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1.2권 합본) - 우리 소설로의 초대 4 (양장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간신히 씌어진 글을 겨우겨우 읽습니다. 김훈이 이빨 여덟 개가 빠지도록 혼신을 다한 연후에 간신히 그려낼 정도로 불가해하고 다층적이며 도도했던 이순신의 내면, 그 내면을 육화된 휘모리 장단으로 고스란히 살려낸 빼어난 문장, 그 문장에 녹아있는, 죽처럼 흘러내려 우리를 목 매이게 하는 인간적이면서도 스산한 그의 시선.

이를 어찌 한 호흡에 성큼성큼 읽어치우고 말 수 있겠습니까? 최소한의 인간적인 떨림이나 가다듬음으로도 가당찮은 일입니다. 그야말로 겨우겨우 읽어낼 따름입니다. 때론 결기가 치솟아 부르르 떨고 때론 연민으로 미어지면서 말입니다.

이순신의 시대는 봉건적 질곡의 한 정점에 닿아있던 때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회 구조의 모순만 그러했던 게 아닙니다. 그 시대를 농단했던 인적 구성들의 의식 세계가 전근대적이기 이를 데 없습니다. 그 동토의 왕국을 다스렸던 임금이라는 작자는 미성숙한 인격에다가 조울증까지 곁들인 치기 어린 시샘의 대가였습니다. 영웅은 자기 혼자여야 하고 칭송은 독점적으로 향유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강박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김덕령에게, 곽재우에게, 이황에게 또 이순신에게 끊임없이 열등감과 권력 상실 피해 의식을 느껴오고 있었습니다. 그런 왕 앞에서 의식 있는 이들이 택할 수 있는 길은 오직 두 갈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 하나는 홍의 장군 곽재우가 나아갔던 절연과 초월의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이순신 식의 자멸의 길입니다. 그러나 진정한 무사는 백성의 고통스런 현실을 외면할 수 없는 것입니다.

또 백성들을 지켜주지 못했다는 자괴감과 이제는 어루만져 주어야 한다는 책무감으로 선택의 여지가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절연과 초월의 길을 택할 엄두를 내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이순신은 절망의 길로 스스로를 소멸시켜 가는 자학적인 방법으로 나아갔던 것입니다.

그런 이순신이었기에 우리는 역사와 신화 속에 등장하는 스테레오 타입화한 영웅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흔들리고 무너지고 상처받는 나약한 인간으로서, 다른 이들에게 보호 본능을 유발하는 그리하여 연민의 시선이 절로 가 닿게되는 한 범인(凡人)을 만나게 됩니다. 정형화된 영웅의 드라마틱한 활약상이나 초월적 심성, 전능한 역량은 다만 허상이요 후대 호사가들의 의미부여 놀음에 지나지 않는 것입니다. 그에게 실제로 닥친 시대는 아픔뿐이었고 시절은 언제나 추울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늘 불안했고 결핍한 상태로 쫓겨다녀야 했습니다. 통증을 느끼고 오한에 떠는 한 개별적 인간의 나약한 실존일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우리와 같은 수준의 몸과 마음의 상태를 지닌 한 인간으로서의 이순신을 재삼 생각하게 됩니다. 이를 악물고 무서움을 참아내며 고통을 버텨내고 울음을 삼키는, 그리하여 인간의 피가 도는 따뜻한 실존으로서의 그를 말입니다. 왜소한 인간일 수밖에 없는 가여운 단독자가 거기 쓸쓸하게 서 있는 것입니다. 이로써 그와 우리는 상호 연민의 시선으로 더 나아가 연대감으로 일체가 될 수도 있는 수준으로 다가서게 됩니다. 누구나 그러하듯이 이순신도 이처럼 하나의 인간으로 외따로이 태어나서 홀로 애쓰다가 그 만의 고통 속에 자신의 몸 속으로 죽음을 받아들이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이순신과 그 시대의 이름 없는 백성들, 또 적군인 왜병들, 아니 그런 인간의 운명 앞에 자유로울 수 없는 모든 나약한 실존들 앞에 우리는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경건히 머리 숙일 수밖에 없게 됩니다. 그들 하나 하나의 삶이 익명화된 집단의 논리로 설명되기에는 너무나 벅차고 의미 있고 장(壯)한 생일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김훈은 개별적 실존으로서의 이순신의 모습을 통해 우리에게 모든 인간의 저마다의 삶이 비할 데 없이 중차대한 것임을 인간의 호흡으로 우리의 사고 수준으로 일깨워주고 있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