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가나안 정복 요약 총정리
  / 여호수아 12:1 - 12:6
* 계획에 없던 아모리와의 전쟁엔 어떠한 하나님의 섭리가 있었습니까?
* 모세와 여호수아의 정복 점수는 누가 더 큰가요?
1 이스라엘 자손이 요단 강 동쪽 해 돋는 쪽 곧 아르논 골짜기에서부터 헤르몬 산까지, 동쪽 온 아라바를 무찌르고 점령하였는데, 그 땅의 왕들은 다음과 같다. 2 하나는 헤스본에 사는 아모리 사람의 왕 시혼이다. 그는 아르논 골짜기 끝에 있는 아로엘에서 골짜기 중간과 길르앗의 반쪽과 더 나아가서 암몬 자손의 경계인 얍복 강까지를 다스렸다. 3 그는 또한 아라바 동쪽 방면의 긴네롯 바다까지와 아라바의 바다, 곧 동쪽 방면의 사해, 벳여시못으로 통하는 길까지와 남쪽으로는 비스가 산 기슭까지 다스렸다. 4또 하나는 바산 왕인 옥이다. 그는 르바 족 가운데서 살아 남아, 아스다롯과 에드레이에서 살고 있었다. 5 그는 헤르몬 산과 살르가와 온 바산과 그술 사람과 마아가 사람과 길르앗의 반쪽과, 그리고 더 나아가서 헤스본 왕 시혼이 다스리는 땅의 경계선까지 다스렸다. 6 이 두 왕은 바로 주님의 종 모세와 이스라엘 자손이 무찌른 사람들이다. 주님의 종 모세가 그 땅을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와 므낫세 반쪽 지파에게 주어서 소유로 삼도록 하였다.
1. These ard the kings that the People of Israel defeated and whose land they took on the east of the jordan, from the Arnon Gorge to Mount Hermon, with the whole eastern said of the Arabah Valley.
2. Sihon king of the Amorites, who reigned from Heshbon: His rule extened from Aroer, which sits at the edge of the Arnon Gorge, from the middle of the gorge and over half of Gilead to the Gorge of the Jabbok River, which is the border of the Ammonites.
3. His rule included the eastern Arabah valley from the Sea of Kinnereth to the Arabah Sea(the Salt Sea), eastward toward Beth Jeshimoth and southward to the slopes of Pisgah.
요단강 저편을 추억하며
오늘은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복 역사를 간단히 요약․정리해주고 있는 장면입니다. 가나안 정복 전쟁이 끝난 시점에서 지난날을 정리하는 이유는 뭘까요? 그것은 이스라엘이 형편없는 조건 속에서도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얼마나 큰 성적을 거두었는지 한 눈에 알아보기 위해서입니다. 우선 6절까지는 요단강을 건너기 전에 모세가 정복한 땅과 왕의 이름이 나옵니다. 사실 이스라엘은 가나안 족속이 아니면 싸우려고 하지 않았었어요. 그런데 아모리 사람들이 먼저 전쟁을 걸어와서 어쩔 수 없이 싸우게 되었고 결과는 이스라엘의 대승리였습니다. 계획에 없던 전투였지만 이를 통해 이스라엘은 가나안 정복에 대한 확신을 얻을 수 있었죠. 게다가 이스라엘이 아모리를 무찔렀단 소문에 가나안 사람들은 공포에 떨었고 하나님의 이름이 그 땅 가운데에 높아졌습니다. 이 정도면 두고두고 자랑하고 추억할 일이 아닙니까?
 
모세 vs 여호수아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들어가기 전에 계획에 없던 전쟁에 승리하는 바람에 큰 땅덩어리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모세는 이 땅을 우선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와 므낫세의 반쪽 지파에게 그들의 살 터전으로 주었습니다. 이것이 모세가 한 일입니다. 그런데 반면 여호수아가 이룬 업적은 어떻습니까? 모세가 두 왕을 무찌른 데에 비해서 여호수아는 서른 한 명이나 되는 왕들을 잡아 죽였습니다. 그리고 가나안 땅에서 모든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땅을 나누어주는 일을 이루었습니다. 아무리 천하의 모세라 할지라도 여호수아가 훨씬 많은 일을 하지 않았습니까? 모세가 율법을 상징한다면 이 여호수아는 훗날 오실 예수님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Joshua(여호수아)와 Jesus(예수) 둘의 이름도 비슷합니다. 덧붙이자면 율법이 주는 승리보다 복음이 주는 승리와 선물은 비교할 수 없이 크고 영광스럽다는 말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가나안 족속들은 왜 이스라엘과 평화조약을 맺자고 하지 않았을까요?
