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의 하이스트리트 - 명동, 홍대, 강남, 성수, 한남, 도산 대한민국 6대 상권의 비밀
김성순 지음 / 디자인하우스 / 2025년 7월
평점 :

소비패턴의 변화와 새로운 자본의 흐름, 서울의 6대 상권 생태계 분석
서울의 하이스트리트를 읽고 / 김성순 지음 / 디자인하우스 (도서협찬)
이 책은 소비패턴의 전환과 상권 생태계의 흐름을 통찰력 있게 정리한 실무형 분석서다. 도시의 변화를 어떻게 흐르고 축적되고 발전하는지를 감각적으로 그려낸다. 작가는 한발 먼저 변화를 예감하고 그 흐름의 의미를 되묻는다. 도시의 현재를 말하면서 동시에 그 미래를 상상하게 한다.
서울의 여섯 개 핵심 상권을 중심으로 소비패턴 변화와 자본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전통적 상권인 명동, 홍대, 강남을 ‘메가 하이스트리트’로, 신흥 상권인 성수, 한남, 도산을 ‘네오 하이스트리트’로 구분해 각 상권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과 공간 구성, 브랜드 전략, 소비자 변화, 외국인 관광객 유입 등의 요소를 상세히 다룬다. 특히 팬데믹 이후 급변한 유통 환경과 오프라인 공간의 역할 재정립, 그리고 한류가 상권에 미친 영향도 입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시 상권을 단순히 소비 공간이 아니라 복합적인 생태계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 책은 부동산 투자자, 상권의 트렌드에 관심있는 사람, 상권 분석과 도시 계획, 자본 흐름에 관심 있는 독자, 리테일 전략에 관심 있는 실무자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유와 분석을 담백하고 단단한 문장으로 표현해 독자의 이해를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기대하지 않았는데 좋은 문장들도 많아서 기억하고 싶은 곳도 많이 있었다.
하이스트리트 - “상권의 중심지, 브랜드가 밀집된 길, 플래그십 스토어, 기업본사, 금융기관 등이 들어선 중심업무지구, 대형오피스타운, 고소득층의 주거지역, 제일의 번화가, 최신 트렌드와 청춘의 에너지가 생동하고, 기민한 감성으로 대중에게 라이프스타일을 앞서 제시하는 힙스터가 출몰하며, 동네 상권에 비해 임대료가 높은 일대” p5~9
★ 밸류애드 – 상업용 부동산의 자산가치를 향상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투자전략
네오 하이스트리트의 밸류애드는 문화적 통찰, 트랜드 감각, 호기로운 도전, 탐미적 기호에 기반을 둔다. 이곳에 입점한 브랜드 플래그십은 어디에 있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있는가에 힘을 싣는다. 시간, 공간, 브랜드의 가치라는 삼박자가 유기적으로 얽혀 새로운 차원의 리테일 경험을 만든다.
★ 앵커 – 발길과 마음을 잇는 연결의 닻
현대 소비자들은 내면적 가치와 일치하는 공간을 본능적으로 선호한다.
사람을 끌어들이고 불러 모으는 물질적 비물질적 자원.
명동의 앵커는 다양한 콘텐츠를 가진 노점이,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이
성수의 앵커는 변화무쌍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팝업이, 거리를 메우는 개성강한 Z세대
★ 파사드 – 상권의 얼굴이 된 브랜드 전략의 집결체
파사드는 브랜드 스토리와 철학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미디어다.
★ 팬데믹 – 오프라인의 패러다임과 리테일의 변화 속도를 앞당긴 타임머신이다.
★ 레이어 – 상권 경쟁력을 만드는 시간과 문화의 결, 상권은 시대의 변화를 담아내는 얼굴이다. 상권은 시간과 시대의 변화에 따라 발달한다. 일정한 발달단계를 거치고 그 과정에서 그 상권만의 개성이 생기고, 그 개성의 획득과정에서 상권의 고유한 레이어가 축적된다.
“건물의 하드웨어, 독특한 파사드, 자의식 넘치는 테넌트의 아성뿐 아니라 해당 공간을 향유하는 소비자의 문화 코드와 생활 양식이 상권의 가치를 결정한다. 특별한 미감과 취향을 통해 대중, 기성 문화와 경계를 설정하는 엘리트 의식이 네오 하이스트리트의 무형적 질서를 구축한다.” p166
★ 등용문 – 부와 권위를 상징하는 성공한 브랜드의 깃발, 서울의 6대 하이스트리트는 브랜드의 입신출세 관문이자 성공의 인장이다.
★ K – 외국인들의 한국 방문은 여행을 넘어 K컬처를 소비하고 체험하는 문화적 인게이지먼트 활동으로 변모 중이다.
“메디컬 에스테틱의 비약적 성장은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민감한 리테일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다. ~ 의료특화 빌딩이 개별 클리닉의 집합을 넘어 통합적인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되고 있다는 것이다. 환자들은 한 건물에서 상담, 검사, 시술, 회복, 제품 구매까지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 환자를 위한 전용라운지, 다국어 의료 코디네이터, 호텔식 회복실, 관광 연계 서비스 등이 제공되면서 의료 부동산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p225
★ 연결 – 시간과 시대와 사람과 브랜드가 만나는 장소
상권은 도시의 다양한 요소와 상호 작용하며 고유의 아이텐티티를 강화한다.
네오 하이스트리트는 선택적 연결과 차별적 경계 설정을 통해 자신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구축한다. 철저한 큐레이션을 기반으로 특정세대, 계층, 취향을 선별적으로 수용하여 명확한 소비층을 포섭한다.
성수는 인터스트리얼 감성을 바탕으로 힙스터와 MZ세대의 취향에 특화된 공간을 조성하고, 한남은 글로벌 고급문화와 예술적 감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위한 세련된 소비 공간을 제공한다.
도산은 청담의 고급스러움을 계승하되 고루한 이미지는 배제하고, 압구정의 젊은 감성은 수용하되 대중적 요소는 걸러 내는 이중 전략을 통해 뉴럭셔리의 중심지로 입지를 다졌다.“ p244, 245
#dh_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