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든버러
알렉산더 지 지음, 서민아 옮김 / 필로소픽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환상적이고, 은유적이며, 비극적이지만 아름다운 한 남자의 성장 그리고 사랑!

내가 읽은 것보다 읽지 못한 것이 더 많은, 그래서 거듭 읽어볼 가치가 있는 소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한여름 밤의 꿈』에서는 마법에 걸려 커다란 당나귀 머리로 변한 바텀에게 마법의 꽃즙이 묻은 티타니아가 사랑에 빠지는 장면이 나온다. 셰익스피어가 마법의 꽃즙이라는 수단을 동원하여 우리에게 보여준 것은 사랑이란 느닷없이 갑작스럽게 찾아온다는 것, 두 눈을 멀게 하고 분별력을 앗아간다는 것. 감정의 원인과 대상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정서적 상태가 되어버리는 것. 여기서 사랑이 우리에게 특별한 인상을 남기는 것은 현실의 모든 저항이나 장애를 넘어서게 하는 바로 그 힘 때문이다. ‘나르시스의 전설에서 나르시스는 물에 비친 자기 모습을 사랑한 게 아니었다. 결코. 그가 사랑한 대상인 물에 비친 그림자는 그를 움직일 힘을 지니고 있었다. 우리 중에 자기 자신을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이 누가 있을까? 그의 사랑은 그 힘 때문에 전설이 된다.’던 『에든버러』 속의 구절도 이와 다르지 않다. 저항할 틈도 없이 닥쳐오는 폭력 앞에 고통 받던 10대의 소년들이 서로를 사랑했던 것은 어쩌면 그 힘을 믿고 의지했기 때문이 아닐까. 레이디 타마모가 영생을 버리고 사랑했던 자신의 남편을 따라 스스로 불에 뛰어들게 한 바로 그 힘을.

 

 

 

 

 

 

차별과 억압, 정체성의 혼란과 폭력으로 얼룩진 10대들의 민낯 

 

 

   『에든버러』는 한국인계 이민자이자 퀴어인 열두 살 소년 ‘피’의 이야기다. 성가대에 들어갈 만큼 훌륭한 목소리를 가진 피는 처음으로 참석한 파인스테이트 성가대에서 피터를 만난다. 아마빛 머리카락에 체구는 작아 보이지만 성량이 풍부한 피터의 입은 피에게 있어 ‘순수한 음들로 이루어진 다른 차원으로 향하는 문’이다. 널 사랑하고 있어. 그래 맞아, 널 사랑하고 있어. 피는 피터와 함께, 영원히 닿을 수 없을 만큼 아주 높은 곳으로 함께 갈 수 있기를 기도한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들을 응시하는 하나의 시선을 불쑥불쑥 느낀다. 합창단의 지휘자, 큰 에릭이다. 그는 나체주의자이자 소아성애자로, 틈만 나면 아이들에게 나체주의의 미덕을 늘어놓고 알몸 대화를 나누며, 성가대에서 아이들이 무리지어 몰려다니는 것을 금지시킨다. 그의 눈은 올빼미를 닮아서, 하늘을 날며 밤하늘 어딘가에서 그들을 내려다보는 것 같다. 나중에 큰 에릭이 구속이 된 이후에야 구체적인 숫자를 알게 되지만, 성가대 대원의 절반이나 되는 아이들이 그로부터 씻을 수 없는 성폭력 트라우마에 노출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알고 있었어. 바람이 방향을 바꾸자 바닷바람이 지나간다. 이편이 좀 더 괜찮은 기억이다. 나는 큰 에릭이 어떤 사람인지 안다고 생각했다. 그가 나와 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했고, 그래서 그에 대해 안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둘 다 소년을 좋아한다. 그렇지만 나는 이제 큰 에릭이 나에게서 무엇을 보는지 안다. 우리는 같지 않다. 내가 그걸 알고 있다는 걸 그는 안다. 나는 전에는 몰랐지만 이제는 안다. 그리고 그는 내가 안다는 사실이, 내 안에 밝혀진 빛 하나가 희미한 어둠을 뚫고 서서히 가까워지고 있는 걸 지켜보고 있다. / 66p

 

 

잠시 후 큰 에릭이 내 자리로 다가온다. 《천국의 불꽃》을 좋아하니? 그가 나에게 묻는다. 그는 내가 책에서만 읽었을 뿐 한 번도 본 적 없는 방식으로 양손을 비빈다. 그렇게 손을 비비는 사람은 내가 아는 사람 중에 그가 유일하다.

좋아해요. 나는 말한다. 나는 그 책을 좋아했다. 큰 에릭은 나에게 이 소설을 읽도록 권했고, 나는 도서관에서 대출을 받았다. 책을 가지고 집에 왔을 때, 그가 왜 나에게 이 책을 읽도록 권했는지 알았다. 소설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관한 이야기로, 대왕은 십대 시절에 연상의 남자 교사와 연애를 한다.

큰 에릭은 미소를 짓는다. 정말 아름다운 이야기 아니니? 다음엔 《페르시아 소년》을 읽어라. 황제와 거세된 남자 노예의 사랑 이야기란다.