* 이스라엘이 아낙자손을 멸망시킬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인가요?
18 여호수아는 여러 날 동안 이 모든 왕과 싸웠다. 19 기브온 주민인 히위 사람 말고는 이스라엘 자손과 화친한 성읍 주민이 하나도 없었다. 나머지 성읍은 이스라엘이 싸워서 모두 점령하였다. 20 여호수아가 이들 원주민을 조금도 불쌍하게 여기지 않고 전멸시켜서 희생제물로 바친 까닭은, 주님께서 그 원주민들이 고집을 부리게 하시고, 이스라엘에 대항하여 싸우다가 망하도록 하셨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호수아는, 주님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그들을 전멸시킨 것이다. 21 그 때에 여호수아가 가서, 산간지방과 헤브론과 드빌과 아납과 유다의 온 산간지방과 이스라엘의 온 산간지방에서 아낙 사람을 무찌르고, 그 성읍들을 전멸시켜서 희생제물로 바쳤다. 22 이스라엘 자손의 땅에서는, 오직 가사와 가드와 아스돗을 제외하고는, 아낙 사람으로서 살아 남은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 23 여호수아는, 주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신 대로, 모든 땅을 점령하고, 그것을 이스라엘 지파의 구분을 따라 유산으로 주었다. 그래서 그 땅에서는 전쟁이 그치고, 사람들은 평화를 누리게 되었다
22. No Anakim were left in the land of the People of Israel, except in Gaza, Gath, and Ashdod-there were a few left there.
23. Joshua took the whole region. He did everything that GOD had told Moses. Then he parceled it out as an inheritance to Israel according th their tribes.
왕고집 가나안
가나안에서 수두룩한 전쟁을 치렀지만 이스라엘에게 평화조약을 신청해온 곳은 오직 기브온 뿐이었습니다. 그 외의 모든 성읍은 이스라엘과 함께 하는 하나님을 몰라보고 자기들의 군사력만 믿고 대들다가 모두 망해 버렸지요. 성경은 이에 대해서 주님이 그들을 고집 부리게 하셨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하나님께서 일부러 그들이 죽어가도록 만드셨다는 뜻이 아닙니다. 그들의 거만한 마음들을 그대로 그냥 내버려두셨다는 말이지요. 따라서 그들의 멸망은 그들 스스로의 죄 때문에 마땅히 당할 심판이었던 겁니다. 그러나 고집부리지 않고 겸손히 하나님의 은혜를 구했던 라합이나 기브온 땅의 주민들은 모두 구원을 받았었죠. 그런데 만약 하나님께서 우리도 멋대로 살도록 내버려두시면 한 고집하는 우리는 과연 어떻게 될까요?

 
아낙자손 싹쓸이
이스라엘은 가나안 땅을 거의 다 정복하게 되어서 이젠 정복이 아닌 정착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우선 여호수아는 가나안 땅에 살고 있는 아낙사람들을 다 잡아죽이고 그 마을들을 쑥대밭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아낙사람들은 전부 최홍만만큼이나 키가 엄청 큰데다가 힘도 세서 아주 위험한 사람들이었거든요. 블레셋의 장수 골리앗도 이 아낙자손의 후예 중 하나였죠. 그래서 가나안에 들어오려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가장 큰 공포의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여호수아와 갈렙이 ꡒ그들은 우리의 밥이다ꡓ라고 고백했던 그대로 결국 이스라엘에게 모조리 죽임을 당하게 됐죠. 그런데 이스라엘이 그 헐크 같은 아낙사람들을 어떻게 이길 수 있었을까요? 그건 믿음으로 밖에 설명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요즘 나의 앞에 이 아낙사람들처럼 커 보이는 문제는 무엇입니까? 문제가 큰 것인가요? 아니면 나의 믿음이 작은 것인가요?
가나안의 거만한 거민들
  / 여호수아 11:18 - 11: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하솔 외의 다른 마을들을 불태우지 않은 이유는 뭘까요?
* 여호수아는 가나안의 얼마만큼을 정복하게 됐나요?
