, 그리고 엠마는 살인자가 된다.            

 

20190528_115201.jpg

 

사이코 스릴러의 대가 제바스티안 피체크의 이 소설을 따라가려면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현실인지 상상인지 도무지 알 수없는 기억속에 허우적대는 엠마를 따라가려면 말이다.

어린시절 자신의 옷장에서 튀어나온 괴물의 기억이 거짓이었을까.

그리고 소포의 주인공은 정말 연쇄살인마일까.

늘 그렇듯 엠마를 불행으로 이끈 사람들은 너무 가까운 곳에 있었다. 그래서 믿고 싶지 않았다.

한 여자를 이토록 불행하게 만들다니. 그것도 너무나 오랫동안.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책을 집어들고 마지막 장을 덮을 때까지 너무 혼란스러웠다. 그리고 책을 덮을 수 없었다.

도대체 누가 미친 것인지 꼭 확인해보고 싶은 열망 때문에.

소설이지만 우린 이런 살인마가 현실에 얼마든지 존재함을 알고 있다. 그래서 더 두렵다.

지금도 누군가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폭력으로 살인으로 그걸 증명하고 있다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