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엄 3 - 상, 하>을 리뷰해주세요
밀레니엄 3 - 상 - 바람치는 궁전의 여왕 밀레니엄 (아르테) 3
스티그 라르손 지음, 박현용 옮김 / 아르테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작년 여름 출간된 밀레니엄 시리즈가 3부를 끝으로 3부작 시리즈가 완결되었다. 출간 될 당시부터 독자들에게 뜨거운 관심을 받더니 급기야 책을 읽어본 독자들이 대부분 엄지 손가락을 치켜세웠다. 그때만 해도 밀레니엄의 재미를 알지 못했던 나는 "그렇게 재밌어?"라고 반문했던 기억이 난다. '언젠가 꼭 봐야지.'하며 불끈 주먹을 쥐었는데 공교롭게도 3부를 먼저 보게 되었다. 허걱, 이리 난감할 수가.

예전에 <테메레르> 시리즈를 1권부터 읽지 못하고 5권을 먼저 읽은 적이 있었다. 처음부터 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5권을 읽는데 큰 불편함이 없었지만 <밀레니엄 3>은 탄탄한 스토리와 스케일이 내가 느껴보지 못했던 것들이라 1부, 2부를 보지 못한 답답함이 일었다. 1부 <여자를 증오하는 남자들> 2부 <휘발유통과 성냥을 꿈꾼 소녀> 3부 <바람치는 궁전의 여왕> 각 상, 하로 나뉘어 3부작이지만 총 6권의 대장정이다.

밀레니엄 시리즈가 나올때만 해도 밀레니엄 시리즈에 대해 이름만 들었을 뿐 관심이 없었던 분야였다. 추리소설이나 스릴러 소설을 읽지 않던 나에게 단순히 시리즈물이 나왔구나라고 담담히 받아들였다면 시간이 흐르면서 2부가 출간되고, 3부가 완결이 되면서 '오호!'라고 외칠만큼 스티그 라르손의 책은 기다림 그 자체였다.

1부를 보든, 3부를 보든 밀레니엄을 처음 손에 들자마자 정말 이 책이 손을 뗄 수 없을 만큼 재미 있을까?라는 호기심이 들었다. 처음도 아닌 중간도 아닌 드라마 클라이막스를 보는 것처럼 앞의 내용을 보지 않아 다소 책을 읽으면서도 당황스러웠지만 스웨텐 특유의 사회의식이나 이야기 구조가 마음에 들었다. 시리즈를 처음부터 읽은 독자에게는 이 3부작 시리즈가 얼마나 매력적이고 반가운 마음인지 알게 되었다. 아쉬운 마음까지도 느껴졌던 나는 다른 이에게는 3부작이 끝이었지만 나는 이 책이 도화선이었다.

사회적인 집단의 출현이나 각계 각층의 사람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상황과 이야기에 무척 놀랬다. 원래도 글을 쓸때 내용을 쓰지 않지만 다시 1부로 돌아가 차근차근 스티그 라르손의 이야기를 읽고 싶을 만큼 깊이 빠져 들었다. 이렇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3부작에서 끝을 맺다니 내심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그의 첫 작품이자 유작인 <밀레니엄>시리즈를 천천히 음미하여 읽어야겠다.

3부작 원고를 출판사에 넘기고 심장마비로 급사한 작가의 유작이라니 더욱더 아쉬운 마음이 컸다. 처음 보는 이에게는 다소 권수가 많아 부담스럽겠지만 읽다보면 6권의 책이 아니라 10권의 책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다. 1부에서 부터 3부작까지 읽은 후에 다시 이 글을 써야겠다. 혹, 아직도 <밀레니엄>을 읽지 못한 독자가 있다면 꼭.꼭. 읽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