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국의 진짜 공부 - 10대를 위한 30가지 공부 이야기
강원국 지음 / 창비교육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장의 성적이 아닌, ‘평생 공부를 위한 마인드가 더 중요하다!

우리 자녀들에게 필요한 진짜 공부란 무엇인지 진심 어린 조언을 전하는 책!

 

 

 

  아이와 마주앉아 공부하다보면 왜 공부를 해야 하는가에 관한 대화를 자주 나누곤 한다그런데 그때마다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는 듯한 기분이 든다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원하는 직업을 얻기 위해서그렇다고 해서 나까지 꼭 그런 말을 해주어야 하는 걸까어쩔 수 없이 이 아이도 점수와 성적에 희비가 엇갈리고소위 번듯해 보이는 직업과 자신이 원하는 직업 사이에서 고민하게 되는 순간이 찾아올 테지만공부를 하는 과정과 목표의 방향이 그 누구도무엇도 아닌 자기 자신에게 향해 있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일 것이다하지만 그건 단순하게 설명하기도이해시키기도 쉽지 않은 일이라서 대화를 나누는 도중에도 번번이 내 마음이 먼저 무거워지곤 한다.

 

 

 

  『강원국의 진짜 공부에서는 자기다움을 찾아가는 여정을 공부라 정의한다내가 누구인지나는 무엇을 좋아하는지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를 찾아가는 과정이 공부라는 것이다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궁극적으로는 나를 키우는 진짜 공부를나아가서는 경쟁하는 공부가 아니라 함께하고 협력하는 공부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진짜 공부를 할 수 있을까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의 연설 비서관이자 베스트셀러 대통령의 글쓰기의 저자인 강원국은 이 책을 통해 10대 청소년에게 진짜 공부의 의미는 물론공부하는 힘을 기르는 법에 대해 알려주고자 한다아울러 자녀를 둔 학부모들에게도 우리 자녀에게 필요한 진짜 공부란 무엇인지 진심 어린 조언을 전하려 한다.

 

 

 

공부할 이유를 찾고공부 근육을 만들고,

공부 역량을 키우고공부의 범위를 확장하라

 

 

 

  ‘진짜 공부를 위한 첫 단추는 좋아하는 것을 찾기 위해 공부할 마음 준비하기다무슨 일이든 잘하기 위해서는 동기가 필요하다자신이 공부하려는 목적을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지나는 이제껏 무엇으로부터 동기를 얻었는지 진지하게 성찰해볼 수 있기를 제안한다그 중에서도 부모의 기대를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서혼나지 않기 위해서즉 결핍을 극복하기 위해서 공부에 노력을 기울이지는 않았는지 생각해보기를 권한다또 공부 근육은 물론 마음 근육을 기르는 데도 꼭 필요한 자기 존중감’, ‘자기 효능감’, ‘애호감을 통해 자신감을 얻고자기 존재의 의미를 찾는 데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공부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유념할 것이 있습니다우선 배우고 익히는 학습(學習)’이 온전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배울 학()’만 있고 익힐 습()’이 없으면 공부라 할 수 없습니다배우기만 한 것은 내 것이 아니고그것을 익혔을 때 비로소 내 것이 됩니다그런데 나의 학창 시절 공부는 배움만 있었어요익힘까지 나아가지 못한 것이지요배운 것을 내재화하여 내 것으로 만들지 못한 교육이었습니다나는 배움보다 익힘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익힘에 더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합니다. / 18p

 

 

우선 자기 존재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그러니까 자기 스스로를 괜찮은 사람쓸 만한 사람이라고 보는 거죠그뿐 아니라 자기가 뭐라도 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믿습니다자아 효능감은 높은 거죠이런 사람은 회복 탄력성도 좋습니다실수를 하거나 실패했을 때남에게 나쁜 평가를 받았을 때도 훌훌 털고 일어서는그걸 정리해 내는 힘이 세지요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크지 않고어려운 정도가 높은 일에 대해서도 성공 가능성을 높게 보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도전하고그런 결과로 좋은 성과가 나오면 그때마다 성취감을 느끼는 거죠. / 49p

 

 

 




 

 

 

 

  대한민국의 대표 사상가였던 고 신영복 교수는 담론이라는 저서를 통해 참된 공부의 의미에 대해 이렇게 쓴 바 있다. “공부는 세계를 변화시키고 자기를 변화시키는 것입니다공부는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하는 것이며, ‘가슴에서 끝나는 여행이 아니라 가슴에서 발까지의 여행입니다.” 공부는 먼저 머리로 하지만 그다음에는 가슴으로 함으로써 마음으로 느끼고 깨달아야 한다그리고 스스로를 성찰하고 반성할 수 있어야 한다자신을 향한 사색이나 성찰이 없는 공부는 진정한 공부라 할 수 없다또 여기서 그치는 게 아니라 손발로 실천함으로써 가슴에서 발까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다시 말해 자기 자신은 좋은 사람이 되고나아가 좋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 진정한 공부의 의미이자 목적이 되어야 한다이처럼 담론의 글귀를 빌어 진정한 공부의 의미와 교육의 가치를 전달하고자 한 이 책의 메시지를 늘 잊지 않고평생 공부의 길잡이로 삼아야겠다고 생각했다.

 

 

 

인류만큼 먼 거리를 꾸준히 달릴 수 있는 동물은 드물다고 합니다빠르지도 힘이 세지도 않은 인류가 지구를 지배하게 된 이유 중 하나입니다실제로 내가 무언가를 꾸준히 해 보니 얻는 게 한둘이 아닙니다우선 그 일에 정통해집니다연륜도 쌓입니다또 오래 하다 보면 우연히 얻어걸리는 행운도 맛보게 됩니다그뿐 아니라 그 분야 사람들과 교류가 쌓이고 네트워크도 만들어집니다포기하지 않는 게 중요합니다지속하는 것 자체가 성공입니다계속하는 사람이 가장 무섭습니다. / 80p

 

 

 

  이 외에도 책에는 공부 철학으로 삼을 만한 귀한 메시지들이 곳곳에 담겨 있다. ‘100점 맞을 욕심으로 덤벼 들어 98, 96, 94점으로 점수가 깎이는 것이 아닌, 0점에서 출발해 2, 4, 6점으로 점수가 올라가는 도전을 해볼 것’, ‘부진과 침체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완벽주의에서 벗어나는 데 있다는 것’, ‘공부가 읽기와 듣기라면 최종적으로는 내 말을 하고 내 글을 쓰기가 주요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것’ 등 청소년들에게 지속적이고 성장 가능한 공부 마인드를 전하려 한 점이 인상적이다공부 잘 하는 법을 강조하는 책들은 넘쳐나지만 그 전에 무엇을 더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지를 생각해볼 수 있게 한 책이라 청소년들에게 꼭 일독을 권하고 싶다.

 

 

 




 

 

 

 

  시카고의 한 고등학교에서는 성적표에 낙제 점수를 쓸 때 실패를 뜻하는 ‘F(Failed)’로 표시하지 않는다고 한다그 대신 아직이란 뜻의 ‘NY(Not Yet)’라고 쓴다고 한다당장 잘하지 못해도 언젠가는 잘할 수 있다는 믿음을 주는 교육실패하고 실수했을 때 재도전의 기회를 줄 수 있는 교육 문화가 보다 절실해진 지금나의 아이에게도 틀렸다가 아니라 아직이라는 말을 더 자주 말해줄 수 있는 부모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았으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