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한 서술자
올가 토카르추크 지음, 최성은 옮김 / 민음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정한 서술자

올가 토카르추크 | 최성은 옮김 | 민음사

에세이 / p.380

우리는 책을 읽어야 한다.

지금과는 다른 세계관을 인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가

실은 여러 가능한 모습 중 하나이며,

이 또한 우리에게 영구히 주어진 게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서.

p.106

책을 왜 읽냐고 물으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대답하는 답이 있다. 바로 간접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손쉽게 할 수 있다는 답변. 

정말 우리가 "열려라, 참깨!"라고 외치는 순간 그 속에 저장되어 있는 무궁무진한 보물로 '남자가 여자가 될 수 있고, 폴란드의 평범한 남자 얀 코발스키 씨가 안나 카레니나가 될 수도 있으며, 여덟 살짜리 꼬마 올가 토카르추크가 네모 선장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세계화 추세 속에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지금, 우리는 어떤 보물을 꺼내고 있을까?! 혹 엄청난 공급의 홍수 속에서 각종 서비스와 유행과 트렌드를 꺼내어 따라가기에만 급급한 생활을 하고 있는 건 아닐까?! 

인터넷과 네트워크가 발달되어 멀리 떨어진 누구와도 바로 연락을 할 수 있을 만큼 전문화되고 세분화되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서로에 대한 이해와 연대 고리는 느슨해져가면서 각 세대가 자신들의 언어와 라이프스타일로 각자 생활하며 서로 다른 시각으로 과거를 보고 현재를 살아가며 미래를 그리며 극심한 세대 차이마저 보이고 있진 않은가?

그럼에도 여전히 우리가 이 현실을 이겨내며 나아갈 수 있는 것은 다름 아닌 문학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저자 올가 토카르추크는 말한다. 

그리고 '우리 인간은 역사와 문학적 픽션 사이에 끼어 있는 존재'이고, '문학적 인물은 독자에게 공동의 심리적 현실을 제공하는 일종의 방문 판매원으로서 독자 사이를 이리저리 오가며 그들에게 투명의 거울이 되어 주는 다이모니온'이라고도 한다.

다른 존재의 삶 속으로 깊숙이 파고 들어가 그들의 당위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감정을 공유하고, 그들의 운명을 체감하게 만드는 '문학', 그 문학의 읽기부터 쓰기에 이르기까지 저자의 여섯 편의 에세이와 여섯 편의 강연록을 통해 우리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그리고 자연의 일부분임을 알게 된다.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올가 토카르추크는 자신 또한 독자로서 쓰기 이전에 읽기가 먼저였음을 어릴 적 읽은 수많은 책을 인용하며 강조한다. 그 과정에서 그녀만의 서재 토마스 만의 '마의 산', 몽테뉴의 '에세' 등을 만나는 재미도 있다. 특히 신화를 인용해 설명하던 부분들이 기억에 남아 작가가 소장하고 있다는 '신화' 책을 검색까지 해보았으나, 찾지 못해 아쉬웠을 정도로 기회의 신 '카이로스'와 융합의 신 '헤르메스'로 풀어나가던 과정들이 흥미로웠다.

인간의 몸에서 인간 세포가 43퍼센트에 불과하고 박테리아나 곰팡이, 바이러스, 고세균 같은 '이웃들'의 무리로 뒤덮여 있다는 사실에 다시 한번 우리는 공생하고 협력해나가는 존재라는 것을, 소설로 잠시나마 타인의 삶을 살아 봄으로서 얻을 수 있는 경험이 우리 삶에 어떤 결과로 이어져왔는지, 그리고 함께 문학을 나누며 소통하고 유대감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 얼마나 소중한 경험이었는지를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누구에게나 각자 가지고 있는 '서술자'에 다정함을 더해 서로 관계를 맺고 감정을 공유하며 때론 읽고, 때론 쓰면서 함께 이 세상을 나아갈 수 있길, 그리고 상대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길 바라본다.

문학이란 우리와 다른 모든 개별적 존재에 대한 다정함에 근거합니다. … 다정함이라는 이 놀라운 도구, 인간의 가장 정교한 소통 방식 덕분에 우리의 다양한 체험들이 시간을 여행하여 아직 태어나지 않은 누군가에게까지 다다르게 됩니다. 언젠가 그들은 우리가 자신에 대해서, 그리고 우리의 세상에 대해서 기록하고 이야기 한 것들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p.364

ps. 최근 수업 시간에 한 나라가 멸망해도 도서관이 존재한다면, 거기에 책이 존재한다면 지금까지의 지식과 문화를 다음 세대로 이어갈 수 있다고 말했던 교수님이 생각났다. 그래서 이 말이 '우리가 세상에 관해 생각하는 방식, 나아가 그것을 서술하는 방식은 엄청난 의미를 갖게 됩니다. 가령 어떤 일이 벌어지더라도 말로 이야기되지 않으면 더는 존재하지 못하고 소멸되고 마니까요. p.335' 더 와닿았다.



+ 출판사로부터 협찬받은 도서로 직접 읽고 남기는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