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인간학 - 약함, 비열함, 선량함과 싸우는 까칠한 철학자
나카지마 요시미치 지음, 이지수 옮김, 이진우 감수 / 다산북스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약함, 비열함, 선량함과 싸우는 까칠한 철학자!

니체를 연구하여 이 시대의 착한 청년들을 통렬히 비판하다!



   많은 철학자들이 있지만 그 중 니체는 특별한 위치에 존재하는 듯하다. 기존의 전통철학의 노선에서 벗어난 이단아답게 생소한 느낌의 견해로 가득 차 있는 그의 철학을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신은 죽었다” 고 외친 그의 사상은 당시 기독교적 윤리 사상에 심취한 사람들을 경악하게 했고, 그의 사상이 한때 파시즘과 나치즘의 선전에 악용되기도 하였으니 그 극단적인 철학 사상은 그야말로 낯설고 껄끄럽기까지 하다. 그럼에도 이 괴짜 같은 철학자가 오늘날 유독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키고 그의 철학과 삶을 재조명하는 책들이 계속해서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수많은 니체 관련 도서들 중 <니체의 인간학>은 독특하게도 니체를 혐오하는 저자가 쓴 책이다. 니체를 혐오하는 이가 어째서 니체의 철학을 설파하고 우리에게 그의 목소리를 전한단 말인가. 언뜻 보면 참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많고, 그래서 더 호기심이 가는 것 또한 사실이다. 자신이 가장 혐오하는 니체를 정면으로 통과하여 그의 목소리를 빌려야했을 만큼 반드시 하고 싶었던 말이 무엇일까. 그것은 어쩌면 이 책의 원제인 <착한 사람만큼 나쁜 사람은 없다>에서 찾아볼 수 있을 듯하다. 착한 사람을 나쁜 사람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기존의 관습화된 규범에 도전하는, 그야말로 거침없고 불편한 사고가 아닐 수 없다. 오늘날뿐만 아니라 우리는 오랫동안 ‘착함’에 길들여져 왔고 또 그래야만 한다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어째서 니체는, 저자는 착한 사람을 나쁜 사람이라고 하는 것일까. ‘착한 사람 콤플렉스’에 사로잡혀 살아왔던 나도, 그렇다면 나쁜 사람이라는 걸까.


  뭔가 충격적이고 배신감마저 드는 이 혼란 속에서 책을 읽기 시작하다보면 다행스럽게도 니체와 저자가 말하는 ‘착함’이란 기존에 알고 있던 착한 사람과 다르다는 것에 안도하게 된다. 저자와 니체가 혐오하는 착한 사람은 ‘약자니까 어쩔 수 없다는 특권의식에 사로잡힌 자들, 약해서 옳고 약해서 나쁘지 않다는 등식에 안주하여 강자를 적대시하고 약함을 무기로 삼으려는 자들, 자신의 안위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일에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는 자들, 자신의 신체 보전을 가장 큰 가치로 삼는 사람들’이다. 오늘날엔 강자는 나쁜 사람이고, 약자는 착한 사람이라는 인식이 있는데 저자는 이런 가치전도를 통해 탄생한 착한 사람의 무리를 경멸한다.


     

착한 사람이란 자신이 약자이기 때문에 선량하다고 믿는 사람, 다시 말해 약자이기 때문에 끼치는 해악(아, 이것은 얼마나 심각한 해악인가!)을 전혀 자각하지 못하는 사람이다. 착한 사람은 절대 스스로 반성하는 법이 없고, 오히려 강자 때문에 영원한 피해자가 된 척한다. 강자에게 끊임없이 농락당하는 불쌍한 사람이라는 자화상을 계속 그리는 것이다. 이 이상의 둔감함, 태만함, 비열함, 교활함, 다시 말해 해악이 또 있을까! / 54p


그들은 안전을 바라면서 스스로는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그 가혹한 일을 국가가, 정치인이, 관료가, 기업인이, 즉 강자가 해주기를 바란다. 나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강자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일을 해내지 못하는 강자를 조소하고 욕하고 매도하고 내쫓는다. 어째서 이 정도의 폭력이 용서되는가? / 78p



  저자는 니체가 말했다고 해도 곧이들을 정도로 신랄하게 약함을 착함으로 정당화하는 사람들을 비판하며 그들의 약함, 비열함, 선량함 속의 교활함이 사회를 약하게 만들고 피폐하게 만든다고 주장한다. 특히 이를 조장하는 미디어를 독거미 타란툴라에 비유하여 거세게 비판한다. 미디어의 기획 속에서 나타나는 모든 것들은 진실처럼 보이는 거대한 거짓말이고, 거기에 무지몽매한 약자들이 선동된다는 것이다.



뒤에서 대중을 조작하는 자는 타란툴라라는 이름의 춤추는 독거미다. 대중의 질투심과 복수심을 부추기고, 그 활활 타오르는 증오를 교묘하게 이용해 “평등, 평등!”이라고 외치게 한다. 타란툴라란 누구인가? 모든 저널리스트, 텔레비전에 나와서 의견을 말하는 모든 사람, 아니 지금은 모든 정치가, 모든 관료, 모든 기업인, 모든 교육자가 타란툴라다. / 176p



  이쯤 읽다보니 안도했던 처음의 마음은 온데간데없고 내내 뜨끔한 것이 기분이 언짢아지기 시작한다. 결국엔 ‘착한 사람=약자=대중’으로 등식이 성립되는 듯한 이 논리는 특정의 누군가가 아닌 바로 나 자신을 가리키기도 하기 때문이다. 각종 미디어에서 선동하는 대로 다수의 의견에 몸을 맡기고, 사회의 안전망 속에 몸을 의지하며, 안락과 이득이 추구되면 무엇이 어떻게 돌아가든 상관하지 않고 방관하는 착한 사람이 곧 나라는 사실에 불편함을 감출 수 없다. 책 곳곳에서 드러나는 저자의 파격적인 언행과 주장에 모두 동조할 수 없지만, 다수의 약자 틈에 편승해왔던 나란 사람을 부정할 수는 없으니 말이다.



자신의 신념과 미학을 관철시키려면 대립에 따른 고통을 피해서는 안 된다. 강자는 일부러 이 길을 선택한다. 타인으로 인한 고통을 견디고 타인에게 고통을 주면서까지 지키고 싶은 자신의 신념과 미학이 있기 때문이다. / 202p



  니체를 부정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상을 빌어 약자들이 만연해지는 이 사회를 강렬하게 비판하는 저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약자라는 사실이 아무리 부조리하다 해도 자신의 약함에 몸을 내맡기는 착한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무력하고 유약해빠져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지 못하는 약자들에게 “니체를 읽으라!”고 권하고 싶다. 겁이 많고 약하고 선량하고, 순진한 자기 자신과는 완전히 정반대의 존재를 필사적으로 추구했던 니체처럼, 우리 또한 비록 약한 존재이나 강한 존재로 거듭나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하고 또 투쟁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이 책을 통해 많은 청년들이 깨달았으면 하고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