10 그 때에 여호수아는 돌아서서 하솔을 점령하고, 그 왕을 칼로 쳤다. 그 때만 하여도 하솔은, 이들 왕국들 가운데에서 가장 강한 나라였다. 11 그 하솔 성안에 있는 모든 사람을, 전멸시켜서 바치는 희생 제물로 삼아 칼로 쳤고, 호흡이 있는 사람은 하나도 남겨 두지 않았으며, 그 성은 불질렀다. 12 여호수아는 이 모든 왕의 도성을 점령하고, 그 왕들을 모두 잡아 칼로 쳐서, 주님의 종 모세의 명령을 따라 그들을 전멸시켜서 희생 제물로 바쳤다. 13 그러나 이스라엘 사람들은, 여호수아가 불태운 하솔을 제외하고는, 언덕 위에 세운 성들을 하나도 불태우지 않았다. 14 이 성들에서 탈취한 노략물과 가축은 이스라엘 자손이 모두 차지하였고, 사람들만 칼로 쳐서 모두 죽이고, 숨쉬는 사람은 한 사람도 남겨 두지 않았다. 15 모세는 주님께서 자기에게 명하신 대로 여호수아에게 명하였고, 여호수아는 그대로 실행하여, 주님께서 모세에게 명하신 것 가운데서 실행하지 않고 남겨 둔 것은 하나도 없었다. 16 이렇게 여호수아는 이 모든 땅 곧 산간지방과 네겝 지방과 모든 고센 땅과 평지와 아라바와 이스라엘의 산간지방과 평지를 다 점령하였다. 17 그리고 세일로 올라가서, 할락 산에서부터 헤르몬 산아래 레바논 계곡에 있는 바알갓 까지, 모든 왕을 사로잡아서 쳐죽였다.
14. The people of Israel plundered all the loot, including the cattel, from these towns for themslves. But they killed the people-total destruction. They left nothing human theat breathed.
15. Just as GOD commanded his servant Moses, so Moses commanded Joshua, and Joshua did it. He didn't leave incomplete on thing tat GOD had commanded Moses.
16. Joshua took the whole country: the mountains, the southern desert, all of Goshen, the foothills, the valley(the Arabah), and the israel mountains with their foothills.
17. from Mount Halak, which towers over the region of Seir, all the way to Baal Gad in the Valley of Lebanon in the shadows of Mount Hermon. He captured their kings and the killed them.
언덕 위의 선물
하나님의 약속대로 전쟁은 큰 승리로 마무리됐습니다. 이스라엘은 가나안 북쪽 연합군의 중심이었던 하솔 성을 완전 불질러 버렸죠. 하지만 언덕 위에 세워진 성들은 전혀 불태우지 않았습니다. 여호수아가 그 성들이 탐나서 남겨둔 것일까요? 아닙니다. 15절에 여호수아가 주님께서 명령하신 것을 모두 실행했다고 기록된 것을 보면 그건 하나님이 허락하신 일인 걸 알 수 있지요. 다시 말해 그 성들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위해 마련하신 선물인 겁니다. 신명기에도 이런 일들이 예언되어 있습니다. ꡒ거기에는 당신들이 세우지 않은 크고 아름다운 성읍들이 있고, 당신들이 채우지 않았지만 온갖 좋은 것으로 가득 찬 집이 있고ꡓ 그렇다면 우리가 받은 축복의 목록을 살펴볼 때에 내가 세우지도 채우지도 않았지만 거저 받게 된 복들은 뭐가 있는지 한번 돌아봅시다.
 
전부 다 실행하기
가나안 북쪽 나라들이 연합으로 덤벼들었기 때문에 이스라엘은 한번에 북부지역을 접수할 수 있었어요. 만일 한 나라씩 차례대로 싸워나갔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었을까요? 사실 처음엔 거대한 연합군의 총공격이 두려웠지만 결국은 하나님의 뜻 가운데 이렇게 축복으로 바뀔 수 있었던 거죠. 이러한 하나님의 도우심 덕분에 여호수아는 남으로 북으로 승승장구하며 뻗어나갈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결국은 너무나 바래왔던 약속의 땅 가나안의 대부분을 정복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 모든 것이 약속을 신실하게 지켜주신 하나님의 선물인 거죠. 그리고 말씀을 모두 실행한 여호수아의 순종이 맺은 열매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가요? 말씀을 지키긴 하지만 모두 다 지키기는 어렵다고 지레 포기하지는 않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2005년 11월 01일   
믿음은 가장 믿을만한 무기
  / 여호수아 11:1 - 11:9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앨범 : Grace -노미선 2)
  여호와 이스라엘의 구원자 (앨범 : 침묵기도7)
* 하나님께선 무슨 말로 여호수아를 격려하셨습니까?
* 하나님은 왜 말과 병거를 챙기지 못하게 했나요?
