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한국경제 대전망
이근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한국 경제 전망과 4차 산업혁명시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전문가들의 논고로 이루어졌다. 한국경제는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갈지는 모른다. 그렇지만 4차 산업혁명은 시대적 현상이다. 이 시대에 따르는 경제 전망이 절실히 필요하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경제 정책이 쉽게 변동된 한국 상황은 미래 전망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경제와 안보는 정권이 입맛마다 바꿔서는 안된다. 장단기 정책을 경제 전문가들로 인해 수립하여 단계별 진행이 필요하다.

 

 우리 나라는 경제위기 한복판에 놓여 있다. 강대국들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소파협정까지 재협상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우리가 살아남을 대안들을 마련해야 한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한국 경제가 나아갈 것을 함께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 경제가 일본의 수순을 밟고 있지 않는지 걱정하는 목소리가 있다. 한국 경제에 부동산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대출과 대출로 인해 부동산에 대한 투자가 한계를 보이고 있따. 부동산의 유동에 따라 우리의 경제가 큰 소용돌이를 겪게 될 수 있나는 걱정스러운 전망을 내 놓고 있다.

 

 한국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미래 산업에 대한 걱정도 하고 있다. 대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대기업 정책에 대한 부재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건강한 기업들을 세워가야 한다. 작지만 강한 기업들을 세워 창의적 아이디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며 경제의 기반을 넓게 조성해야 한다는 경제적 전망을 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 경제는 세계경제와 함께 갈 수 밖에 없다. 그렇지만 의존도를 줄이는 것이 관건이다. 한국 기업으로 인해 생산한 모든 제품들이 추월받고 있다. 미래 산업에 대한 투자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한국경제의 과거, 현재, 미래를 전망하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이 책에서 다룬다. 앞으로 주요 산업 개발과 산업 정책 트렌드를 새롭고 조성해야 함이 신산업 정책이다.

 

 10년 후의 우리의 모습은 현재 모습과는 비교할 수 없는 엄청난 변화를 갖게 될 것이다.

한국 경제를 위협하는 요인들을 제거하고 새로운 한국 경제를 이끌어갈 새로운 신산업을 위해 인재를 발굴 양성해야 하며, 기술을 개발하는 투자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는 중론이 이 책의 전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