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한 밤의 눈 - 제6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박주영 지음 / 다산책방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시대를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은 누구인가.

조작된 진실, 모호한 시대 속을 살아가는 나의 진짜 모습은 무엇인가.

 

     모호한 정의의 시대. 비루한 삶을 살아가느라 침묵하는 다수의 대중과 그런 다수를 어리석다 여기며 마치 은혜를 베풀 듯 자신들이 이 사회를 이끌어간다고, 그것이 정의라고 믿는 소수의 권력자들. 여전히 검열은 존재하고, 사회안전망이라는 정의 하에 감시자들이 존재하며 이 세상이 분명 올바르게 흘러가지 않고 있음을 알지만 90%의 다수가 10% 혹은 그보다 더한 1%의 소수에게도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이 모호한 시대에서 우리는 살고 있다. 돈과 권력을 가진 자 또는 이 시대의 엘리트들로 대변되는 소수, 그 소수를 위해 움직이는 이들을 우리는 어떤 시각으로 바라봐야 할까. 그들도 어리석은 대중을 이끌어야 한다는 사명감을 정의라 믿는 것일까.

 

 

   <고요한 밤의 눈>은 이른바, 스파이로 대변되는 이들의 정체성과 사회 구조적 모순 속에 숨겨진 음모와 진실을 들여다보는 소설이다. 단순한 범죄 스릴러 및 스파이 소설이 아니다. 007 제임스본드처럼 멋진 스파이가 등장해 활약하는 것도 아니고, 영화 <감시자들>처럼 범죄 대상을 감시하고 추적하는 경찰들도 등장하지 않는다. 어딘가에 존재할 것 같지만 그 존재를 뚜렷하게 알 수 없는 스파이 집단 속에서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지만 자신들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의심하는 스파이들의 이야기이며, 그들이 감시하는 어느 대상자를 통해 사회 구조 속에 숨겨진 거대한 음모를 들여다봄으로써 각성하고 사유하는 관념적 이야기이다.

 

 

   소설에는 크게 5명의 인물이 등장한다. 15년간의 기억을 잃었다 깨어나니 스파이가 되어 있던 남자 X, X의 대학시절 동창으로 접근하여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또 다른 스파이 Y, 그런 그들을 진두지휘하는 중간 보스 B, 창작기금을 받아 생활을 유지할 정도로 빈곤한 소설가 Z, 정신과 의사인 언니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실종되어 그 이유를 찾을 동안 대신 언니의 역할을 하며 살아가는 쌍둥이 동생 D가 극을 이끌어간다. 스파이로서 Y에게 주어진 임무는 X의 잃어버린 기억의 간극을 메워주고, 그를 스파이의 세계로 소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X는 운명에 순응하듯 스파이로 적응해가지만 잃어버린 기억 속에서 자신이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 과거의 자신과 앞으로 계속될 스파이로서의 삶에 대한 정체성을 끊임없이 의심하며 살아간다.

 

 

“정말 알고 싶은 게 뭐야?”

“난 너의 진짜 냄새와 숨결과 땀을 알고 싶어. 그건 진짜겠지.”

원한다면 우리는 얼마든지 위안을 주는 환상 속에서 살 수 있다. 거짓된 현실에 속아주기도 하고 본래 의도를 감추려고 그 현실을 이용하기도 하면서. 이 거짓으로 쌓은 도미노가 길고 크고 복잡해질수록 어쩌면 우리는 더더욱 환상을 포기할 수 없을 것이다.

성공적인 환상을 지키기 위해 거짓된 삶을 사는 것, 그것이 바로 스파이의 삶이다. / 162p

 

 

  주인공을 꼽자면 X가 되겠으나 개인적으로 이 소설에서 흥미로운 인물 중의 하나가 보스인 B이다. 그는 언제부턴가 상식이 통하지 않는 이 사회가, 소수가 다수의 의사에 반하는 일을 무리하게 그것도 아주 빠르게 진행시키는 작금의 현실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스파이로서 과연 세상을 돕고 있는 게 맞는 것인지 그 정의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고뇌한다. 즉, 저자의 고뇌가 B의 고뇌로 대변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상부와의 회의를 통해서 이러한 목소리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도 하고 이미 은퇴한 전 보스에게 찾아가 여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해답을 구하기 위해 애쓴다.

 

 

“언제까지 사람들이 진실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말할 겁니까. 본인이 믿는 건만이 옳다고 믿는 것이 독선이고 독재입니다. 지금은 반대하지만 나중에는 고마워할 거라고 생각하는 것. 어리석어서 혹은 세뇌되어서 이런다고 생각하는 것. 다수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혹은 올바른 소수의 의견을 말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게 촛불, 혹은 죽음뿐인 게 정상입니까?” 내 질문은 공허하다. 이런 식으로도 저런 식으로도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소수의 승자와 다수의 패자로 구성된 사회. 약육강식에서 나아가 승자독식이다. / 206p

 

 

  소수의 승자와 다수의 패자로 나눠진 시대, 이 시대의 문제를 돌파하고 해결해나갈 방법은 무엇일까. 저자는 그것이 ‘책’ 즉, ‘문학’에 있다고 생각한다. 점점 인지도가 떨어져가고 생계유지조차 어려운 소설가 Z에게 스파이를 붙여 감시하게 한 것은 바로 그가 소수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존재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혁명’이라는 이념 아래 소수에게 저항할 수 있는 이들을 감화시킬 수 있는 힘이 문학에 존재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최고의 이야기에는 진실이 담겨 있다고, 진실을 쓸 때까지 멈추지 말라는 문장에서 미루어 짐작하건데 ‘전달자’, 즉 ‘작가’로서의 사명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는 부분이 아닐까싶다.

 

 

나의 예전 보스는 말했다. 소설을 읽는 것은 무엇보다 재밌어. 그런데 그 재미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말하는 재미하고는 좀 달라. 너무 재밌어서 아무 생각이 안 나는 것이 아니라 자꾸만 뭔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재미가 있어. 어떤 작가들은 언제나 어떤 방식으로든 우리에게 지금 여기의 문제를 고민하고 현실을 직시하라고 말하고 있어. 그런 작가들은 본능적으로 문학이 어떻게 세상에 기여할 것인가를 알아. 게다가 작가와 독자는 스파이들의 암호보다 더 복잡한 코드로 소통하지. 그들의 연대는 그들이 직접 스스로를 드러낼 때까지는 알아내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어. / 146p

 

 

  사실 카피 문구만 보고서는 스파이 소설이 혼불문학상 수상작이 되었다는 것에서 좀 의외다 싶었다. 그런데 이 소설은 스파이 소설이 아니라 그것을 가장한 사회 소설이었다. 인물과 사건으로 다져지는 소설의 이야기적 구성보다 사회 구조적 모순에 천착한 관념적 글쓰기의 성격이 강한 탓에 읽기가 까다롭고 다소 불친절한 부분도 많다. 실종된 D의 언니도 스파이가 아니었을까 추측만 할 수 있을 뿐이고, X가 왜 기억을 잃었는지도 그저 가늠만 할 수 있을 뿐이며, X가 Y에게 사랑을 느끼는 것 또한 뜬금없다. 하지만 <고요한 밤의 눈>이 혼불문학상을 수상한 데에는 나름에 근거가 있고 새로운 형식의 소설이 탄생했다는 점에서 가까이 해볼 만한 의미가 있다는 데에는 동감한다. 문학이 이 시대를 돌파할 힘이라는 점을 전달하려는 작가의 메시지가 그만큼 강렬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