네, 그럴게요. 나는 말한다. / 84p

 

 

 

 

  이미 벼랑 끝으로 내몰린 아이들은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삶에 저항한다. 피터는 자해를 가하다 결국 제 몸에 불을 지른다. 잭은 스스로 제 몸에 방아쇠를 당긴다. 피는 피터를 큰 에릭으로부터 지키지 못한 데에 대한 자책과 잭의 애정을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했다는 데에 대한 죄의식으로 괴로워한다. 마치 자신이 잭의 총알이 되고, 피터의 불길이 된 것처럼 그들의 죽음에 관한 산만한 생각들이 자신 안에 불을 질러 흉측하고 붉은 흉터를 남기고, 번개에 맞은 나무처럼 완전히 태워버리는 것 같다. 더욱이 그는 그 누구와의 관계 속에서도 완전함을 얻지 못하고 수시로 죽음에 대한 충동을 느낀다. 그렇게 어디에도 정착하지 못하고 방황하던 피는 훗날 고등학교 수영 강사 코치로 부임하며 피터와 똑같이 생긴 제자 워든을 만난다. 피터의 환영으로부터 벗어나 이제 덤덤하게 삶을 받아들이기로 한 피였지만 끝내 워든을 거부하지 못한다. 하지만 워든을 받아들이는 순간, 그는 충격적인 진실과 마주한다. 워든은 지난 날 성가대의 지휘자 큰 에릭의 아들, 에드였던 것이다.

 

 

 

이런저런 이유를 생각해보지만 모르겠다. 아무것도 이유가 아닌 동시에 모든 게 이유가 된다. 왜 죽고 싶은 거지? 나는 스스로에게 묻는다. 달리 그만 둘 방법이 없잖아? 죽으면 모든 문제가 끝나니까. 타마모의 모습이 보인다. 자기 손으로 남편의 두 눈을 가리고, 공기를 들이마신 후 입김을 불어 불을 내뿜는 타마모와, 그녀를 지켜보는 가족들의 모습이 보인다. 이만하면 됐어. 타마모는 생각했을 것이다. 타마모의 입술 위로 뿜어져 나오는 불길, 그것은 이제 나를 끝낼 것이다. / 164p

 

 

 

   이처럼 『에든버러』는 수치심과 폭력으로 얼룩진 10대 시절, 아직 자아가 뚜렷이 정립되지 못한 소년들에게 방치된 성폭력의 그늘이 한 개인은 물론 그들 조직 전체에 얼마나 큰 비극을 몰고 오는지 한 소년의 성장과정을 통해 과감하면서 덤덤하게 그려나간다. 그러면서도 거친 듯 섬세하고, 무기력함과 분노 속에서 어떻게 해서든 나아가려는 한 남자의 감정선을 매우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어 얼마간 책을 읽기 힘들다가도 기꺼이 독자들로 하여금 이야기를 껴안게 한다. 여기에 한국계 이민자로 겪게 되는 차별과 한국의 구미호 설화가 어우러진 다층적 구성, 몽환적이면서 시적인 문체는 이 소설이 미학적인 요소까지 갖춘 꽤 괜찮은 소설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한다.

 

 

 

나는 데스캔트를 맡고 싶다. 충분히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 내 목소리도, 내 음역대도 그만하면 괜찮다. 나는 더 열심히 노래를 익힌다. 하지만 그 순간 큰 에릭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알아차린다. 합창석 맨 위에 선 금발 소년이 노래 부르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사람들은 자신이 듣고 있는 음악에 감동 받길, 그 음악이 바로 눈앞에서 머무르길 바랄 것이다. / 24p

 

 

나의 옛 목소리에 대한 기억, 그러니까 소년 시절 소프라노 목소리에 대한 기억은 간절한 소망에 대한 기억이다. 목소리에 힘을 빼고 싶은 욕망. 먹이를 잡은 가마우지가 바다를 떠나듯, 성대를 풀어내고 육체에서 벗어나고 싶은 소망. 하늘을 나는 것이 아니라 나는 존재가 되고, 소리를 전하는 것이 아니라 전달 자체가 되고 싶은 소망. / 118p

 

어린 시절이 어땠는지 기억하는가? 기억할 것이다. 그 시절 우리는 아무것도 모를 만큼 정말 순진했던가? 그렇지 않다. 틀림없이 그럴 거라고 생각할 뿐이지. 그 시절의 순진함을 찾으려는 사람이 있다면, 앞만 보고 달리느라 그 시절을 까맣게 잊은 어른일 것이다. 순진함이 악의 능력에 대한 무지라면, 어린 시절이 어땠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어른들은 순진함을 운운한다. 그들은 아이를 보고 순진하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자신들은 기억에도 없는 그 시절을 막연히 떠올리고 있는 것이다. / 296p

 

 

 

 

 

 

   『에든버러』는 환상적이고, 은유적이며, 비극적이지만 아름다운 소설로 정의할 수 있겠지만, 내가 실제로 읽어낸 것보다 읽지 못한 부분이 혹은 읽어야 할 부분이 더 많은 소설이다. 오직 한 번의 독서만으로는 어쩐지 부족해서, 거듭 읽으면 읽을수록 더 좋은 작품으로 기억될 듯하다. 내가 미처 나누지 못한 이야기들은 다른 독자들이 이 책을 읽고 더욱 많이 들려주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