1 하솔 왕 야빈이 이 소식을 듣고, 마돈 왕 요밥과 시므론의 왕과 악삽의 왕과, 2 북방 산간지방과 긴네롯 남쪽 아라바와 평지와 서쪽으로 도르의 높은 지역에 사는 왕들과, 3 동서쪽의 가나안 사람과 아모리 사람과 헷 사람과 브리스 사람과 산간지방의 여부스 사람과 미스바 땅의 헤르몬 산 밑에 사는 히위 사람의 왕들에게 전갈을 보냈다. 4 이 왕들이 자기들의 군대를 모두 출동시켰는데, 그 군인의 수효가 마치 바닷가의 모래와 같이 많고, 말과 병거도 셀 수 없이 많았다. 5 이 왕들이 모두 만날 장소를 정하고, 이스라엘과 싸우려고 나와서, 메롬 물가에 함께 진을 쳤다. 6 그 때에 주님께서 여호수아에게 말씀하셨다. ꡒ그들 앞에서 두려워하지 말아라. 내일 이맘 때에 내가 그들을 이스라엘 앞에서 다 죽이겠다. 너는 그들의 말 뒷발의 힘줄을 끊고, 그들의 병거를 불태워라.ꡓ 7 여호수아는 자기를 따르는 모든 군인과 더불어 갑작스럽게 메롬 물가로 들이닥쳐서, 그들을 덮쳤다. 8 주님께서 그들을 이스라엘의 손에 넘겨주셨기 때문에, 이스라엘은 그들을 무찌르고, 큰 시돈과 미스르봇마임과, 동쪽으로 미스바 골짜기까지 추격하고, 살아 남은 사람이 한 사람도 없을 때까지 그들을 쳐서 죽였다. 9 여호수아는 주님께서 자기에게 명하신 대로 하여, 그들의 말 뒷발의 힘줄을 끊고 그들의 병거를 불살랐다.
6. GOD sain to Joshua: "Don't worry about them. This time tomorrow I'll hand them over to Israel, all dead. You'll hamstring gheir horses. You'll set fire to their chariots."
7. Joshua, his entire army with him, took them by surperise, falling on them at the Waters of Merom.
8. GOD gave them to Israel, sho struck and chased them all the way to Greater Sidon, to Misrephoth Maim, and them to the Valley of Mizpah on the east. Nosurvivors.
9. Joshua treated them following GOD's instructions;he hamstrung their horses; he burned up their chariots.
말씀 반복청취
겁나는 속도로 가나안 땅을 정복해 가는 이스라엘을 보며 가나안 북쪽의 하솔 왕 야빈이 드디어 발끈했습니다. 북쪽의 모든 나라와 손을 잡고 총공격을 준비한 것이지요. 어디서 그렇게 많은 군인 떼가 모였는지 해변의 무수한 모래와 같았다고 성경은 말합니다. 게다가 그들에게는 이스라엘에 없는 수많은 말과 병거들이 있었어요. 이때에 하나님께선 여호수아에게 또 두려워 말라고 하십니다. 어떤 참신한 말씀이 아닌 매번 들어왔던 똑같은 말씀으로 말입니다. 사실은 좀 질리는 말이에요. 하지만 우리에겐 새롭고 특별한 말씀이 필요한 게 아닙니다. 믿음을 충전하기 위해 말씀으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한 것이죠. 왜냐면 삶 속에서의 싸움은 한번으로 끝나지 않고 계속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무리 좋은 말씀을 들어도 조금 지나면 까먹기 쉬운 법이니까요. 그렇다면 내가 오늘 다시 붙들어야 하는 말씀은 무엇인가요?
 
아깝다! 말이랑 병거
하나님께서는 적들을 떼죽음 당하게 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명령을 내리셨어요. 적들이 다 죽고 나면 그들이 타고 온 말의 뒷발 힘줄을 끊고, 병거를 몽땅 태워버리랍니다. 너무 아깝지 않나요? 이스라엘은 전투력을 강화시킬 최고의 아이템으로 말과 병거가 꼭 필요할 텐데 말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생각은 달랐어요. 말과 병거 같은 풍부한 조건들이 갖춰지면 인간들은 하나님 없이도 잘 할 수 있을 거라는 오만방자함에 빠지기 쉽거든요. 말과 병거는 참 귀한거지만 이스라엘의 믿음행진에는 분명히 방해가 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래서 다윗은 말했어요. ꡒ어떤 이는 전차를 자랑하고, 어떤 이는 기마를 자랑하지만, 우리는 주 우리 하나님의 이름만을 자랑합니다(시 20:7).ꡓ 혹시 나에게 있는 좋은 여건과 재능 때문에 외려 믿음을 잃어가고 있진 않은지 잠시 돌아보는 건 어떨까요?
 

[ 자료제공: GTM Tel.(02)2205-3818 / 홈페이지편집: 남궁환 ]
All Rights Reserved Society for World Internet Mission
Tel : 02)796-3217 | E-mail : fisher@swim.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