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말엔 무슨 영화를 볼까?> 10월 1주

  한국의 사법부가 뜨거운 감자가 됐다. 그것도 영화에서 말이다. 한국사회의 공정성과 정의를 수호해야 할 사법부, 특히 법정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 연일 화제가 되고 말았다. 한국사회의 슬픈 단면을 뜨거운 가슴으로 파헤치고 있는 영화가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영화를 통해 본 한국의 법원은 왜 법원이 존재하는지 그 이유에 의문을 던진다. 파렴치한 범인이 풀려나고 도리어 당한 피해자가 범인으로 둔갑해서 처벌을 받는 장면이나 전관예우를 무슨 대단한 지위인양 맘껏 휘둘러서 돈 많은 부자들이 승소를 하게 되는 어처구니 없는 사태가 법원에서 버젓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영화들 중 실화가 많다는 사실이다. 무엇보다 강자를 위해선 어떤 위법도 눈감아 주는 오늘날의 판사들의 모습은 돈 앞에 무릎을 꿇는 추악한 법원의 본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영화 속에 담긴 휴머니즘은 세상을 바꾸는 힘이 되고 있다. 사회의 공정성을 높이고 정의를 높이기 위해 사회의 불의를 보여주는 사실주의의 오랜 전통이 현재에도 그 가치를 잃고 있지 않단 점이 매우 가슴 아프다. 오늘의 정의를 세워야 할 법원들이 그것을 하지 못하고 있는 이 때, 그에 대한 통렬한 비판으로 세상을 바꾸는 꿈을 이루고 있다. 

 
 
야수
 

 


  한국판 홍콩 르와르 영화의 걸작이다. 유지태는 물론 권상우를 다시 보게 만든 작품이다. 살인을 했어도 정계 유력자이기에 쉽게 법망을 빠져 나온 유강진을 다시 잡기 위해 형사 장도영 (권상우)과 검사 오진우 (유지태)가 뭉친다. 하지만 현실은 냉혹했고 권력적이었으며, 무엇보다 사회의 썩은 부분을 공유한 사법부 판사들은 세상의 가치를 누르고 의심스런 판결을 내리며 사회적 정의를 위해 몸부림 친 어느 검사를 좌절하게 만든다. 그가 법원에서 했던 이야기들은 오늘날의 한국법정에게 날리는 단호한 분노다. 2005년 당시 영화에서 비난을 받았던 내용들이 2011년 다시 반복됐다는 점에서 한국사회의 미성숙과 법원의 유아기적 수준은 아직도 개선되지 않아 너무 큰 사회적 비용을 치르게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가니 

 

 



  한국 법원의 현주소를 유감없이 발휘한 한국 최고의 문제작이다. 이 영화는 군대를 제대한 공유의 첫 작품이란 점에서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균인 학교와 법원이 한국사회를 어떻게 괴롭히고 있는지를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형편없는 교육기관보다 그런 사악한 학교들을 도리어 비호하는 법원이 한국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임을 여과 없이 보여줬다. 전관예우라는 헌재보다 더욱 강한 힘이 작동하는 법원이 왜 사회의 기본가치를 붕괴시키는 주역인지를 제대로 보여줬고 한국법원의 자성보단 법원의 외부적 통제가 왜 필요한지를 적실하게 보여줬다.  



부러진 화살 

 

 



  이 영화처럼 대놓고 법원을 배경으로 다룬 작품은 없을 것이다. 도가니와 마찬가지로 실제 일어났던 사건을 소재로 만든 이 영화는 성균관대학교 수학과 교수의 비극을 형상화했단 점에서 가슴 아프지만 더 없이 중요한 것은 비겁한 법관들의 탄핵이 마땅한 판결로 사태가 일파만파 확대됐으며 현재 삼성이 갖고 있다고 할 성균관대학교에서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지키려 했던 교수가 삼성이란 강자를 상대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지를 보여준 영화다. 특히 법원이 인간의 존엄성보다 삼성이란 강자 편에 섰다는 것 자체가 법원의 현주소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특히 법원의 대법원 수장의 행태는 기막힐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