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지난 세기 동안 인류가 이룩한 과학 기술의 진보는 실로 눈부시다. 달 착륙과 인간 게놈 지도의 완성, 로봇의 상용화 및 사이버스페이스 구축 등 과학사의 신기원을 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닌 시대였다.

그런데 인류가 거둔 이러한 결실은 과학자들만의 노력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그것들의 대부분은 작가들의 상상력을 연원으로 한 아이디어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소설가나 만화가, 시인들이 머리 속으로 그려내어 관념적으로 형상화했던 것들이 과학적 발명과 일련의 진전에 자극제나 결정적 단서로 작용했던 것이다. 작가들은 나름의 작품을 통해 기발한 상상력과 예리한 통찰, 투철한 직관을 발휘하여 바람직한 미래의 모습을 떠올렸으며 그것들에 공감한 이들의 요구와 염원과 필요가 과학자들의 작업으로 이어졌다는 말이다. 베르베르의 <나무>도 이런 작품들의 전통적 미덕을 고스란히 온축하고 있는 것이기에 단순한 문학작품이라기보다는 정치(精緻)한 미래학이자 미래의 주역이 될 신세대들에게 영감을 불러일으킬 교육학이며 인간 존재의 의미와 그 지향을 성찰해보게 하는 인간학이라 할만하다.

베르베르는 <나무>에서 미래학적 방법론에 입각한 일련의 이야기들을 다루고 있다. 최근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학문 분야인 미래학은 인간의 의지와 역량으로 바람직한 미래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구성론(構成論)적 관점을 토대로 하고있다. 과거의 결정론(決定論)적 사고에 반하는 흐름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론적 관점에 따른 실증적인 미래 예측 방법 가운데 하나가 '의사 결정의 나무' 기법이다. 베르베르가 이 책에서 '가능성의 나무'로 부르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베르베르는 <나무>에서 바람직한 미래를 구성하기 위한 의사 결정의 나무 기법을 시연해 보이고 있다. 특히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과학적 지향들의 파국적 종말에 대해 섬찟한 경고를 내리고 있기도 하고 해묵은 과제들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참신한 비전을 제시하기도 한다. 어떤 것은 발칙하기까지 한 근거 없는 망상 같기도 하고 또 다른 것은 이미 상당 부분 진행중인 이야기도 있다. 그런데 일견 독립적인 것으로 보이는 짧은 이야기들을 중첩되게 교직하면 한 그루의 나무가 그려지듯 미래의 다양한 면모가 하나의 총체로 구성되게 된다. 미시적인 개별의 것들의 조합을 통하여 거시적인 미래 사회의 진면목을 구성해내고 있는 것이다.

과학 소설의 전통은 과학적 발명에 대한 상상과 더불어 그것이 미래 사회에 어떻게 작용할 것인가에 대해서까지 천착하고 있다. 베르베르도 마찬가지이다. 미래가 utopia가 될 것인지 아니면 distopia가 될 것인지는 우리 인간들이 어떤 마음으로 미래를 구성해 나가는가에 달려 있음을 여러 작품들을 통해 적시하고 있다. 그리하여 distopia적 모습이 예견되는 상황은 그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여 파국을 막고 바람직한 utopia로 이어질 것들은 강화시켜 나가야 함을 또렷하게 드러내 보이고 있는 것이다.

베르베르가 강조하고 있는 것처럼 미래 사회를 인간적인 것으로 구성해 내기 위해서는 철저한 과학적 역량 제고와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하겠다는 의지적 결단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간파하고 식별해 내며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지혜의 배양이 절실히 요구될 것이다. <나무>는 이러한 점들을 여러 차원의 소재와 이야기 구성을 통해 잘 지적하고 있으며 더구나 신세대적 감각에 맞게 짧고 경쾌한 터치의 글들로 쿨하게 씌어져 있기에 의미와 재미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지적 향연을 제공한다 할만하다. 따라서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하여 미래로 이어질 오늘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더불어 미래 지향적 안목을 높이고 과학적 마인드까지 기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미래의 모습에 대한 반성적 성찰까지 겸하여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