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욕망으로 읽는 조선고전담 - 역전 흥부, 당찬 춘향, 자존 길동, 꿈의 진실게임, 반전의 우리고전 읽기 ㅣ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22
유광수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3월
평점 :

<구운몽>을 꼭 꼭 읽어보고 싶구나
욕망으로 읽는 조선고전담 / 유광수 지음 / 21세기북스
역전 흥부, 당찬 춘향, 자존 길동, 꿈의 진실게임, 반전의 우리고전 읽기
나예님이 리뷰 서평을 써줘서 알게 되고 읽어본 책,
도서관 간 김에 훑어만 보려다 다 읽게 되었다. 읽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으니 우리 고전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읽어보면 좋을듯하다.
반전의 흥부전과 춘향전, 홍길동전이 나오고 맨 나중에 구운몽에 대해 나온다.
다른 부분도 좋았고 괜찮았지만 특히 난 구운몽 부분에서 와닿는 게 많았다. 그리고 구운몽을 꼭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읽는 속도가 느린 나지만 하루가 안 걸렸다. 고전 좋아하시는 분들게 추천하고 싶다.
“나만이 진실이고 나만이 옳으며 나만이 진짜라고 생각하는 게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지를 알게 될 것이다. 옳고 그름이란, 그런 구분이란 늘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나를 중심으로 생각하고 규정하고 판단하는 아집에 사로집힌 허망한 꿈같은 것이니 말이다.” p279
“작가 김만중의 이런 놀랍고 획기적인 구성은 꿈에서 깰 때의 반전 때문만이 아니라, ‘윤회란 꿈을 꾸는 것과 같다’는 날카로운 철학적 성찰을 담으려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을 성진이 퍼뜩 꿈에서 깨게 함으로써 독자들도 충격과 함께 퍼뜩 깨어나 ‘인생이란 꿈처럼 허상이라는 것’을 깨닫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렇게 구조화한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이 그렇게 쉽게 진리를 깨닫지는 못한다. <금강경>의 핵심인 공 사상이나 경전을 수십 번 읽어도 좀처럼 쉽게 깨우치지 못하는 것처럼, 우리 인생도 그렇다 꼭 꿈에서 깨어난 성진처럼 생각하기 마련이다. ‘아, 모든 게 꿈이었구나. 다 거짓이었어. 환상이었어’라고 말이다.” p264
“소설의 가치는 명쾌하고 명징한 작가의 주제의식을 찾아가는 즐거움과 그 과정의 재미에 있다. <구운몽>은 이런 명쾌함과 즐거움, 과정의 재미를 잘 보여주는 고전 중의 고전이라 할 것이다.
<구운몽>은 인간이라는 존재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성찰하는 ‘깨달음에 대한 텍스트’이며, 읽는 이들에게 깨달음을 주는 ‘깨달음의 텍스트’다 깨달음의 주제를 직접 외치지 않고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세련되게 드러냄으로써 재미있고 흥미진진할 뿐 아니라 높은 위치에서 외치는 교훈적 주장보다 더 효과적인 목소리를 낸다.”
“창작 이유가 효자인 김만중이 어머니 윤씨를 위로하기 위해서였다. 제가 높은 벼슬을 지내다가 지금은 귀양살이를 하고 있듯이 인생의 부귀영화가 모두 꿈같고 환상같은 것입니다. 그러니 어머님, 슬퍼하지 마세요라는 절절한 표현으로 어머니의 외롭고 슬픈 마음을 위로한 것이다.” p232
“<구운몽>은 얼핏 인생이 일장춘몽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내면에는 깊이 있는 통찰과 깨달음이 담겨있다. 독자들이 그렇게 읽어내든 아니든 작가 김만중은 그렇게 창작했다. 효자 아들이 어머니를 진심으로 위로하고자 피눈물 나는 마음으로 귀양지에서 쓴 희대의 고전이 바로 <구운몽>이다.” p236
“주체성
개인으로서의 인간이 어떤 일을 실천할 때 나타내는 자유롭고 자주적인 성질로 자기의 의지에 의해 무언가의 대상에 능동적으로 작용하는 자세를 말함. 자신의 자신다움이란 절대 변하지 않는 그 무엇이 있다고 종종 오해해서 자신다움에 집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주체성이 아니라 아집일 경우가 많음. 내가 주체적인 것처럼 남들 역시 주체적인 존재라는 것을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진정한 주체성을 확립할 수 있음.“ p282
#조선고전담 #욕망으로읽는 #흥부전 #춘향전 #홍길동전 #구운몽 #유광수 #21세기북스
#반전의우리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