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 1
최명희 지음 / 한길사 / 199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민족 최악의 수난기였던 일제 강점기 말엽의 전북 남원과 만주 봉천을 무대로 자기 앞의 생과 시대의 질곡에 맞서고자 분투하였던 이들의 처연한 혹은 강고한 삶을 장중하게 그려낸 민족의 대 로망 혼불. 여기에다가 지금은 거의 사라져버린 민족 고유의 습속, 의례, 본연의 심성 등 당시의 생활 양식을 세밀하게 묘사, 기록하여 문화인류학적 문헌으로서의 가치도 충분히 지니고 있는 소중한 작품 혼불. 그리하여 혼불은 짧은 호흡에 얕은 묘사로 일관하고 있는 허다한 글들과는 구별된 모습으로 우뚝 서 있는, 한국 문학의 한 획을 그은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자리 매김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많은 미덕에도 불구하고 혼불은 서사 구조가 내적 완결성이 결여된 면을 보이고 있어 아쉬움을 금할 수 없다. 이를테면 암울한 상황하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생기발랄하게 미래를 예비하던 강호와 그의 처 사리반댁의 지향과, 참혹한 시대적 모순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하였던 강태의 정신 세계가 분명 다른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었던 바, 그 예비된 의식이 어떻게 표출되면서 역동적인 정반합의 과정을 극적으로 보여주는지 나타내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또 서로 질시하며 때론 연민의 정을 느껴왔던 효원과 강실 그리고 오유끼 사이의 갈등 해소도 시도되지 않고 있다. 그들이 서로 뜨겁게 화해하는 모습을 보았으면 하였다. 앞서의 서사 구조에서 무수히 복선으로 깔며 미래를 암시하였던 묘사와 기술들이 무용지물이 되어버린 감이 드는 것이다. 따라서 혼불은 서사 구조상 역동적인 호흡과 흐름의 연결이 결여된 미완의 작품으로 비춰진다. 오로지 당시의 사회 문화적 상황과 풍물을 미시적으로 그려나가는 모습으로만 일관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비록 그 폭과 깊이가 방대하고 심원하며 더불어 민속지로서의 학술적 가치까지 충만하다는 미덕조차도 왠지 작아 보이기까지 한다.

8권에서 보여주었던 사리반댁의 모습은 실로 눈부시다. 힘겨운 와중에서도 활기를 잃지 않고 스스로를 길러 나가며 밝아올 미래를 의연하게 대비하고 있는 앞선 의식에서 민족의 희망찬 미래가 선하게 그려진다. 강호의 민족 문화의 외연과 깊이에 대한 눈뜸도 인상적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의 의식화는 민족 해방 내지는 반봉건적 운동의 한 방식이 내면에서 자연스레 배태되게 할 것이나 강태는 민중이 진정으로 해방되려면 주체적인 계급 역량으로 억압적인 사회 구조를 혁파하는 길밖에 없다고 믿고 있다. 작가는 앞서의 여러 부분에서 이러한 것들이 앞으로 극적으로 대립 혹은 공존하며 전개될 것이라 암시하고 있었는데 정작 이들이 갈고 닦은 역량으로 그 뜻을 펼쳐 나가는 모습은 그리지 않고 있는 것이다.

효원과 강실, 그리고 오유끼는 본래 따스한 심성과 깊이 있는 내면을 지닌 인간미 있는 여인들이지만 시대와 상황의 그늘이 힘겹게 그들을 내리누르고 있다. 심약한 강모가 효원에게 위압감을 느껴 퇴행 대상으로 선택한 강실이, 죄책감과 자포자기적 심리 그리고 연민의 심성에서 비롯된 강모의 또 하나의 희생양 오유끼, 그리하여 그들은 강모를 사이에 두고 때론 미움과 시샘을 때론 측은함과 동병상련의 마음을 가지며 살아온 것이다. 그들의 인간성을 꽃피워주었으면 하고 내내 기대했었다. 그들이 동질적 인간임을 자각하고 화해하는 모습을 바라며 서사 구조를 좇아왔다는 것이다. 그러나 결말이 없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미흡한 작가 의식을 확인한 것 같은 마음을 지울 수 없다. 만약 작가가 작품 활동을 지속하였더라면 서사 구조의 연속성과 완결성을 후속 작업들을 통해 달성할 수 있었을 지도 모른다. 그랬더라면 가문과 시대의 주역으로 부상한 강호와 강태가 눈부시게 활약하는 모습과, 또 그들의 상이한 방법론상의 갈등을 변증법적으로 통합해 가는 과정과 아울러 효원과 강실이와 오유끼가 뜨겁게 화해해 나가는 모습을 통해 가해자인 강모와 그 배경이 되는 가부장적 사회 구조에 대해 용서에 이은 극복 대안 제시까지 가능했을 것인데 말이다. 하지만 이제는 기대난이다. 매안과 우리 강토 전역에 상서로운 혼불이 피어오를 그 날을 기대했었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