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회색 여인 ㅣ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2
엘리자베스 개스켈 지음, 이리나 옮김 / 휴머니스트 / 2022년 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16/pimg_7044601583308257.jpg)
회색 여인
엘리자베스 개스켈 | 이리나 옮김 | 휴머니스트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 p.280
👩 「회색 여인」 읽으신 분?!
🙋♀️ 저요!
👩 갠톡 드릴게요.
「회색 여인」을 읽고 나면 어김없이 책을 함께 읽는 단체 톡 방에서 읽은 사람을 찾게 했던 첫 번째 이야기 그리고 뒤이어 울컥함에 정말 한동안 아무것도 할 수 없게 했던 「마녀 로이스」, 계속 두리번거리며 뒤를 돌아보게 하는 공포가 덮쳐 왔던 마지막 「늙은 보모 이야기」까지.(무서운 거 잘 못 보는 1인)
‘와~ 한 책에서 이렇게 다양한 세 편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구나.’ 감탄하며 찰스 디킨스에게 엄청난 찬사를 받았던 작가라는 이유를 알게 했던 「회색 여인」이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16/pimg_7044601583308258.jpg)
백합 같고 장미 같은 예쁜 여인이 공포로 얼굴색을 완전히 잃어서 ‘회색 여인’이라 불렸다는 얘기가 전해 내려온대.
샤를 페로의 동화 ‘푸른 수염’을 모티프로 삼은 첫 번째 이야기 「회색 여인」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주위 사람들과 그 당시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원치 않은 결혼을 하게 된 아나가 우연히 아름다운 남편 투렐의 비밀을 알게 되면서 자신의 하녀와 도망치는 과정이 그려진 소설이다.
하녀와 부부 행세를 하며 투렐의 추적을 피해 도망 다니는 그녀가 남편으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을지 조마조마한 심정으로 읽었고, 사람들이 왜 그녀를 ‘회색 여인’으로 부르는지 알게 되었을 땐 그녀가 안타까웠다. 자신이 딸의 결혼을 반대하게 된 이유를 딸에게 알려주기 위해 쓴 편지 형식으로 진행된 이 이야기는 마지막에 나오는 반대한 이유가 압권으로, 정말 제대로 동공 지진을 일으키게 했다.
이 부분 때문에 그렇게 읽은 사람들을 찾게 되었는데, 아직도 새로운 부분들이 발견된다.ㅋㅋ 복기라도 해야 하나?!ㅋㅋㅋ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16/pimg_7044601583308259.jpg)
세 이야기 중 가장 큰 울림을 주었던 「마녀 로이스」는 1962년 미국 뉴잉글랜드 지역의 세일럼 마을 전체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청교도 교회 내 두 집단 사이에서 일어난 갈등이 실제 마녀사냥과 마녀재판이 자행된 역사적 배경이 그대로 소설로 그려진 이야기이다.
죄가 없음에도 죄를 지은 것처럼 되어버린 상황. 자신이 하지도 않은 죄를 자백하면 살 수 있다는 설득에 자백도 했지만 참수 당해야 했던 호타 그리고 끝까지 마녀가 아니라 말하며 인디언 하녀 네이티의 공포를 안아주면서 그때서야 자신의 죽음도 받아들일 수 있었던 로이스의 마지막이 너무 아팠던 이야기.
기독교를 절대화하며 권력과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종교적 상황에서 일어난 일이지만 때로는 이 상황을 각자의 복수에 이용했다는 것과 믿어 왔던 가족과 지인들에게 버림받았다는 것이 더 큰 아픔으로 다가오지 않았을까? 후에 깊이 반성하고 뉘우친다고 맹세했다는 사람들이라지만 그런다고 루이스가 다시 살아오는 것도 아니고, 그녀를 데리러 왔던 그 역시 희망에 찬 젊은 시절로 돌아갈 수 없지 않은가?!
이야기가 끝나고 몰아치던 울컥함에 정말 한동안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ㅠㅠ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16/pimg_7044601583308260.jpg)
그리고 마지막 으스스한 초자연적인 분위기 속 드러나던 진실이 오싹함을 주었던 「늙은 보모 이야기」까지. 하나하나 강렬하게 기억에 남는다. 무엇보다 세 편 모두 여성이 적이었으나 구원자 또한 여성이었다는 점이 좋았고, 결혼에 대해 그리고 동성애, 종교, 신분 등 그 시대 배경까지 엿볼 수 있어 좋았던 이야기로, 깊이 있게 다시 재독해보고 싶다.
유령과 공포 이야기에 수많은 여성이 등장하는 건 어쩌면 그동안 여성이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고통받고 있었음을 방증하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말에 앞으로는 조금 더 나은 삶이 함께 하길 바라며, 좋은 곳에서 등장하는 여성들이 많아지길 바란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16/pimg_7044601583308261.jpg)
▶ 내 주위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매력을 발산해서 다들 그 사람만큼 훌륭한 사람이 없고, 내가 세상에서 가장 운 좋은 여자라고 말하게 했지. p.25
▶ "여자들은 내가 좀 알지. 원래 그렇게 조용한 여자들이 악마라니까. 네가 집을 비우는 새 그 여자가 우리를 찢어 죽일 비밀을 알아내서 먼저 도망 칠지도 몰라. "
"흥. 갈 테면 가라지. 어딜 가든 내가 따라갈 거니까." p.50~51
▶ 아직 아무 소리도 듣지 못했어? 말해봐, 로이스! 내 귀에 ‘로이스와 결혼해’라며 밤낮없이 외치는 소리를 넌 진짜 아직 듣지 못한 거야? p.149
▶ 인디언이든 영국인이든, 종교가 있든 없든, 유다처럼 그리스도를 배반한 뒤 사탄이 돼버렸든 마녀들은 모두 지구상에서 종적을 감추게 해야 옳다고 주장했다. p.179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216/pimg_7044601583308262.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