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라와 태양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홍한별 옮김 / 민음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라라와 태양

가즈오 이시구로 장편소설 | 민음사

「클라라와 태양」은 가즈오 이시구로 저자가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처음으로 발표한 소설로 '남아 있는 나날'과 '나를 보내지 마' 사이에 다리를 놓는 작품이 될 거라 밝힌 바 있는 책이다. '녹턴' 그리고 '나를 보내지 마'를 이어 세 번째로 선택해 읽게 된 이 책은 에이에프라 불리는 인공지능 로봇 클라라와 인간 소녀 조시의 우정 이야기를 다룬다.

간접적으로 진행되는 이야기에 성격 급한 나는 답답한 느낌을 받았다. 그런데 또 아이러니하게 저자가 무심히 일상 이야기 속에서 툭툭 던져주는 의미 있는 단어를 접하게 되면 그 단어가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하고 고민하게 된다. 그러다 결국은 내가 생각하는 바가 맞는지 알기 위해 계속 읽어 나가다 보니 끝이다. 이게 바로 가즈오 이시구로 저자의 필력의 힘?!

하나씩 새로운 사실이 나올 때마다 그 이면에 무엇인가와 관련된 것이 있다고 말해주는듯해 '그게 무엇일까?'라는 궁금증이 계속 다음 페이지를 보게 했던 「클라라와 태양」, 소닉 픽처스가 영화화 판권을 획득해 곧 영화화될 예정이라고 한다. 앞으로 영상으로 만날 클라라와 조시 또한 기대된다.




「클라라와 태양」의 주인공은 인공지능 로봇 클라라로 1인칭 시점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클라라의 시선을 따라 이야기를 읽다 보면 정말 누가 더 인간다운 건지 궁금해진다. 에이에프라 불리는 인공지능 로봇이 상품화되어 인간 아이들의 친구로 팔리는 미래, 그곳에서 인간 아이 조시의 선택을 받은 클라라는 관찰력이 뛰어나고 높은 수준의 감수성을 가졌으며 인간에 대한 호기심도 많다.

돌아다니는 사람들을 보며 저 동작이 뜻하는 게 무엇인지, 저 사람은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다음엔 무얼 하고 있을지 상상하며 인간을 열심히 관찰하고 그들의 감정과 소통을 익히며 바깥세상을 배워나간 클라라였다. 그런 클라라에게 조시처럼 걸어보라던 조시 어머니, 폭포에 단둘이 가게 되었을 때조차 아파서 같이 오지 못한 조시를 대신해 조시가 되어 조시처럼 앉아 이야기하라고 말한다.

뭔가 해. 계속 조시인 것처럼.

움직이는 모습 좀 보여 줘.

p.160

이 모습에서조차 기쁨과 두려움, 슬픔, 웃음을 보는 클라라이다.




지금 조시가 하루하루 점점 약해지고 있어요. 제가 오늘 여기 이렇게 온 까닭은 해가 얼마나 인자한지 기억하기 때문이에요. 해가 거지 아저씨와 개에게 그랬던 것처럼 큰 연민을 보여주시기만 한다면요. 조시에게 너무나 간절히 필요한 특별한 자양분을 보내 주시기만 한다면요. …… 소중한 용액을 잃은 건 아무렇지도 않아요. 해가 조시에게 특별한 도움을 주기만 한다면 더 내줄 수도, 전부 다 내 놓을 수도 있어요.

p.395~396

아픈 조시를 위해 전부를 내놓을 수 있다고 '태양'에게 간절히 기도하는 클라라에게 과연 감정이 없다고 말할 수 있을까? 아프다는 걸 숨기고 폭포에 가려고 했던 조시를 두고 우리에게도 감정이 있다는 걸 배워야 한다고 말하던 어머니는 "아무 감정이 없는 게 가끔은 좋을 거야. 네가 부럽다."라고 클라라에게 말한다. 이에 자신에게도 여러 감정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더 많이 관찰할수록 더 다양한 감정이 생긴다고 대답하는 클라라이다.

어릴 때부터 친하게 지낸 친구 릭을 보며 릭의 어머니는 릭이 잘못될까 봐 시도하지 않은 건지 의문을 표하는 다른 어머니들, 그리고 조시의 친언니의 죽음과 언니의 인형, '향상'이라는 단어와 '대체'되었다는 조시의 아버지 모든 게 의문투성이다. 하지만 이야기를 읽다 보면 '누가 더 인간다운 것일까?'라는 의문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인간다움을 잃어가는 인간과 오히려 더 인간 다워 보이는 인공지능 로봇, 조시가 돼라 말하는 어머니와 인간의 복잡한 마음을 미로로 가득한 방으로 표현하며 그 사람의 특별한 마음까지 흉내 낼 수 있냐고 묻는 조시 아버지를 보며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머지않은 미래에 있을 법한 이야기로 정말 향상을 두고 선택을 해야 하는 선택지가 나에게도 주어진다면 난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마지막 클라라가 얻은 답이 나에게도 답이 되지 않을까? 어쩌면 그 사람의 내면이 아닌 외면을 보고 있었을지도 모를 우리에게 인간과 인공지능 로봇과의 상호 관계를 생각해 보게 하면서 인간답게 사는 게 과연 무엇일지 생각하게 하는 의미 깊은 책이었다.

아주 특별한 무언가가 분명히 있지만

조시 안에 있는 게 아니었어요.

조시를 사랑하는 사람들 안에 있었어요.

p.442

클라라와 태양, 인상 깊은 구절

"궁금한 게 있어요. 만약 제가 조시를 이어 간다면, 새로운 조시 안에 들어간다면, 그러면 이…… 이건 어떻게 되죠?" 나는 팔을 들어 올렸고 처음으로 어머니가 나를 쳐다보았다. 어머니는 내 얼굴을 보고 내 다리를 보았다. 그러더니 다시 고개를 돌리고 말했다.

"그게 뭐가 중요하겠니? 겉껍질일 뿐인데."

p.313

네가 그 방 중 하나에 들어갔는데, 그 안에 또 다른 방이 있다고 해 봐. 그리고 그 방안에는 또 다른 방이 있고. 방 안에 방이 있고 그 안에 또 있고 또 있고. 조시의 마음을 안다는 게 그런 식 아닐까? 아무리 오래 돌아다녀도 아직 들어가 보지 않은 방이 또 있지 않겠어?

p.321

이 공연 표 구하기가 얼마나 힘든지 아니. 그런 좌석을 기계가 차지해선 안 돼. 이 기계를 극장 안으로 데려가겠다면 난 이의를 제기하겠다. 처음에는 일자리를 빼앗아 가고. 이제는 극장 좌석까지 차지해?

p.353~3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