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 아니면 다 실패한 삶일까 - 철학자와 심리학자의 인생질문 20 Art of Lving_인생의 기술 4
줄리언 바지니.안토니아 마카로 지음, 박근재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최고가 아니면 다 실패한 삶일까? 처음 이 제목을 보고선 그건 물어보나마나 당연한 것 아닐까 하고 고개를 갸웃거렸습니다. 어수룩한 골목에서 아무나 잡고 물어봐도 “그건 아녀~ 살아보니 그렇지가 않아!”라고 대답할 겁니다. 이런 뻔한 테마를 잡다니 의외다 싶었습니다. 그러나 곰곰 살펴보다 그게 다가 아니었습니다. 성급하게 지레짐작했구나 하는 생각이 퍼뜩 들었습니다. 요즘 범람하고 있는 자기계발서 부류에서 얘기하는 방식과는 많이 달랐던 것입니다. 스피디하게 생활지침을 내뱉다가 뜬금없는 잠언으로 마무리 짓곤 하는 자기계발서의 문법에 어느새 길들어 있었던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평소 당연하게 여기고 있던 원리들의 근원을 들여다보고 있었습니다. 연유도 모르고 으레 그런 줄 알던 것들에 철학적 가치와 심리학적 논리로 옷을 입혀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철학과 심리학의 콜라보레이션인 셈이지요.

 

철학은 본디 의미와 가치를 성찰하는 인문학 중의 인문학입니다. 학문이란 원래 철학밖에 없었지요. 모든 사물과 현상의 본질과 근원, 행동과 판단의 근거를 파악할 수 있는 토대가 바로 철학이니까요. 심리학은 비교적 근대에 독립 학문으로 발전했는데 철학적 근거를 실험이나 형식논리로 정당화해주는 사회과학의 한 갈레입니다. 주로 일상에서 부딪히는 개별적 사건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죠. 철학에 비해 깊이는 얕은 반면 정확성과 객관성 면에서는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러니 두 학문은 상호보완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하겠습니다. 철학만으론 근거 없는 공리공론으로 빠지기 쉽고 심리학은 인간 내면의 심층을 헤아리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철학과 심리학의 협업,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인간 행동의 의미를 헤아리고 우리들 사고의 경향과 행동방식을 해석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주제, 이를테면 ‘목표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를 두고 심리학자와 철학자가 각각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목표의 노예가 되지 말라고 권고하는 방식으로 말입니다.

 

그러다 가끔씩 학문의 경계를 넘기도 합니다. 앞서 제시했던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한 쪽에서는 ‘목표 설정 전에 가치에 대해 재고할 것을 권한다.’고 하고 다른 이는 ‘훌륭한 목표는 해냄이 아닌 하고 있음에 초점을 둔 것’이라고 말합니다. 어떤 쪽이 철학자, 또 심리학자의 견해 같습니까? 당연히 전자가 철학자의 발언 같지요. 하지만 반대로 심리학자의 견해입니다. 단순 협업이 아닌 크로스오버까지 시도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루고 있는 주제도 흥미롭습니다. 꼭 알고 싶었던 얘기들로 빼곡하지요. 가면 뒤에 숨은 자신의 실체를 발견하고 싶다거나, 자기기만에 빠져 있는 스스로가 밉다거나, 또 자부심과 자만심의 아슬아슬한 경계에서 뻔뻔하게 살고 싶지 않다거나, 이성이 아닌 직관적 결정에 의존하는 경우 등 우리가 흔히 범하기 쉬운 오류나 스스로를 성찰할 때 마땅한 답을 찾지 못하고 있던 문제들입니다. 하나 같이 그간 우리를 멈칫거리게 했던 주제들이지요.

 

그래서 자기계발서류의 스피디한 이야기 전개와 범주화된 행동지침 정리 등 깔끔하게 포장된 세련된 제품과는 거리가 있는, 심각하고 후속 논쟁거리를 담고 있는 책이어서 쉬 읽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왜 생각의 방향을 그렇게 잡았는지, 행동의 지침은 또 어떤 근거로 설정해야 하는지 등 근원적인 의문에 빠져 해답을 찾지 못하던 이들에게 이 책은 의미 있는 출구를 제공해줄 듯합니다. 경박한 시대에 무거운 주제를 심층적으로 파고들어 약간 고답스런 감이 들지만 뿌리 없이 잎과 꽃만 화려해서는 나무가 크게 자라지 않는 법이듯 의미 없는 얘기를 현란하게 늘어놓기만 해서는 공허함뿐일 것입니다. 가치와 논리가 뒷받침되지 않는 행동과 판단은 그릇되기 쉽고요. 그런 측면에서 이 책은 우리 생각과 판단과 행동의 뿌리와 뼈대를 세워주고 있다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